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시서점 Jun 20. 2024

살기 좋은 우리 동네 - "주변에 이웃이 없을 것" 1

살기 좋은 우리 동네를 찾습니다.

많은 지자체가 살기 좋고 아름다운, 행복한 미래 도시를 말하지만, 살기 좋은 우리 동네는 사실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그냥 사는 데로 사는 것은 싫어서 또, 다시 생각합니다.

제가 찾아낸 다른 방법은 사람들에게 되묻는 것입니다. ‘살기’, ‘좋은’, ‘우리’, ‘동네’ 모두 무언가를 형용합니다. 명확하지 않기에 상상할 수 있게 합니다. 그 상상이 환상일 수도, 희망일 수도 있지만 각기 꾸는 꿈을 모으다 보면 환상이든 희망이든 커지지 않을까요. 

누군가에게 살기 좋은 도시란 ‘이런 도시를 만들테니 즐겁고 행복하게 사십시오’ 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고 싶은 말이 많지만 일단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려 합니다. 당신에게 ‘살기 좋은 우리 동네’란 무엇이냐고.

사람은 그저 '살' 뿐일까요. 어떻게 하면 세상을 단면이 아닌 입체로 보고 만질 수 있을까요.

-

살기 좋은 우리 동네 �‍♂️

1. 살기 좋은 우리 동네 - 나는 왜 강서구에 살게 되었나.

2. 살기 좋은 우리 동네 - "거긴 친구가 없어요" (1)

3. 살기 좋은 우리 동네 - "거긴 친구가 없어요" (2)

4. 살기 좋은 우리 동네 - "주변에 이웃이 없을 것" (1)

5. 살기 좋은 우리 동네 - "주변에 이웃이 없을 것" (2)

김XX

84년생. 부산 금정구 서동 출생.

부산에서 태어나 성인이 된 이후

관악구 신림동 2년 6개월, 마포구 상수동에 10년을 거주했다.

최근 강서구 방화동으로 이사를 준비하고 있다.

 

 

부산 어디서 태어나셨어요?

부산 금정구 서동. 시장이 있는 곳이고, 피난길에 지어진 동네라서 산, 언덕마다 집이 다 있었죠. 계획된 동네가 아니기 때문에 정말 동네가 제멋대로고. 그래서 시장 위주로는 활력이 넘치고 큰 길 따라 유흥가로 가면 소위 접대하기 위한 유흥가들이 많이 있고 되게 복합적인 동네였어요.

 

대부분 피난길에 내려와서 마을을 지은 거니까요. 서울로 치면 해방촌이고, 부산은 영도나 태극도 마을처럼 피난 와서 지은 마을이 많으니까.

서동도 제가 살 때는 서4동까지 있었는데 지금은 서3동. 3개로 나뉘어 있어요. 평지 인근 쪽이 그나마 좀 더 살기 좋아요. 언덕을 끼고 있는 동네는 그때 어른들한테 듣기로는 그곳에 있는 집은 죄다 20대 신혼부부들이 들어오는 곳이었다고 해요. 그만큼 집 구하기가 저렴한 동네.

 

부모님은 원래 부산분이세요?

우선 할아버지, 할머니가 원래 밀양 사람인데 피난길에 부산 왔고. 엄마는 감포라고 포항에서 바닷가 쪽. 감포 사람. 부산에서 아버지를 만나서 따로 살림을 차린 건 아니고, 이제 3대가 같이 산 거죠.

어렸을 때 동네 모습은 어땠어요?

지금 생각해보면 골목도 되게 좁고, 그땐 몰랐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못사는 사람들이 모여 살았어요.

 

그때는 불편한 거 못 느끼셨죠?

어릴 때니까 그때는 이게 잘 산다, 못 산다를 몰랐죠.

 

비교 대상이 없으니까. 언제 그걸 자각하게 됐어요.

