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멈춤의 날 집회를 바라보며
오늘 교사들이 큰 집회를 했다는 뉴스로 아침을 시작했다. 마음이 참 복잡하다. 젊은 나를 평가와 민원과 업무와 수업으로 혹독하게 굴리기도 했지만 정말 아주 기본적인, 타인에 대한 따뜻함을 가르쳐준 그런 직업, 어떤 직업과도 바꿀 수 없는 ‘일'인데, 이제는 삐뚤어진 부모의 사랑과 법적책임이 결부되면서 선생님의 정체성이 굉장히 흔들리고 있는 것 같다. 선생님들의 요구사항을 하나하나 들어보니, 아주 솔직하게 말하자면 저게 과연 될까?라는 의구심이 너무 많이 들어서 꼰대로서의 죄책감도 심하게 들었다. 교사, 학부모, 학교, 교육청이 공동으로 책임지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하지만, 법적문제로서 따지게 되면 책임소재를 찾을 수 밖에 없고 화난 학부모가 교사가 책임이라고 하면 그걸 교육청이 마음대로 민사재판 소송을 막을 수가 있나? 교육청의 전문 변호사가 교사를 보호해줄 수는 있겠으나, 교사가 조금의 부담은 덜 수 있겠지만 이게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법인가? 지금 아주 근본적으로 문제가 되는 건 공교육에 대한 불신, 각자도생 학생과 학부모와 같은 아주 질적인, 문화적인 인식 차이 아닌가. 그런 관점에서 이번 집회가 학부모의 인식을 바꾸는 데 그래도 큰 힘이 될 것 같다고 생각한다. 학부모도 이제부터 말하기 전에 교사 입장에서 한번 생각해볼테니.
많은 사교육업체들에서 생겨나는 학부모와 교사의 관계가 공교육에도 똑같이 적용되다보니 이런 문제가 이어지는 것 같기도 하다. 학원에서는 학부모가 대가를 지불하고 교육이라는 서비스를 받는 소비자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그게 비상식적일지라도) 요구를 받아들이는 게 지당한 논리다. 그런데 공교육에서는 학부모가 소비자가 아니라,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문제를 같이 해결해나가는 ‘사람’들인데, 지금 이 사회는 공동체 정신을 운운하기에는 자본과 사법의 논리가 너무 복잡하게 엉켜버려 공동체? 개나줘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진 것 같다.
어제 유튜브에서 선생님 네명이 지금 공교육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는 걸 들었는데, 천경호 선생님이 하신 말씀이 정말 와닿고 계속 머리속을 맴돈다. 요즘 아이들은 ‘학폭’에 대해서는 무엇이 학폭이고 어떻게 신고해야 되는지 궤뚫고 있지만, ‘우정'에 대해서 물어보면 잘 대답을 못한다고 한다. ‘친구'를 어떻게 사귀는 지도 잘 모른다고 한다. 나 자체도 교사를 하면서 아이들에게 친구를 어떻게 사귀는 지 알려준 적이 있나? 친구를 괴롭히지 말라고만 가르쳤던 것 같고, 친구를 이해해보라고 가르쳐 본 적은 없는 것 같다. 나라는 사람도 우정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해본 적이 있나? 친했던 친구들은 있었지만, 결혼한 뒤로는 그렇게 자주 만나지는 못는다. 손절당하기 싫은 마음에 친구에게 연락하는 것도 신중해야하고, 말하는 것도 조심해야 한다. 솔직히 우정이 남편과의 관계보다 더 힘들다. 이렇게 나도 사람과의 관계맺기가 힘든데, 우리 아이들에게 학교에서 가르쳐줘야 하는 건 사람들과의 관계맺기일 것 같은데. 요즘은 학교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건 관계가 끊어지면 법적으로 어떻게 대처할지인 것 같다. 아주 슬프게도.
담임교사로서 학부모들과 이런 저런 상담을 하면 점점 가면 갈 수록 불안감이 높아진다는 걸 알 수 있다. 요즘 뉴스에 너무 많이 나오는, 좋지 않은 상황들을 보며 사람들은 심각한 불안감을 느끼고, 이런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아이에게 녹음기를 채워 보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울타리를 세우고 있는 것 같다. 그러면서 공동체라는 큰 범주는 점점 더 작아지고, 나의 사람들 이외의 인간들은 모두 다 적이 되고, 적이 많아질 수록 불안은 더 커지고. 이런 아주 당연하게 흘러가는 상황을 어떻게 법으로 해결할까? 이런 공동체 정신이 사라지는 이 상황을 어떻게 처벌법으로 바꾸냐는 말이다. 답이 안나오는 이 현실에 진짜 한숨만 나온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Db4WMFjg6dI&t=789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