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들레는 민들레 Jul 04. 2024

나에게 받아쓰기란

짠하고 슬픈 것이다.

'받아쓰기'- 짠하고 슬픈 것


나는 국민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한글을 몰랐다. 가르쳐주는 이도 없었고 배우고 싶은 욕구도 없었고 무엇보다 노느니라 바빠 배울 시간도 없었다.     


국민학교 1학년 5월부터 받아쓰기 시험을 봤다. 책상이 지금처럼 떨어지는 책상이 아니라 붙어있는 책상이었다. 받아쓰기 시험은 책상 중앙에 가방을 올려놓고 시험을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국민학교 1학년 때 정명호 선생님은 한 명은 책상 위에서, 또 다른 한 명은  책상에서 내려와 의자를 책상 옆에 놓게 한 후 시험지를 의자에 올려 놓고 앉아서 시험을 보게 했다. 아무래도 학생들의 정확한 실력을 측정하고 싶었나보다.


같은 동네에 사는 종식이는 100점, 머저리 같은 종종이도 20점을 받는 받아쓰기를 나는 빵점 받았다. 부모님은 먹고살기에 바빠서 받아쓰기 점수에 관심이 없었다. 어느 날 잘난 척 하기 좋아하는 언니가 "종숙이가 그러는데 종식이는 받아쓰기 100점 받았다더라. 종식이가 너  빵점이라고 했다던데 정말이야? 야, 이 바보야! 맨날 놀러만 다닌 게 빵점이지. 오늘부터 연습해라."라고 말했다. 나는 "니가 뭐다고 나한테 그러냐? 또 잘난 척하네"라고 대들었다.


종식이 새끼는 이상하게 아파트에서 살지 않는데 받아쓰기를 100점 받고 난리였다. 우리 언니도 이상하게 아파트도 살지 않는데 공부 하나는 끝내주게 잘했다. 아파트에 살지도 않는데 공부 잘하는 애들은 대체로 재수가 없었다. 종식이도 우리 언니도 그런 부류였다. 종숙이 언니도 아파트에 살지 않았기에 디지게 공부를 못 했다. 공부 못하는 종숙이 언니가 일부러 우리 언니 기분 나쁘게 하려는 속셈으로 내 점수를 까발려 버린 것이 분명했다.


나는 동네가 어둡컴컴 해져 더 이상 놀 사람이 없을 때 집으로 들어왔다. 저녁밥 먹고 아부지가 "이놈의 가시내가 똑똑한지 알았드만 빵점 맞고 다닌다고?"라고 말했다. 아부지는 받아쓰기 100점 맞으면 학이 그려진 오백 원을 준다고 했다.  그 당시는 설날에도 세뱃돈으로 오백 원을 받기가 어려웠다. 백중 때만 큰 아부지가 오백을 주셨는데 그 돈이 국민학교 시절 내가 어른에게 받을 수 있는 유일한 용돈이었다. 내가 엄마가 되고 엄마가 할머니가 되었을 때 엄마는 “느그들 어려서 용돈도 못 줘서 미안하다. 오백만 원 줄 테니 사 먹고 싶은 것 맘대로 사 먹어라.”라고 하시며 용돈을 몰아서 주셨다.  용돈을 주지 못한 부모님도 이렇게 한이 되는 줄은 모르고 그때는 용돈을 주지 않는 부모님이 너무나 원망스러웠다.  귀때기 과자, 아폴로, 쫀득이 등 너무너무너무 먹고 싶은 불량품이 많았기에 나는 어려서 돈이 정말정말 많이 필요했었다. 종종이는 날마다 빙그레 문방구, 동화 문방구, 광문사를 다니며 불량식품을 사먹었다. 나는 비굴하게 종종이 옆에서 알랑방구 까며 국민학교 졸업 할 때까지 많이도 얻어먹었다.


