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포도원지기 이대훈 Dec 19. 2023

현대 디자인 담론

현대 노인을 위한 돌봄 로봇 성격 디자인의 철학적 의의 (1)

개요

노인 돌봄 로봇의 성격 디자인


전 세계 인구 중 노인 인구의 비율은 최근까지 계속 증가해 왔고, 향후 20~30년 간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여러 시장 조사 기관들은 전 세계 실버케어 시장 규모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추세를 따라, 앞으로 노인 관련 디자인에 대한 수요와 중요도는 점차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만들어진 많은 노인 관련 디자인들은 노인이라는 사용자 집단을 변화하지 않는 단일한 계층으로 취급해 왔으며, 대체로 노인에 관한 일반적인 고정관념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현대 노인의 다양한 특성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디자인 결과물이 사용자로서의 노인에게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이 고리를 끊어내기 위해서는 우선 변화하는 특성을 가진 유동적인 계층으로서의 노인 사용자를 보다 깊게 이해하고, 이러한 노인들을 위한 적응력 있는 디자인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내 연구에서는 특히 노인 돌봄 로봇을 다루며, 변화하는 노인들의 여러 가지 특성에 적응력 있게 대응하는 방법으로서 성격이라는 기능을 제시하고, 이를 적절히 표현하는 방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내 연구는 실제 로봇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노인 돌봄 로봇의 성격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기대 결과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 글에서는 이전에 전통적으로 쓰이던 노인 '돌봄' 로봇과 노인 '반려' 로봇이라는 용어를 사용자 중심적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자는 제안과 함께, 내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디자인 역사와 철학의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의 비율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UN (2022)은 전 세계 인구가 2030년에 85억, 2050년에는 97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동시에 WHO (2017)에 따르면, 노인 전체 인구는 2030년에 14억, 2050년에는 21억 명으로 증가할 것이다. 즉, 전체 인구수 대비 노인 인구 비율은 전 세계적으로 2030년 16.5%에서 2050년 21.5%로 점차 증가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노인 인구 비율 증가와 발맞춰 전 세계 실버케어 시장 규모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Data Bridge Market Research (2022)는 전 세계 실버케어 시장 규모가 2022년 USD 1,703 billion 규모에서 2029년 USD 2,882 billion 규모로 CAGR 6.80%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동일한 보고서에서 그들은 이러한 시장 성장세에 대해 전략적 시장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도전 과제들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현존하는 많은 노인 관련 디자인들은 노인에 대한 전략적 시장분석이 부족하다. 대표적인 사례는 고정관념에 기반한 노인 관련 디자인들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효돌 (그림 1, 왼쪽)과 같은 노인 반려 로봇들은 노인들의 기호를 구시대적이고 덜 기술적인 것으로 전제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 복약기 (그림 1, 오른쪽)와 같은 보조 기구들은 사용자를 마치 환자인 것처럼 느껴지게 하는 외형을 가지고 있고, 보건복지부 같은 국가 기관에서 시행하는 노인 관련 정책들은 노인들의 질병 예방 및 치료에만 집중되어 있어 노인을 병약하고 보호받아야 하는 존재로서의 노인만 목표 사용자로 취급하고 있다.

그림 1. (왼쪽) 효돌, (오른쪽) 복약기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게 된 여러 이유 중 하나는, 이제껏 노인기 분류가 하나의 기준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19세기 독일 비스마르크 총리가 연금 제도를 도입하면서 노인기의 시작을 65세 이후로 정한 이후로, WHO나 OECD 등 여러 기관이 노인기를 숫자 나이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역연령을 채택했다. 이후, 의료 기술의 발달로 인해 숫자 나이와 노인들의 생물학적 감퇴가 일대일 정적 관계를 이루지 않게 되면서 생물학적 연령과 같은 새로운 분류법이 제기되었다.

생물학적 연령이 나이에 따른 생물학적 감퇴 추세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지표임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생물학적 특성의 변화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그들의 문화적, 사회적 특성 등의 변화를 반영하기 어렵다. 따라서, 여전히 노인 관련 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디자이너들은 인지의 경제성 때문에라도 고정관념에 의존해 왔고, 이는 디자이너들이 노인들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노인에 관한 고정관념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제품과 서비스는 사용자로서의 노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효돌이나 복약기 같은 결과물은 우리들이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낳는 부정적인 영향을 stereotype threat이라고 한다. 이는 사람들이 고정관념에 따라 대우를 받는 상황에서, 특히 그렇게 대우를 받는 사람들이 실제로는 고정관념과 같지 않을 때 발생하는 부정적인 심리 경험이다. 간단히 말하면, 우리가 노인들은 병약하고 보호받아야 하는 존재라는 고정관념을 강화할수록 실제로 건강한 노인들도 괜히 젊은이들 앞에서 자신감을 잃고 위축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강화된 고정관념은 이를 활용할 디자이너들에 의해 또다시 부적확한 노인 관련 디자인 결과물을 낳게 될 것이므로, 현대 노인에게 적확한 노인 관련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책임감을 가지고 이 악순환을 끊어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내 연구는 현대 노인들의 변화하는 특성을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사회적 등 여러 차원에서 조사하여 유동적인 계층으로서의 노인 사용자를 보다 깊게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이해는 노인 '돌봄' 로봇과 노인 '반려' 로봇이라는 용어를 사용자 중심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돌봄 로봇이 필요한 노인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유동적인 노인 사용자들에게 이전보다 적확한 기능성과 사용성, 그에 따른 감성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인 돌봄 로봇에 '성격'이라는 새로운 기능을 탑재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이러한 성격을 실제 로봇 개발 단계에서 디자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과 연구 방향성은 디자인 역사와 철학의 관점에서도 매우 큰 의의를 가질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헤겔의 변증법을 기반으로 하여, 피에르 부르디에의 계급 이론, 브루노 라투르의 행위자-연결망 이론 그리고 루치아노 플로리디의 정보 철학과 윤리학 등을 통합하여 이러한 의의를 설명하고자 한다.


(계속)

작가의 이전글 인지공학의 문제 해결 관점과 디자인 프로세스의 관련성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