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영화 <남한산성>

무드는 좋으나, 영화적 매력은 아쉬운



병자호란은 자랑스러운 역사가 아니다. 그래서일까. 많이 표현되지 못했다. 하지만 그 이야기를 드디어 쉽게 만나볼 수 있게 됐다. 추석 시즌 개봉을 앞둔 영화 <남한산성>을 통해서 말이다.


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인조가 남한산성에 47일 간 피신했다가 결국 청나라에 굴욕적 항복을 했다)을 그린 <남한산성>은, 김훈 작가의 동명 원작 소설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영화는, 인조를 국왕으로 추대한 1등 공신들 중 한 명인 정치가이자 학자 최명길과 김상헌과의 대립을 그려낸다. 전쟁을 피하고 평화를 이끌어내자는 '주화론'을 내세운 최명길과 일전을 불사해야 한다는 '척화론'을 내세운 김상헌의 대립 과정. 그렇다면, 메가폰을 잡은 황동혁 감독은 어떤 연출 방식을 택했을까.


정통 사극의 형태를 따른다. 영화는 원작과 역사의 흐름을 충실히 기술한다. 특별한 창의성을 가미하지 않고, 사실에 근거하여 묵직하게 전개해나간다. 그래서일까. 몇몇 관객들은 '다큐멘터리 같다'라는 의견을 내비치기도 했다. 필자 역시 같은 생각이다. 다큐멘터리 같아 지루하다고 여기는 관객들도 많겠지만, 필자는 서사적인 연출 스타일이 좋았다. 과장 없이 표현됐기에, 원작이 지닌 묵직한 분위기가 곧잘 반영됐다고 생각한다. 픽션을 기대했던 관객들에겐 이 부분에서 다소 실망을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지루하지는 않았다.

140분 가량의 짧지 않은 러닝타임과 픽션적 매력이 없는 연출 방식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는, 배우들의 활약 덕이 컸다고 볼 수 있다. 영화에서는 인물들을 클로즈업하고 그들의 세계관이 반영된 대사를 집중 조명한다. 그래서일까. 배우들의 내면 연기가 돋보였다. 특히, 최명길 역을 맡은 이병헌의 눈물과 입 밖에 옅게 나온 침, 휴머니즘을 안은 부드럽지만 때로는 강직한 표정 연기가 인상적이었다.





더하여, 영화에 대한 기대 중 하나였던 전투 신(scene)에 대한 언급.

약하다. 우선, 실제 군사력도 약했거니와, 영화에서도 전투 신에 집중하지 않았다. 이 영화에서 군사들의 몸으로써의 전투보다 더 전투 같은 부분은 최명길과 김상헌의 말로 벌이는, 버벌(verbal) 액션이다.





<남한산성>은 영화다운 작품이라기보다는, 역사를 답습하는, 원작(책)을 읽지 않은 관객들에게 역사를 보다 편하고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학습 자료같다고 말할 수 있겠다. 필자는 영화를 보는 내내 원작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원작을 뛰어넘는 영화는 거의 없다는 말이 편견보다는 사실이라고 생각하는 입장으로써, 원작을 꼭 접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김훈의 소설과 에세이를 많이 접하진 못했으나, 그의 필력이 '훌륭하다'는 표현으로는 모자랄 정도라는 건 알고 있다. 그의 <남한산성>을 읽어봐야겠다.


전체적인 느낌은 좋았다. 묵직한 분위기, 병자호란의 쓰디쓴, 참담한, 비극적인 결말처럼 영화를 이끄는 냉랭한 분위기가 잘 반영됐기 때문이다. 재미를 기대한 관객들에겐 아쉬운 평이 잇따를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 <저수지 게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