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대니보이 Jun 21. 2024

진료실 데시벨

   

   요즘 들어 부쩍 진료실에서 떼쓰며 우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뾰족한 울음소리가 30cm 앞에서 공기를 뒤흔들며 안면을 강타할 땐 언제 배웠는지도 까마득한 ‘맥놀이’란 단어가 떠오릅니다. 화살 같은 고음이 미간을 관통하여 전두동(frontal sinus)에 공명을 일으키고 전두엽을 뒤흔든 뒤 오른쪽 관자놀이로 빠져나갑니다. 

   “아기 열이 왜 나요?” 젊은 여사님의 날카로운 물음에 지끈지끈하던 편두통이 또 재발합니다. 청진기 팁으로 귀 고막을 막은 채 울음소리 나오는 입안을 정탐합니다. 도리질하는 악동의 머리를 양손으로 꽉 잡은 간호조무사가 지치기 전에 두 귀를 재빨리 훑어봅니다. 청진기를 귀에 꽂은 채 아이 엄마에게 설명합니다. 약 다 먹고 열나면 다시 오라는 말을 쏟아내곤 간호조무사를 힐끗 쳐다보았습니다. 문이 닫히고 아까 켜 놓았던 소음 측정 앱을 보았습니다. 

   peak level은 75db 정도. 검색해 보니 85db 이상의 소리에 3년 이상 노출되면 산재 인정이랍니다. 음, 어떻게 하나요. 아이를 더 울리나요. 아니면 청진기 줄을 1m로 늘려야 할까요. 다리가 짧아 팔도 짧으니, 그것도 안 되겠고. 혹시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50대 중반이니 몇 해만 견디면 75db이 60db로 들리겠지요. 

매거진의 이전글 대한외국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