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97분 동안 영화관에 앉아, 나는 성 긍정이고 해방이고를 떠나 한국 사회를 생각했다. 애국자라서 나라 걱정을 한 게 아니고 이전까지의 영화들을 떠올렸다.
2008년에 우리나라에서도 성매매 남성을 다룬 영화가 있었으니, 바로 <비스티 보이즈>이다. 나는 아직도 하정우, 아니 재현의 대사 "사랑한다고 XXX아"를 잊을 수가 없다. 매일매일 데이트 폭력과 스토킹 살해, "왜 안 만나줘"라는 문장이 포함된 뉴스기사를 본다. 재현의 입을 빌려 이 사건들을 재언할 수 있다.
사랑에는 실로 다양한 모양이 있으나 거기에 폭력은 없어야 한다. 사랑과 폭력이 병기되는... 데이트 폭력, 가정 폭력이, 좋아해서 괴롭히는 걸로 시작하여 자기를 왜 안 만나주냐며 좋아하는 여자를 죽이는 일이 매일매일 지겹도록 일어나는 현실 앞에서 <굿 럭 투 유, 리오 그랜드>를 보는 97분간 적잖이 심란했다. 영화를 납작하고 평면적으로 말하자면 성매수자와 성매매자가 네 번 만나는 이야기이다.
<굿 럭 투 유, 리오 그랜드>의 감독은 관객들이 "재미있고 섹시한 영화", "해방된 느낌", "자유" 등을 느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논외로 이제 대부분의 영화 제목이 번역되지 않아 통탄스럽다. 세상에는 굿 럭 투 유가 무슨 뜻인지 모르는 사람도 많을 텐데. 영어를 모르면 아파트도 못찾고, 가게에서 메뉴판도 제대로 못보고, 터미널에서 표 사기도 어려운 이 나라에서, 이제 영화도 못 보는 게 아닐지 심히 걱정된다).
등장인물은 딱 세 명이다. 호텔 카페 직원 베키는 10분도 등장하지 않으므로 두 명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배경도 세 군데이다. 리오가 대기하고 있던 카페, 호텔룸 하나, 호텔 카페. 두 카페는 10분도 등장하지 않으므로 한 곳이라고 봐도 되겠다.
사각형의 작은 방 안에서 모든 일이 이루어지며, 이들은 밖에 나가 걷거나 음식을 먹거나 사람을 만나지 않는다. 사회와 연결되지 않은 고립된 공간은 이 '판타지스러움'을 부연한다. 카메라가 담지 않고 관객이 궁금해하지 않을 노인의 나체를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모든 것이 판타지다.
판타지 속 세상이므로, 주인공들의 이름도 가짜다. 리오 그랜드를 기다리는 낸시는 초조하다. 구두도 갈아신고, 향수도 뿌리고 만반의 준비를 한다. 문을 열고 들어오는 리오 그랜드는 아일랜드 사람에 키도 크고 몸도 좋고 인물도 좋아 낸시는 그만 자신감을 잃어버린다.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다. 돈이면 최고! 돈 준다면 감옥살이도 오케이!인 시대에, 구매자는 판매자보다 당연하다는 듯이 우위에 선다. 그런데 낸시는 돈을 왕창 내놓고도 을이 된다. 남자, 그것도 자기가 구매한 성매매 남성의 시선마저도 신경쓴다. 성별이 반대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권력이란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는 것이 아닐까. 자본권력에서 우위에 선 낸시는 젠더권력에서는 열위에 위치한다. 한편, 자본권력 없는 리오는 젠더권력에서 우위를 차지한다. 이는 <비스티 보이즈>의 주인공들과도 일맥상통한다. 재현은 미선의 돈을 들고 튀고, 승우는 지원을 스토킹하다 죽인다. 힘은 누구에게 있는가.
여자의 몸은 자주 물화된다. 여자의 몸을 물건처럼 확대하고 축소하고 조각내는 행위가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자주 둔갑한다. 여러 감독들의 미장센들이 떠오르지만... 길게 이야기할 필요는 없겠다.
