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동 Oct 07. 2023

마냥 웃을 수는 없었던 홍상수의 하루

부산국제영화제 프리미엄 - <우리의 하루> 스포일러 있는 후기



동상이몽


이 영화는 두 주인공의 시점을 연이어 보여준다. 첫 번째 주인공은 상원이다. 상원은 여배우다. 상원은 친한 언니 정수의 집을 찾아간다. 상원은 잠을 많이 잔 것 같다. "언니. 왜 나 안 깨웠어?" "너 잘 자더라." "언니. 이런 일 있으면 다음에 좀 깨워." 영혼이 없어 보이는 투정 몇 마디를 나눈다. 인생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는 둘. 하지만 서로가 이 대화는 껍데기뿐이라는 걸 잘 알고 있는 듯하다. 난데없이 시야에 들어오는 강아지. 강아지의 이름은 '우리'다. 우리야 안녕! 상원은 환하게 웃으며 인사한다. 먹이를 주는 상원. 정수는 상원에게 "먹이를 많이 주진 마라"라고 조언한다. 하지만 상원에게 중요한 건 그게 아니다. 주고 싶은 만큼 먹이를 주는 상원. 그 순간 두 사람에게 손님이 찾아온다.


두 번째 주인공은 시인 홍의주다. 홍의주는 유명한 시인이다. 폭넓은 인지도 덕에 젊은 사람들의 관심이 최근 급증했다. 하지만 홍의주가 원하는 건 넓은 인지도가 아니다. 바로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사는 삶이다. 사실 의주는 얼마 전에 '이제 술, 담배를 하다간 정말 위험하다'라는 진단을 받았다. 사력을 다해 금연에 절주 중인 의주. 이런 의주를 찍기 위해 영화과 학생 기주가 의주의 곁에 있다. 하하 호호 즐거운 대화를 나누는 기주와 의주. 이 두 사람에게 낯선 손님이 찾아온다.


물안에서


글쓴이가 생각하는 홍상수의 최고 강점은 신선함이다. 홍상수는 매번 다른 영화를 만들었다. 가장 최근작 3편 <소설가의 영화> <탑> <물안에서> 역시 마찬가지다. <소설가의 영화>는 흑백과 컬러의 대비로 홍상수의 창작론과 동기부여에 다룬 영화였다. 홍상수 영화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쿠키영상에 들어갔다. 이 쿠키영상에 담긴 짧은 엔딩에 미적 아름다움을 눌러 담았다. 보통 무심하게 현상을 담았던 홍상수의 카메라가, 예전과는 다르게 극적인 연출력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탑>은 홍상수의 멀티버스 영화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영화에서 나타나는 건물이 단순히 주거공간으로서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다. 사실상 각기 다른 세계관을 품고 있다. 하지만 이러 여러 변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 이 '변하지 않은 존재'가 진주인공인 영화가 <탑>이었다. <물안에서>는 영화 전부를 아웃포커싱으로 촬영했다는 점이 알려져 있다. 이 아웃포커싱은 아무 이유없이 들어간 것이 아니다. 전반적으로 깔려있는 어두운 분위기가 생과 사의 갈림길을 흐려놓는다는 점에서 ‘물 안’이라는 콘셉트와 어울린다. 홍상수가 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촬영으로 구현한 것이다.