서울 올라와서 자취방 구하면서 살다 보니 친구들이 어디 원룸을 얼마에 구했다더라. 그런 식으로 하다 보니까. ‘내가 살았던 곳은 당시 힘든 사람들이 많이 모여서 산 곳이었구나’ 그 생각이 들었어요.

 

그럼 성인이 돼서 서울에 올라오기 전까지는 이사를 한 적은 없는 거네요?

이사는 한 번 했어요. 그러니까 내가 초등학교 때. 그때 이제 부모님이 분가를 한 거죠.

그때 처음으로 이사 가고, 그때는 집 시세, 부동산 가격을 전혀 모르니까. 그냥 이 동네에서 저 동네 갔다. 그 정도 개념.

 

금정구에서 금정구로 이사 하신 거네요. 금정구라는 동네는 어떤 동네인가요? 전에 만났을 때 농담으로 ‘왜 부산인데 갈매기 없냐?’ 그런 얘기를 했지만. 금정구가 다른 지역 사람들이 생각하는 부산의 느낌이 아닌 거잖아요.

그렇죠. 금정구는 좀 동네가 구가 길쭉하거든요. 그래서 소위 남산동, 범어사 이런 데도 금정구. 거기까지 금정구란 말이에요. 그럼 거기는 부산 바깥에 있는 사람들이 인식하는 부촌이에요. 그래서 내가 “금정구 서동 산다.” 했을 때 부산 사람들이 아니면은 내가 잘 사는 걸로 알고 있어요. 근데 실제로 소동은 정말 부산에서도 이제 못 사는 동네 중에 좀 손꼽히는 그런 동네였거든요.

 

흥남 철수작전 때 배 타고 내려오신 분들 보면 보통 영도 주변에 자리를 잡잖아요. 그런데 오히려 가까운 지역인 밀양에서 피난을 와서 금정구에 자리를 잡은 걸까요?

저 같은 경우는 아버지가 어릴 때 살던 동네는 영도였어요. 영도에서 어떻게든 우리 가족들이 정착해서 살다가 서동으로 이사 온 거로 알고 있어요. 오히려 시작은 영도였네요.

 

그 이후로는 부산 외에 다른 지역에서 살아본 적은 없는 거네요.

부모님 분가할 때도 금정구 부곡동. 그리고 제가 군대 가 있는 동안 다시 서동으로 이사를 왔거든요. 소동, 부곡동, 소동. 다른 지역에서 살아본 적이 없네요.

 

그러면 성인 되기 전까지 다른 지역에 가본 적이 없나요.

놀러는 가봤죠. 

 

놀러 어디 가봤어요?

중학교 때 처음 부산대 앞을 가봤고. 근데 가봤을 때, 난 그런 곳인 줄 몰랐어요. 죄다 젊은 사람밖에 없고 다들 꾸며 입고 다니고 그런 곳이었거든요. 근데 나는 그때 그냥 아무것도 모르고 친구가 가보자 해서 갔어요. 샌들에 발목 양말 여기까지 오는 걸 신고 왔단 말이야.

그래서 그 친구한테 내가 “야! 이런 데라고 말을 하지!” 그때 약간 내 패션을 초라하게 느꼈죠. 어떻게 보면 처음으로 겪어보는 번화가 그런 느낌이었어요. 거긴 애초에 부산대학교 앞은 주거단지라기보다는 대학가 상권이 활성화돼 있다 보니까. 

서울로 치면 약간 홍대나 신촌 이런 느낌.

그래서 정말 거기는 놀러 오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나름 외모도 신경 쓰고 뭐 그런 식이었다.

 

그러면 성인 되기 전에 부산 외 다른 지역을 가본 적이 없나요?

고등학교 때 처음 서울을 가봤고. 그때 힙합 동호회 활동하고 있었는데 PC 통신으로 정기 모임이라는 게 있다는 거예요. 1년에 한 번. 그때 처음 이제 기차 타고 서울 가봤죠. 

