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브렌 Sep 10. 2017

이완용에게서 발견하는 온건주의적 진보의 한계

이완용 평전

이완용 평전 - 이윤희, 한겨례출판


생각보다 나는 이완용에 대해 아는게 정말 없었다. 그냥 어릴적 부터 주입받은 이유없는 혐오를 가지고 있었을 뿐이다. 그런데 별로 내키지 않게도 책을 읽으면서 그를 이해하고 말았다. 그땐 그럴 수 있었겠구나. 그렇게 그의 입장을 이해하고 보니 그를 욕하기도 어려워졌다. 적어도 책을 덮기 전까지는…


추측하건데 이완용은 스스로를 돌이켜 부끄럼이 거의 없었을것 같다. 검소했고 스스로에게 엄격하게 자신의 신념에 맞추어 살았기에 감히 누가 욕할 수 있는 사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가 했던 일이 어떤 평가를 받느냐를 떠나서 한 사람이 자신의 삶에 정성을 다해야 한다라는 가치를 믿는다면, 그리고 그러한 관점에서 그를 바라본다면 그렇다. 그는 오히려 웬만한 사람보다 자신의 삶과 신념에 헌신적이라고 느껴졌다.


그가 젊은 시절 짧은 미국 생활을 계기로 개화를 지향하고 다소 온건하지만 진보적 성향의 사람이었다는 사실은 내가 그에 대해 가져왔던 인상과는 꽤나 상반되는 모습이었다. 오히려 그가 국내로 돌아와 보인 행보에서 나는 그를 응원하지 않을 수 없었다. 민중이 좀 더 깨우치고 높은 생활 수준을 갖게 되길 바라는 그의 마음만은 소중하지 아니한가. 그게 단순히 그의 상황과 행동들을 합리화하기 위한 방편이었다고 보이진 않았다. 그는 꽤나 노력하는 듯 했다. 그런 그가 왜 역사에 그런 거대한 오점을 남기게 되었을까?


우선 그가 남겼다고 생각하는 그 큰 오점들, 즉, 을사조약과 한일합방에 서명한 사실 자체는그를 욕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고 보인다. 이미 당시 대한제국은 자주독립은 커녕 존폐를 걱정해야하는 상황이었고, 이완용 스스로도 역사에 오점으로 남을게 뻔히 보이는 서명을 하고 싶지 않았음은 자명하다. 하지만 왕에 대한 신의는 거의 절대적인듯 했고 그래서 서명할 수밖에 없었다고 보였다. 오히려 그러한 상황에서 국가보다는 자신의 안위만을 걱정한 고종의 행태를 더 욕하고 싶을 뿐이다. 적어도 이 평전에서 나타난 이완용의 모습은 고종이 죽으라면 죽을 사람으로 보였으니까.


저자는 철저한 합리성에 포획된 그를 보면서 현대인의 모습을 발견한다고 말한다. 나는 여기서 온건주의적 진보의 한계를 발견하게 되는 것 같아 인상적이었다.


그가 고비마다 내려야했던 커다란 결정의 배경은 대단히 합리적이다. 그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은 받아들이고 거기서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내리기 위해 노력한다. 오늘날의 기준에서 볼때 이것은 상당히 타당한 행동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점에서 우리는 그의 행동들에 공감 할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하지만, 그 순간에는 합리적이라 보였던 선택들은 기본적으로 이상과의 괴리를 의미한다. 즉, 원하는 대한제국의 모습은 자주적인 독립국가이지만, 현재 상황이 이러하니 지금은 한 발짝 물러서서 그나마 우리가 일본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이익을 끌어낸다면 더 낫지 않은가하고 생각하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그것이 그 한 번으로 끝났을때는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늘 그렇듯이 이런 태도를 견지하기 시작하면 계속 그러하기 마련이다. 결국 이완용은 독립국가라는 꿈을 포기하는 단계에 이르고 만다.


그가 내린 합리적인 판단에 깃든 이상과의 조그마한 간극은 쌓이고 쌓여 어느새 되돌릴 수 없을 만큼 멀리 와버린 것이다. 의병활동을 일본인이 제압하는것이 큰 반발을 일으키니 대한제국인을 고용하여 의병활동을 가라앉힌다는 발상은 현 사태를 진정시키는데에는 합리적인듯 보였지만 결국 일제의 앞잡이를 만드는 시초가 되었을 뿐이었다.



이게 바로 온건주의가 주의해야 할 함정이다. 감정에 휘둘리기 보다는 이성적으로 냉철하게 판단하면서 충격을 최소화하고 천천히 바꾸어 간다는 것은 합리적이고 옳바른 듯 하지만 그것은 기본적으로 자신이 바라는 이상에의 순결을 깨는 것이다. '조금 신념에 맞지 않아도 괜찮아, 지금 조금 이렇게 참으면 결국은 더 나을거야'라고 생각하는 것은 '깨진 유리창 효과' 처럼 결국 사람을 무너뜨리기 쉽다. 어느새 이완용은 최초의 신념과 방향으로 부터 멀리 와 있었고, 결국은 그것을 포기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완용은 이미 일본의 지배에 대해 어떠한 회의도 갖고 있지 않았다. 일본 차관으로 대한제국이 개발되고 있었고, 강력한 일본의 무력이 대한제국을 전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고 보았다. 앞서 순종의 순행 때 행했던, 일본의 지도를 받아 실력을 양성하는 길만이 대한제국을 보존할 수 있다는 이완용의 연설은 대중을 회유하기 위한 연설만이 아니었다. 이는 자신의 행동과 역할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최면이기도 했다.

- 이완용 평전, 이윤희


분명 그는 손에 꼽을만큼 영민한 사람이었고, 그의 인간적인 고뇌들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도 있었지만, 그를 용서 할 수는 없었다. 스스로가 가진 신념에의 순결은 스스로를 집어 삼키기도 하지만 스스로를 지키기도 하는 것이었다.




물론 나는 그렇다고 온건주의를 반대하고 급진주의를 지지하려는 것이 결코 아니다. 오히려 우리의 일상은 온건주의보다는 다소 급진주의 쪽에 치우쳐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완용의 주변에서 벌어진 사건들, 가령, 이토 히로부미의 암살이후 거세지는 한일 합방론을 보면서 급진주의의 한계 역시 책은 보여주고 있다.

작가의 이전글 여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