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벼룩 Jun 23. 2023

칼을 든 식물의 영혼

유튜브에서 한 동영상을 봤다. 공학도들이 모여서 특이한 발명품들을 만드는 <긱블>이라는 채널이었는데, 식물이 로봇팔을 장착하고 칼을 들고 있는 썸네일이 너무 강렬해서 재생할 수밖에 없었다. 영상은 식물의 기억력과 전기 반응에 대한 실험이었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영상에 등장한 식물은 자신을 쓰다듬은 사람과 잎을 뜯은 사람을 기억하듯이 다르게 반응했다. 식물이 생성하는 전기 신호가 로봇팔로 이어지도록 장치를 만들고 그 로봇팔에 칼을 쥐어주자, 식물은 잎을 뜯은 사람을 향해 칼을 마구 휘둘렀다. 복수라도 하는 듯이.


물론 식물이 인간과 똑같은 방식으로 기억하거나 감정을 가진다고 보기는 어렵다. 둘은 물리적인 구조, 즉 몸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만 이 실험이 제기하는 것은, 어쩌면 기억이나 감정과 같은 것이 특정한 구조를 지닌 몸, 이를테면 인간과 같은 동물의 몸만이 아니라, 다른 몸에서도 가능한 작용일지 모른다는 질문이다. 즉, 우리는 인간의 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식물에게 감정이나 기억이 없다고 단정 짓기보다, 식물에 대한 실험을 토대로 기억과 감정 자체를 다시 생각해야 할지도 모르는 것이다.


이 영상을 함께 본 이후 우리 가족은 식물을 대할 때 묘하게 어색해졌다. “바질들이 사실 칼 갈고 있는 거 아냐? 너한테 복수하려고.” 우리는 바질과 로즈마리를 필요할 때마다 요리에 쓰려고 뜯었다. 뜯는 건 주로 내 몫이었다. 어쩌면 바질과 로즈마리는 나를 기억하고 주변 식물들에게 전기 신호를 보내고 있는지 모른다. 저 놈 조심하라고. 이렇게 생각하니까 괜히 바질을 뜯으러 갈 때마다 한 번씩 주춤하게 되었다. 뜯기는 뜯는데, 이전보다 조심스럽게 뜯는다고 해야 하나. 이 녀석들이 우리를 인식하고, 우리를 기억하고, 어쩌면 우리의 행동에 따라 짜증이나 화가 날지도 모르는 존재들이라고 생각하자, 우리는 식물의 눈치를 보기 시작했다.


나에게 이는 인간의 몸과 영혼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상기했다.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에스파냐인들은 원주민도 자신들과 같은 인간인지 확인하기 위해 종교, 윤리, 양심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는 영혼을 상징했다. 같은 인간이 아니라는 판단은 학살을 부추겼을 테다. 그들에게 인간이란 인간의 영혼을 지닌 존재다. 반면,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백인이 정령인지 인간인지 확인하기 위해 백인들을 물에 빠뜨렸다. 시체가 물 위로 떠오른다면 일단 정령은 아닐 것이다. 이들에게 인간은 인간의 몸을 지닌 존재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관점에서는 재규어과 같은 동물도 원래는 인간이었다. 인간의 영혼은 다른 몸에 스며들어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그들은 주로 동물에 대해서 이야기했지만, 이것을 식물을 포함하는 '생물'로 확장해보자. 이때, 우리 집에 있는 바질은 인간의 영혼과 식물의 몸을 지닌 존재라고 볼 수 있다. 바질도 기억과 감정을 지니고 있지만, 그것은 식물의 몸에 맞게 변형되어 나타난다. 그런 의미에서 로봇팔 실험은 식물의 몸을 바꾸어 식물이 감각한 것에 다른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만드는, 그렇게 함으로써 식물에 깃든 ‘인간의 영혼’에 닿는 과정일지도 모른다. 식물들은 잎과 열매, 뿌리의 모양과 색깔과 같은 요소들을 통해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과 소통해왔다.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우리는 어쩌면 식물의 효율적인 재배 방법보다, 식물의 신호에 감응하는 조심스러운 소통을 발명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570


매거진의 이전글 식물, 2인칭의 섬세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