서울 어디를 가본 거예요?

신촌 마스터 플랜. 거기서 이제 정기 모임을 했기 때문에 그때 처음 가보고.

*마스터 플랜 - 힙합 라이브 클럽으로 시작한 음악 레이블. 현재는 그랜드 민트 페스티벌(약칭 GMF)을 매년 여는 마스터 플랜 뮤직 그룹 (MPMG)으로 성장했다.

 

그 힙합 동호회가 힙합 정신이에요?

응. 그때 알게 됐던 사람들 때문에 대구도 가보고 그랬던 것 같네요. 정확히는 PC 통신에서 대화 주고받던 사람들을 서울 가서 본 거죠. 거기서 대구 형들도 보고, 다른 지역 사람들도 보고.

 

그때는 어땠어요?

그때 서울은 부산대 간 것보다 더 충격적이었죠. 되게 추운 겨울에 갔는데 눈이 쌓인 것도 놀라운 모습이었고. 지금 표현하기에는 너무 옛스러운 생각이긴 한데, 공개된 장소에서 여자가 담배 피우는 모습도 되게 충격적이었고.

 

그런 모습을 처음 본 거예요? 

처음 봤어요. 부산에서는 여자가 담배 피는 걸 본 적이 없거든요. 할머니들 피는 건 봤는데. 

젊은 여성이 공개된 장소에서 피우는 모습을 처음 본 거예요. 이렇다 할 감상 없이 그냥 서울은 이렇게 다 되는구나.

서울역에서 내려서 가신 거예요? 신촌까지 가는 동안에 되게 신기했겠네요.

그때는 KTX가 없었고 제일 빠른 게 새마을이었거든요. 한 4시간, 5시간은 같은 거 갔어요. 지금보다는 그래도 체력이 좋은 10대였기 때문에. 안에서 잠도 안 자고 그냥 설렘밖에 없었죠. 기차 타는 것도 신기했고

 

그때는 다 신기할 때네요. 

전부 다 신기. 그리고 친척이 광양에 살아서 가는 거 말고는 다른 지역을 가본 게 없네요.

 

그 이후에 대구는 안 가보셨어요? 아까 대구 형들 알게 됐다고 그랬잖아요.

그때는 대구에 클럽 공연 있어서 놀러 가보고. 10대 후반이었을까, 20대 초반이었을까. 그건 잘 모르겠네요. 너무 오래전이네.

 

대구랑은 별로 크게 차이가 나거나 이런 건 없었나요? 문화적으로 가까워서 그런가.

크게 차이점 못 느꼈어요. 그리고 내가 부산 부심을 부릴 만큼 부산이 더 좋다 그런 것도 잘 못 느꼈고. 그냥 동대구역에서 아는 사람들이 마중 나와. 그럼 그 사람 따라 가. 끝.

 

그 중간 과정이 없는 거 같아요. 전에 후쿠오카 같이 갔을 때 떠올려 보면 저는 계속 걷잖아요. 조금 걸을 만하다 싶으면 대중교통 안 타고. 가면서 주변을 자꾸 보는데 그런 과정이 없었던 거네요.

그래도 역에 내려서 클럽까지는 걸어가니까. 보고 있으면은 더 발달되었다, 낙후됐다. 이걸 못 느낄 정도로 그냥 비슷비슷.

 

그런 걸 느낀 건 서울 와서 느낀 거예요?

그렇죠. 처음 서울 왔을 때, 고등학교 때 내 기억에 남았던 서울의 첫인상은 강남대로라고 해야 되나. 쭉 뻗은 넓은 차선, 양쪽에 가로수 있고. 빌딩들 쭉 쭉 올라가 있는 모습이 첫인상. 서울은 차선도 크고, 건물도 되게 높고. 두 번째 인상은 한강.

 

부산에도 강이 있지 않나요?