오백 원을 준다는 말에 혹해서 책에 있는 글자를 쓰고 또 쓰고 하면서 받아쓰기 연습을 징그럽게 했다. 빵점이었던 나는 50점, 70점, 80점으로 빠르게 점수가 올라갔다.  그러던 어느 날 토끼와 거북이가 나왔던 단원에서 토끼를 ‘또끼? 토기?똑끼?’로 써야 하는지 망설이다가 토끼로 써서 100점을 받았다. 아마 아부지는 내가 받아쓰기 백점을 맞을 줄 꿈에도 몰랐을 것이다. 선생님도 받아쓰기 시험지를 나눠주면서 눈을 똥그랗게 뜨셨다. 빵점짜리가 이렇게 단 시간에 백 점을 맞으니 놀랍기도 하고, 어쩌면 다른 애들 것 보고 베낀 것은 아닌지 의심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나는 내 노력으로 100점을 맞고야 말았다. 그때부터 나는 한다면 하는 인간이었나 보다.  

   

그날 학교가 끝나고 시험지를 들고 다니면서 만나는 사람들에게 "저 받아쓰기 100점 맞았어요."라고 자랑치고 다녔다. 아부지한테 어서 시험지를 보여주고 오백 원을 받아야 했다. 집까지 숨차게 달려갔는데 아부지가 안계셨다. 아부지가 갯논에 간 것 같았다. 나는 시험지를 들고 아부지를 찾아 논두렁을 달렸다. 그러다가 그만 발이 꼬여 넘어져 시험지를 논에 처박아 버렸다. 그때가 한참 모내기 하는 시기라 논에 물이 많고 논 바닥이 었다.  시험지는 물과 흙에  뒤범벅되어 찢어져버렸고, 나는 온몸이 흙투성이가 되었다. 나는 세상 서럽게 울며 집으로 되돌아갔다.

  

저녁밥 먹을 때 아부지에게 슬쩍 백점을 받았다고 말했다. 아부지가 시험지를 가져오라고 했다. 논두렁 달리다가 넘어져 찢어졌다고 말했다. 아부지는 "인자 거짓말까지 하냐?".라며 믿어주지 않았다. 나는 차라리 거짓말이었으면 싶었다. 그러나 그것은 진실이었기에 나는 너무 슬펐다.  ‘가방에 시험지 귀하게 넣어서 아부지가 집에 오면 보여줄걸. 뭐 하려고 논으로 귀한 백 점짜리 시험지를 들고  갔을까.’라고 후회하고 또 후회했지만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그 사건 이후 공부 의지가 꺾이기도 했고 무엇보다 노느니라 바빴기에 두 번 다시 받아쓰기 백점은 받지 못했다.


받아쓰기기 시험이 끝나면 언제나 머리가 아프고 배가 아파서 보건실에 오는 2학년 학생이 있었다. 마침 시간이 허락되어 “받아쓰기 어려워?”라고 물었더니 고개를 끄덕였다. “선생님은 학교 다닐 때 받아쓰기 20점, 30점 받고 다녔어.”라고 말했다. 학생이 “정말요?”라고 물었다. 나는 “응. 근데 너는 몇 점 받아?” “50점 정도 받아요.” “선생님보다는 잘한다. 받아쓰기 너무 어려워. 그리고 받아쓰기보다 재미있는 게 너무 많잖아. 그렇지 않니?”라고 학생에게 물었다. 학생이 "맞아요."라고 웃으면서 말했다. 받아쓰기보다 재미있고 신나는 일이 많다는 사실을 나는 잘 알고 있다. 그러기에 받아쓰기를 못하는 학생들을 보면  짠한 마음이 든다.



어느 날 받아쓰기를 못하는 학생이 하굣길에 가방을 메고 보건실에 왔다. “어디 아파?”라고 물었더니 가방에서 공책을 꺼내서 100점 맞은 받아쓰기를 보여주었다. “선생님, 저 100점 받았어요. 아빠가 100점 받으면 치킨 사준다고 했어요. 게임도 한 시간 하게 해 준데요”라고 말했다. 나는 “와, 너 대단하다.”라고 말했다. 내 일처럼 기뻤다.


그때 받아쓰기 시험지를 잘 간수했어야 했는데......


작가의 이전글 나에게 인형이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