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로진 Dec 02. 2022

청춘은 스마트폰 속에 있지 않다

12/1 개봉영화 <청춘시련>

"청춘! 이는 듣기만 하여도 가슴이 설레는 말이다."로 시작하는 민태원의 수필 <청춘예찬>. 내가 고등학생 때까지만 해도 교과서에 실렸는데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다. 음악교과서에 빅뱅이 나온다는데...


다시 청춘. 청춘이라는 말은 때때로 면죄부가 된다. 조금 서툴러도 그러려니 해 주는 시기가 청춘이다. 청소년기와 청년기를 보내기는 참으로 냉혹하다. 그러려니 해주면서도 봐주는 법이 없다. '네가 애냐'에서부터 '어린 놈의 자식이'까지. 그렇게 주변인인 채로 시간이 흐른다.


청춘시련. 청춘에 겪는 흔하고 공감되는 시련에 관해 말할 것만 같다. 누구나 지난한 청춘을 보내왔고, 저마다 자랑할 만한 어려운 시기들을 넘겼으리. 시기는 다를지언정 청춘은 개인의 것을 넘어 보편성을 가진다.


그러나 여기 이 청춘은 다르다. 청춘이라는 말이 어울리지도 않고 붙여서도 안 되며, 청춘과 아무런 관련도 없다. 청춘보다는 '시련'에 집중해야 하는데, 고난과 몹시 어려운 수행 같은 시련이 아니라 弒戀, 죽일 시에 그리워할 련이다. 연인할 때 연. 그리하여 영제는 Terrorizers.



유팡의 집에 같이 사는 밍량. 어느 날 남자친구와 기차역에서 기차를 기다리다 괴한의 습격을 받는다. 그 복면 쓴 강도는 참으로 허술한데, 대낮에 장검을 휘두르고도 조용히 넘어갈 줄 알았을까?

 

밍량은 VR로 혼자 검술을 연습했다. 검술이라고 하면 너무 고상하고, 평소 죽어라 하던 게임에서 캐릭터들을 칼로 찌르던 것에 과몰입했다고 보면 되겠다.



'찐따'라는 단어가 썩 좋진 않은데 그 단어를 대체할 말을 찾지 못했다. 밍량은 찐따다. 친구도 없고 애인도 없다. 하는 건 핸드폰 게임과 av영상 보면서 자위하기 뿐이다.


그가 보는 av영상의 주인공은 모니카. 모니카는 돈 때문에 성인물을 찍게 된다. 싫었지만 어쩔 수 없다. 헤어진 남자친구가 모니카에게 준 것들을 다 뺏었기 때문이다. 모니카는 유팡의 연극 극단 동료라, 집에서 하루를 머문다. 밍량은 문틈 사이로 그들을 훔쳐본다.



밍량은 식당도 같은 곳만 간다. 그곳에는 선원요리사였지만 이제 땅에 터를 내리고 싶은 둥링이 있고, 식당 딸 키키는 코스프레에 완전히 과몰입한 오타쿠다.


키키는 게임 외에는 무신경한 밍량을 방으로 초대한다. 애니메이션 코스튬을 입고 밍량의 앞에서 코스프레를 하는데, 밍량은 키키를 덮치려 든다.

'이런 옷을 입었으면 동의한 것이 아니냐'는 논리, 어디서 들어봤더라.



밍량은 술 취한 마사지사를 가게에 데려다준 인연으로 마사지사와 깊은 관계를 맺는데, 마사지사는 밍량의 말을 다 들어주고 믿어주는, 사실상 유일한 현실 인물이다. 마사지사에게 밍량은 "썸녀"에 대하여 자주 말한다.


밍량은 한 남자를 습격한다. 하지만 실력이 썩 좋지는 못하여 밍량도 팔에 부상을 입는다. 어쩌다 다쳤냐는 마사지사의 말에 밍량은 대답한다. 썸녀의 전남친에게 복수를 해줬다고.


밍량은 썸녀가 살던 아파트에 몰래 들어간다. 썸녀의 아파트에는 썸녀와 유팡이 함께 있다. 그들은 사랑하는 사이였지만 이제 헤어져야 한다. 밍량은 그들을 '불법촬영'한다.


그리고 출국하는 모니카의 뒤를 쫓다가, 갑자기 다가가 사랑한다느니, 난 너의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느니, 지켜주겠다느니. 모니카가 싫다고 하니 이제 한국에서 뻔한 레퍼토리가 나온다. "왜 안 만나주냐"는 거. 내가 너를 이만큼 사랑하는데 감히 네가 말 왜 안 만나주냐는.


경찰들에게 저지당한 밍량은 모니카의 아파트로 또 찾아간다. 그런데 하필이면 그날은 키키와 그의 친구가 촬영을 왔고, 촬영이라는 근사한 말 대신 우리나라의 경우 음란게시물 같은, 트위터의 노출 계정 비슷한 그런 일을 한다. 촬영자 역시 키키의 연기를 보고 키키를 덮치려 한다.

 

밍량이 하필 거기에 있으니 키키를 구해주긴 하는데 그놈이 그놈이라는 생각은 사라지지 않는다.



유팡과 둥링의 쓰임이 다소 아쉽기는 하다. 정치인의 딸, 이혼가정에서 버려진 자녀, 그래서 늘 애정을 갈구하는 역할. 그 애정의 방향이 둥링과 모니카에게 향하는데, 이야기는 모니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둥링의 존재감도 미미하다. 이 영화는 밍량만을 생각하는 것도 머리가 아프다. 청춘이라는 주제에 관한 고민보다는 오타쿠 문화나 동성애 같은 나름대로 핫한 소재에만 집중했다는 느낌이 없지 않다.


'왜 안 만나줘'를 이유로 폭력을 행하는 뉴스 기사들을 너무 많이 봐서 넌더리가 나는데, 대만에서는 이런 일이 청춘이라는 이름을 차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란 말인가. 찐따 오타쿠남이 음침함과 망상으로 일면식도 없는 여성의 집에 찾아가 왜 안 만나주냐는 이유로 그 집에 사는 세 모녀를 살인한 일이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이다.  영화가 진부하게 느껴질 정도였다.


젊어서 할 수 있는 열정과 뜨거운 사랑과 방황은 법의 테두리 안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정도로, 매너있게 하자. 체 게바라의 유명한 말을 뒤집어 생각해보면, 가슴속에 불가능한 꿈은 가져야 하지만 우리는 리얼리스트여야 하지 않겠나.



청춘시련(Terrorizers)

감독 : 호위딩

출연 : 임백굉, 이목, 진정니, 요애녕

상영시간 : 127분



* 씨네랩으로부터 초대받은 시사회에 참석했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이 정도면 현실의 순한맛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