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샵을 10년도 넘게 써오고 있다.
레이어 윈도우 하나만 띄어놓으면 디자인하는데 크게 불편함 없을 수준으로 툴이 손에 익었다.
5.0 인가부터 시작해서 현재 CC 2016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변화가 실로 놀라울 따름이다.
그간 참 많이도 변하고, 업데이트되며 무거워졌다.
여러 기능들로 인해 포토샵 하나로 못하는 일 없는 수준이 되었건만 경력이 오래되다 보니 그저 간편한 게 간절해질 때가 있다.
그만큼 포토샵은 비대해지고 있으며, 도태되는 기능들도 생기고 있다.
웹디자인 계열에 몸담고 있었으므로 포토샵의 save for web 기능을 참으로 오래도록 사용하였다.
alt + command + shift + s는 이젠 습관적으로 손가락이 위치해 있다.
문제는 그동안 애용하던 이 기능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데 있다.
그간 애용하던 습관으로 평범하게 이미지를 저장하고 웹서버에 업로드한 후 백그라운드 컬러를 hex코드를 이용하여 마크업을 하였는데 웬걸..
이미지와 hex코드 간에 간극이 있는 게 아니겠는가?!?!
결국 구글링 해서 RGB 컬러 프로필을 Monitor profile로 교체 후 proof setup 을 Monitor profile로 교체 후 save for web에서 sRGB로 컨버팅 하는 것을 금지한 후에야 겨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구글에서 찾아본 다음에서야 알았다.
Save for web은 Legacy 처리가 되었다는 것을...
아.. 그간 문제가 꽤 많았었겠다.. 싶었다.
사실 몇 해 전부터 관련 문제가 있음을 알고 있었다.
운이 좋았던 건지 컬러 프로필을 만지는 과정 탓인지 그동안 문제의 화살이 나를 빗겨 나갔었는데, 이번엔 그저 나를 관통했을 따름이었다.
기어이 고치게 된 사유 또한 저 문제의 화살 탓이었다.
어제 png를 저장하며 포토샵의 Save for web 이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어제 있었던 삽질을 기억하며 오늘은 jpg로 진행해야지~ 했으나 문제는 이미지 타입이 아닌 것을 그제야 깨닫고 부랴부랴 고친 것이다.
사실 다른 문제일 순 있다.
png는 포토샵에서 gamma 처리에 대한 버그가 있어 chrome과 safari가 png를 랜더링 하는데 차이가 생겼던 듯 싶었고, jpg는 그저 Save for web이 쓰레기 같았기 때문이었던 것 같은데 나는 해당 전문가가 아니라 딱히 뭐가 문제였는지 도통 감을 잡을 수 없었다.
그저 내가 문제 해결을 위해 찾은 포스팅들이 하나같이 evil setting, wrong, acid test, painful, crazy color과 같은 표현을 썼기에 아.. 포토샵이 참 거지같이 퀄리티 관리가 안되고 있구나.. 싶을 따름이었다.
아무튼 문제 해결은 하였으니 또 일 하러 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