수영강이라고 있는데 한강보다는 폭이 좁죠. 그리고 내가 살 때는 지금처럼 버스 환승을 한다거나 지하철 노선이 있다거나 그게 아니었어 가지고, 수영강을 보러 가는 접근성도 좋지 않았고. 어릴 때 집안 어른들이랑 같이 해운대를 가려고 해도 차 타고 40분을 갔어야 됐어요.

 

강서구에서 대학로, 종로 가는 느낌이네요.

이 동네 강서구에서 종로 가거나 아니면 강서구에서 좀 멀리 떨어진 데 가는 그 느낌인 거죠. 기억이 흐릿하긴 한데 그때는 미등록 택시 자가용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어요. 그래서 가족이 이렇게 3~4명 택시 잡으려고 서 있으면은 차가 한 대 와요. 와서 창문 내려서 어디 가냐고 물어요. 그래서 1만 원을 내고 그 차를 타고 해운대로 갔던 기억이 있어요.

 

그때는 모든 게 신기할 때니까.

그런 다음에 이제 대학 졸업하고 서울로 올라온 거죠. 

 

서울은 취직 때문에?

아무래도 부산 일자리가 좀 많이 없긴 하죠.

 

서울은 처음에 어디로 가셨어요?

처음에는 신림. 정보도 없이 그냥 무작정 서울 와서 친한 형 집에 얹혀 살면서 방 보러 다니다가 친구가 신림을 가보라는 거예요. 서울로 처음 상경하는 사람들은 신림에서 집을 많이 구한다고 그래서 그날 신림 가서 방을 열몇 개를 봤어요. 보니까 다른 지역도 많이 봤는데 많이 싼 거죠. 

 

다른 지역에 비해서 

신림에 이 가격에 컨디션 괜찮은 원룸이 있어서. 

 

여기 해야겠다

그렇죠. 

 

옛날부터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오면 보통 신림 아니면 화곡, 아니면 방화, 공항 이쪽으로 많이 오잖아요. 아니면 아예 저쪽. 석계나 미아리나 망우리쪽으로 많이 가고요. 잠깐 공덕에 있는 아는 형 집에 사셨다고 했는데 공덕 모습이랑 또 신림도 많이 다르잖아요.

공덕은 내가 서울이라고 생각하는 동네의 모습을 갖고 있었고, 신림은 완전 새로운 스타일. 처음 보는 스타일. 예를 들면 지하철에서 사람이 엄청 많이 내리고, 지하철을 탈 때 사당역처럼 한 번에 못 타서 한 차 보내고. 부산 사람은 내가 이렇게 줄 서서 기다렸는데 못 탄다는 게 충격적인 모습이거든요. 그 정도로 이제 사람 많은 동네죠.

 

부산도 근데 사람 많이 살잖아요.

많이 사는데 그 정도 유동인구는 서면역 아닌 이상 잘 안 나오죠.

 

서면도 그렇게 사람들이 막 한차 보내고 이 정도는 아닌 거예요?

그 정도는 아니죠. 한 번 타면 한 번에.

 

신림은 몇 년 사신 거예요?

신림은 2년 반 정도 산 것 같네요.

오래 살았네요. 신림은 살기 어땠어요?

처음 자취해보는 거니까 모든 게 재밌었죠. 그리고 신림이 인프라가 나쁘지가 않아요.

먹을 거 다 팔고, 교통편도 나쁘지 않고. 그리고 내가 사는 신림은 대학동이 아니고 보라매 공원에 가까웠기 때문에 운동하러 가기도 좋았고. 되게 만족스러웠어요.

 

운동이 삶의 만족에 있어서 큰가요?

그때 운동할 때는 내 몸의 변화나 이런 걸 못 느꼈기 때문에 그냥 좀 트인 공간에서 나무 냄새 맡으면서 운동한다는, 그게 내가 살던 부산에서는 겪지 않은 거기 때문에.