아무튼, 물화된 대상은 타인의 시선에 의해 평가받기 일쑤인데, 여자의 몸은 단골 소재다. 나노 단위로 쪼개고 쪼개가면서 평가받는다. 사회에 나가는 과정에서 어찌 되었든 1회 이상의 면접은 치르기 마련이다. 면접 자리가 몹시 불편하고 불안한 이유는 내 앞에 앉은 사람이 나를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세상에 예쁘니 어떻니 하며 외모만을 평가하는 건 다소 촌스러운 행위다. 그렇지만 낸시는 은퇴한 종교학 선생이고 옛날 사람이니, 낸시가 젊었을 적에는 얼마나 더 작은 단위로 평가했겠나. 그렇기에 낸시는 자신이 없다. 젊었을 적부터 뱃살과 팔뚝살이 싫었고, 나이 든 지금은 말할 것도 없다.
리오는 '퍼스널 서비스' 제공이 직업이다. 영어로 말하면 좀 있어보이는가 싶지만, 고객의 판타지를 실현시켜주는 성매매 남성이다. 넷플릭스 영화 <퍼펙트 데이트>의 밀실 버전이라고 보면 될까. 학생들에게 성매매에 관한 리포트를 쓰는 숙제도 내주었던 종교학 교사 낸시는 남편과 사별한 후 이제 자신만의 삶을 좀 살아보려고 한다. 그중 하나가 자유로운 섹스인 듯하다.
안타깝게도 모 연구에 의하면 가장 오르가즘을 적게 느끼는 집단이 이성애자 여성이라고 한다(여원뉴스, 2018. 8. 7.). 그렇기에 이성애자 여성인 낸시가 평생 한 번도 느껴본 적 없다는 말은 전혀 이상하지 않다. 그러니 한번 해보자 싶어 리오를 예약한 것.
첫 번째 만남은 대화, 두 번째는 도전. 세 번째는 갈등이다. 낸시는 세 번째 만남까지 특별히 오르가즘을 느끼지 못하는데, 세 번째 만남에서의 갈등이 인상적이다. 낸시는 리오의 사적인 정보를 캐내고, 말 그대로 선을 넘는다. 이 정도로 친해지면 밖에서도 만날 수 있다고 착각한다. 어머니와의 관계를 회복해보라고 종용하고, 당당하게 직업을 밝히라고까지.
리오는 선을 넘은 낸시에게 흥분하며 화를 내고 소리를 지른다. 간혹 이상한 어머니들이 있다. 남자들을 다 아들처럼 보는 어머니. 낸시의 아들은 차분하게 공부 잘하는 남자이고, 딸은 자유분방하게 사는 여자이다. 낸시는 아들이 지루하고, 딸은 골치아프다고 한다. 리오에게 자식들의 흉을 보면서 리오의 엄마는 리오가 무슨 일을 하더라도 자랑스러워할 거라는 말은 어폐가 있다.
결국 모든 갈등이 끝난 뒤, 호텔룸이 아닌 호텔 커피숍에서 만난 다음에야 낸시는 오르가즘을 경험한다. 그것도 스스로. 그리고 리오에게 영원한 이별을 고한 뒤, 거울 앞에서 자신의 벗은 몸을 바라본다.
*
여성의 억압된 성을 해방하고자 하는 시도가 좋았다. 그러나 이 영화가 한국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질지는 관객에게 맡겨야 하겠다. 어쨌거나 모든 섹스가 좋은 호텔과 맛있는 술, 충분한 대화와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사귀는 사이니까, 부부니까 의무적으로 맡겨놓은 것 찾듯이, 분위기도 멋도 없는(단적인 예로 장기연애 콘셉트로 유명한 유튜브 채널 같은) 그런 관계에서 만족하는 여성이 몇이나 될까 싶다.
성매매 여성의 삼라만상은 이미 소설과 영화와 그림과 기타 등등에서, 아니, 뉴스와 유흥가가 깔린 골목에서 너무도 자주 접했다. 이토록 개방적인 남성의 성 반대편에 이토록 폐쇄적인 여성의 성이 있다. 그리고 성에 개방적인(또는 개방적이지 않은) 여성을 지칭하는 저급한 언어들이 지천에 깔렸다. 그리고 여성 자체를 지칭하는 수많은 멸칭들이 널리고 널렸다. 여자들이여. 이제 유교걸이라는 히잡은 저리 벗어두고 만족하고 오르가즘을 느끼며 살자, 했다가 걸레가 날아오는 그 징그러운 말들을 얼마나 듣게 될까.
서두에서 이 영화를 '성매수자와 성매매자가 네 번 만나는 이야기'라고 하였는데, 영화에서 아무리 좋은 마무리를 지었든 간에 나는 성매매에는 끝까지 반대한다. 마무리는 'Love yourself'로. 타인의 시선과 인정이라는 렌즈를 박살내버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