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앨범 리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수진 Apr 17. 2022

호미들 <Generation>(2021)

★★☆ 공정성의 시대, 호미들이 사랑받는 법

공정성의 시대, 호미들이 사랑받는 법

오늘날 서사 없는 '머니 스웩(swag)'은 인정받지 못한다. 특히 스웩과 떼려야 뗄 수 없는 힙합에서 스웩이 스웩으로써의 역할을 하려면 제대로 된 디딤돌이 있어야 한다. 음악 청취자가 그들의 자기과시를 인정하고, 동경하고, 그리하여 그들을 '진정한 래퍼'로 받아들였을 때 스웩은 스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00년 출생으로 동네 친구 셋이 모여 만든 호미들에게 스웩의 디딤돌은 가난했던 어린 시절이다. 처음 대중의 관심을 끈 EP < Ghetto kids >를 비롯해 이들이 계속해서 끌어오는 게토(빈민가) 서사는 호미들 스웩의 진정성을 만든다. 즉, '주머니가 무거워서 바지가 안 올라가'('빽')는 삶을 사는 현재는 '매일 밤 날 태우고 여주로 데려가던 그때 그 봉고차'('내 목소리가 들리지'), '가끔 영등포 폐가 때처럼 땀 흘리며 인나'('말했었잖아')던 시절과 등치가 되며 그들만의 정체성이 된다.


정규 1집 < Generation >엔 그런 정체성이 가득 차 있다. 또한 이는 그들 스웩에 서사적 완결성을 부여한다. 'Business man'의 '쟤네들은 가사 쓸 때 전부 허위로 / 우린 우리만의 노력으로 전부 이뤄'나 '뚝'의 '바쁜 척해 술 리에서 보여 매일 / 우린 여전히 작업해 / 나는 직접 만들어 내 돈'이란 발화는 가난했던 시절과 맞닿으며 무결한 성장 서사로 완성된다. 누구와 달리 정말 가난했던 어린 시절을 회고하며 래퍼로서의 진정성을 내세우는 것이다.



'진정성'은 호미들에게 있어 양날의 칼이다. 가난이 그들만의 '정체성'이자 '진정성'의 토대가 될 수 있지만 이후 이를 풀어나가는 방식은 지나치게 전형적이다. 차, 명품, 가족, 여자. 부와 명예를 과시하기 위해 소환하는 소재가 지극히 평범하고 익숙하다 못해 일면 시대착오적이란 느낌까지 든다. 'Intro'부터 '리제로'로 이어지는 전반부는 가히 레퍼런스의 반복이자 누구나 쓸 수 있는 비유의 절정.


'벌고서 보니까 이거만 한 게 없더라 ** 최고야 명품과 사치 ferrari 488'('Generation'), '우리가 바지 내릴 때 넌 앞머리나 내리고'('No hook'), 등 차나 명품을 향한 예찬을 힙합 문화의 허슬에 엮어 해석하더라도 거의 모든 곡에 쓰이는 혐오 표현은 호미들이 대표하고자 하는 대상이 누구인가 묻게 한다.


'리제로'의 다음 표현을 보자. '밥 먹을 땐 아무거나 먹지만 / 하룻밤을 보낼 땐 언제나 미식가'. 'RPM 8000'은 '그녀는 먹고 싶어 해 내 빠삐코 / 백화점으로 산책 화장실 갈 때 아니면 1층만 가네'라고 말한다. 이 외에도 그들의 곡 안에서 여성은 '싼 티가 나는 여자 BJ'('다 그대로')로, 'bitch'로, 나아가 'hoe girl'로 차용될 뿐이다.


결국 이들이 대표하고 연대하고 손을 얹는 것은 '차용되지 않고 차용할 수 있는, 차용하는 것을 꿈꾸는 자'들 이다. 음반 명인 '세대(generation)'가 지칭하는 것 역시 앞선 예시의 사람만을 포함한다. 결국 '난 끝까지 너네의 힘이고'('하루가 달리')와 '이젠 우릴 믿고 도전해 my friend'('Outro')로 이어지는 음반의 마무리까지 어떤 청취 층은 끝끝내 비가시화된다.


공정성의 시대 호미들의 성공이 '특정 세대'에게 사랑을 받는 건 '한 세대'의 모습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가난, 성공, 책임감, 여성의 수단화 등등. 이 앨범은 그 쓰라린 초상을 보여주고 그 초상을 반복해서 강조한다. 호미들의 넥스트 스텝에 관심이 갈 수밖에 없는 건 그들이 이 배제를 어떻게 풀어가며 '가난 서사'를 어떻게 발전시키느냐가 관건이기 때문이다. 호미들의 머니 스웩, 진정성, 정체성이 짙어지느냐 흩어지느냐는 이 음반을 시작으로 다시 출발선 앞에 섰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