 

부산에는 공원이 없어요?

부산에 공원 잘 없죠.

 

동네 공원이 없다고요? 그러면 보통 산책을 어디로 가요? 근처 산으로 가나요?

산. 산은 가까웠어요. 약수터도 있었고. 

원래 부산은 산이 많잖아요.

사람들 운동하면 산을 타죠. 

그럼 도시에는 공원이 그렇게 없는 거예요?

미군 부대가 빠진 자리에 큰 공원을 만들긴 했는데 소위 우리가 지금 말하는 보라매 공원이나 (거기도 어차피 공군 자리가 빠진 거였고) 하다못해 연남동 숲길 그 정도 공간도 못 본 것 같네요.

 

연남동 숲길도 최근에 지은 거긴 하지만, 그런 소규모 공원이 많지 않다는 건 가요?

적어도 내가 산 생활 환경에서는.

 

저는 부산 가서 본 공원이 용두산공원밖에 없거든요.

근데 그걸 서울로 치환할 때는 남산공원 같은 거니까. 남산공원이 서울 곳곳에 있는 게 아니죠.

 

네, 그런 공원 말고, 동네 조그마한 공원들이 많지 않다.

적어도 내가 살았을 때는 그러니까 애들이 놀 만한 놀이터도 없었던 것 같아요.

저도 어렸을 때는 동네 놀이터 없어서 그냥 남는 땅에서 구슬치기하고 그랬어요.

그 좁은 골목에서 동네 친구들 다 모여가지고 놀고. 놀 수 있는 공간은 동네 골목.

 

신림동에 살면서 좋았던 거랑 싫었던 거랑 한번 얘기해 볼까요?

좋았던 거는 아까 말한 것처럼 인프라가 좋아서 사는 데 불편함이 없었다. 그리고 보라매 공원 뒤쪽으로 병원들이 있거든요. 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 거기도 그렇고. 그 주변으로 개인 병원도 다 있어서 아플 때 병원 가기도 접근성 좋았어요. 15분 신림역. 아니면은 보라매 쪽으로 가면 바로 버스 정류장. 교통편도 나쁘지 않았어요.

살면서 불편함은 없었던 것 같고. 불편했던 거 딱 한 번 있었는데 그때 서울에 비가 엄청 많이 왔을 때였어요. 회사 사무실에서 일을 하고 있는데 인터넷에 침수 현황 사진 보잖아요.

되게 익숙한 동네가 있는 거죠. 아무리 봐도 우리 동네 같거든. 아니나 다를까 퇴근하고 가보니까 나는 1.5층인 2층에 살았고 1층 사람들은 반지하에 산 거죠. 반지하에 살던 사람들이 이만한 쓰레기봉투에다가 살림을 다 담고 있더라고요. 그때 처음 홍수 같은 거를 본 거예요.

 

물난리를 겪어본 거네요.

그거 보면서 앞으로 내가 또 어떤 곳에 살지는 모르겠는데 반지하는 절대 살면 안 되겠다.

 

그 동네가 저지대인가요?

저지대라기보다는 옆에 도림천이 넘쳐서 올라왔어요. 물이 다 안 빠졌을 때인가? 그때 도림천 따라 운동한다고 걸어가는데 농구 골대가 이만큼 올라와서 보이는 거예요. 그래서 심각하게 물이 많이 왔구나. 비가 많이 왔구나.

 

부산 살 때는 그런 걸 겪은 적이 없어요?

물난리를 겪은 적이 없었죠. 살아보면 부산이나 서울이나 강우량은 그렇게 차이 없는 것 같은데 그런 물난리는 본 적이 없죠. 오히려 뉴스를 볼 때 장마 기간에 물난리 겪는 곳은 해운대.

 

바다랑 가까워서 해일이 오거나 그런 거네요.

그리고 해일이 와도 내가 살던 동네는 40분 거리였기 때문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