본작 <우리의 하루>역시 신선하다. <낮과 밤> 이후에 오랜만에 자막으로 상황을 전달하는 장면이 나왔다. 자막이 들어가는 방식도 이후의 장면과 아이러니하다. 가령 두 번째 장면에서 시인 의주에게 손님이 인생, 사랑, 진리가 무엇인지 묻는다. 이 장면을 보면 의주는 거침없이 술술 대답한다. 하지만 이 장면 첫 자막에서는 ’의주의 마음이 복잡하다 ‘는 식의 대사가 적혀있다. 자막과 작중 실내 상황이 대치되는 것이다. 후반부에 정수가 고양이를 잃어버리는 장면에서는 ’정수는 고양이를 잃고 잃을 수 없는 것에 대해 생각한다 ‘라는 대사가 시퀀스의 시작이다. 영화에서 관객이 유추할 수 없는 것들을 일부러 자막으로 보여준 셈인데, 이는 홍상수의 필모그래피에서 볼 수 있었던 경향이다(대신 어떻게의 관점에서 이 연출법은 기존의 필모그래피에서 찾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의미부여를 거부하는 것이다. 비단 자막뿐만 아니라 고양이 ‘우리’와 ‘고추장 풀어 먹는 라면’ ‘미안합니다’ 라는 대사 역시 마찬가지다. 두 주인공의 이야기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받았다는 걸 인정하지 않았다. 둘이 영향을 받았다면 영화에서 의미부여를 인정한 셈이 된다. 하지만 홍상수는 이를 뒤엎는다. 작중에서 의주가 하는 말처럼 ‘네가 아는 답은 전부 오답‘이라고 영화가 연출 내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그 쓸쓸함에 대하여


이 영화는 코미디로서도 탁월하다. 이 영화를 보고 2010년대 초반의 홍상수가 떠올랐다. 홍상수 특유의 19금 코미디는 물론이고 어색한 상황으로 웃기는 장면도 몇 있다. 글쓴이가 생각하는 최고 웃긴 장면은 가위바위보 신이다. 기주봉 배우가 능청스러운 연기에 탁월한 것도 물론이지만 그 상황 자체가 워낙 재미있다. 김승윤 배우는 술자리 많이 불려 다녔을 것 같았다.


하지만 고밀도의 유머 밑에 깔려있는 그림자는 무시할 수 없다. 이전에 죽음에 대해 다룬 <강변호텔> <물안에서>는 아예 직간접적으로 죽음이 등장한다. 각각 두 영화의 엔딩이 그 예다. 하지만 이 영화는 내내 웃기면서도 한편으로는 쓸쓸하다. 바로 홍의주라는 인물 때문이다. 이 캐릭터는 욕망에 솔직하다. 딸을 사랑하는 듯 보이지만 가족들과 별거 중이고, 술, 담배 하지 말란 말이 무색하게 엔딩에서 치킨과 양주를 마신다. 또 젊은 친구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가위바위보 게임’을 요청한다. 영화의 엔딩은 사실상 이 모든 것의 결과물처럼 보인다.홍의주는 영화의 모든 선택의 주체가 되어 자기 마음대로 인물들을 이끌고 있다 혼자가 된 것이다. 영화가 갖고 있는 이런 아이러니가 씁쓸하다. 영화에 내내 웃기다가도 엔딩의 홀로 있는 홍의주를 보면 그 웃은 만큼의 복잡 미묘한 감정이 올라온다.


홍상수의 하루


이 영화가 끝나고 난 후의 gv는 화기애애한 분위기 아래에서 진행됐다. 그중 가장 흥미로웠던 질문은 영화가 다루는 몇 소재에 관한 것이었다. 우선 ‘고추장 라면’에 대한 질문이 있었다. 박미소 배우는 이 장면에서 ”‘지수가 라면을 먹고 상당히 매워한다’는 부분이 그냥 각본에 있다“고 밝혔다. 극 중에 등장하는 ‘가위바위보 게임’에 대한 질문이 있었다. 이에 대해 기주봉 배우는 “홍상수 감독이 실제로 술 마시면서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답했다. 홍상수 감독의 연기 디렉팅에 대한 질문도 있었는데, 하성국 배우는 “홍상수 감독님이 정확히 원하는 바가 있다. 하지만 그 안에서 자유롭게 하라고 하신다“라고 말했다.


<우리의 하루>는 부산국제영화제에서 10월 11일 오후 15시 30분에 상영된다. 장소는 롯데시네마 센텀시티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