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앨범 리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수진 Nov 16. 2021

쉭(Chic) <Risque>(1979)

디스코의 시작. 나일 로저스와 버나드 에드워즈.

밴드 Chic. 이들의 이름이 익숙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들의 영향 아래 노출되지 않은 뮤지션은 거짓 조금 섞어 (거의) 없다. 1970년대 중후반 디스코가 발족한 이후 전 세계가 ‘토요일 밤의 열기(Saturday night fever)’로 들썩이던 그때, 중심에는 밴드 쉭이 있었다. 평단과 대중에게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 Risque >를 통해 그룹의 가치와 음악적, 역사적 맥락을 되짚어 봤다.  

   

나일 로저스와 버나드 에드워즈

연주자가 밴드의 대표가 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쉭은 다르다. 그들의 대표곡 ‘Le freak’, ‘Good times’를 꺼내 들었을 때 단박에 ‘아, 이 곡!’ 하며 익숙한 선율을 떠올리겠지만 노래를 부른 보컬의 이름은 알지 못한다. 쉭은 명백히 기타의 나일 로저스와 베이스의 버나드 에드워즈의 것이었다. 1996년 에드워즈가 폐렴으로 세상을 뜨기 전까지 이들의 생명은 계속해서 같이 이어졌다.     


1970년대 중반 ‘디스코텍(discotheque, 지금의 클럽)’에서 이름을 딴 ‘디스코’가 세상에 내려앉았다. 반복되는 리듬과 이렇다 할 가사 없이 철저히 즐거움에 초점 맞춘 노래는 종종 가벼웠고 정확히는 가볍게 보였다. 도나 섬머, 비지스 등이 디스코 열풍을 점화했다. 로드 스튜어트는 ‘Da ya think I’m sexy?’로, 롤링 스톤스는 ‘Miss you’로 그 시류에 안착, 빌보드 싱글차트 정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디스코에는 시대가 담겨있다. 춤추고 춤추며 잊고자 한 것은 베트남 전쟁의 상흔이다. 1975년 베트남전이 열었던 문을 잠그자 과거를 잊게 하는 밝은 곡들이 쏟아졌다. 그중에서도 쉭은 가장 정치적이었다. 밴드의 원 그룹명이 ‘알라 앤 더 나이프 월딩 펑크스(Allah & the Knife Wielding Punks)’ 즉, ‘알라신과 칼을 휘두르는 펑크족’일 만큼 그들은 뭔가 달랐다.      


Good times

이들의 음악에는 은유적인 가사가, 그래서 시대적인 메시지가 담겨있었다. 특히 음반의 첫 곡이자 대표곡 ‘Good times’는 당시 미국 경제 침체를 향한 시선을 함축적으로 나타낸다. ‘지금은 좋은 시간이며 운명을 바꿀 수 없으니 자이브와 지르박을 춥시다’라는 외침. 여기에는 잔혹하고 동시에 일리 있는 낙관이 넘실거린다.     

8분의 러닝타임 동안 단 두 개의 코드만을 오가는 곡은 전작 < C’est Chic >(1978)의 ‘Le freak’ 이후 차트 정상에 오른 유일한 곡이다. 동시에 역사상 가장 많이 샘플링된 노래이기도 하다. 싱글이 공개된 1979년 슈가힐 갱의 ‘Rapper’s delight’에 샘플링된 것을 시작으로 그랜드 마스터 플래시의 ‘Adventures on the wheels of steel’, 블론디의 ‘Rapture’, 퀸의 ‘Another one bites the dust’ 등에 곡의 잔류가 흐른다. 

  

리듬박자변화

또 하나 쉭의 강점은 멈추지 않고 반복되는 리듬에 있다. 수록곡 ‘My feet keep dancing’을 들어보자. 여성과 남성의 보컬이 교차하며 합을 쌓다가 적소에 등장하는 박수 소리는 곡의 매력을 십분 살린다. 초기 히트곡 ‘Dance, dance, dance (yowsah, yowsah, yowsah)’와 같이 리듬을 부각하는 클랩비트의 등장. 이는 그룹이 쫀득한 리듬과 박자의 뽑아내고자 얼마나 골몰했는지를 증명한다.     


앨범의 또 다른 히트곡 ‘My forbidden lover’ 역시 마찬가지. 펑키한 리듬감으로 무장해 작품의 무드를 잇는다. 이렇듯 이즈음 쉭의 음악은 팝 역사상 처음으로 리듬이 노래의 핵심 요소로 자리하는 데 일조했다. 1979년 ‘디스코 파괴의 밤(Disco Demolition Derby)’으로 짧고 강하게 끓어올랐던 디스코 붐이 내리막길로 접어들지만 이들의 음악은 계속해서 영향력을 뽐냈다. ‘랩’과의 조우. 강렬한 리듬감 위에 놓인 빽빽한 가사들은 1980년대 언더그라운드 흑인 음악 신을 시작으로 점차 세상을 정복했다.     


디스코로 연결하다!

나일 로저스와 버나드 에드워즈가 쏘아 올린 축포는 1979년을 ‘디스코의 시대’로 만들었다. 실제로 외국의 한 평론가는 이 음반을 디스코 시대를 정의한 음반으로 뽑기도 한다. 이렇게 등장한 나일 로저스는 이후 데이비드 보위의 ‘Let’s dance’, 듀란듀란의 ‘The reflex’ 등을 프로듀싱하며 음악적 역량을 펼쳤다. 특히 마돈나의 두 번째 정규음반 < Like A Virgin >을 매만지며 그는 ‘디스코풍’ 음악의 매력을 계속해서 사회와 연결했다.     

디스코의 흔적은 어디에나 있다. 완연히 주류로 올라온 랩과 힙합에도, 하우스 등의 전자음에도 디스코가 묻어있다. 그러니 쉭을 듣는다는 것은 그 음악의 뿌리를 듣는다는 것과 같다. 오늘날 나일 로저스를 쉭의 멤버보다는 2013년 다프트 펑크와 함께한 ‘Get lucky’로 기억할 가능성이 크다. 아무렴 어쩌랴. 그렇게 디스코는 그리고 쉭, 나일 로저스는 디스코를 이어가고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보수동쿨러 <Yeah, I Don’t Want It>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