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술관 Jan 29. 2019

내 속엔 내가 너무 많아, 쉴 곳 없네

내면 아이에게 명상을 쥐어주다. 마크 로스코


<멍 때리는 순간이 가장 좋아요>

걱정 없이 ‘멍’ 때리는 순간, 나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놈이 된다. 

그래서 ‘멍’이 깨지는 순간이 제일 아쉽다. 

잃은 것 하나 없는데 그 아쉬움은 뭘까?

멍은 쉼이라

쉬지 못한 내면의 ‘혼(아이)’은 멍이라는 터널로 잠시 탈출한다.

탈출의 의미는 내려놓음이다. 

회귀하지 않아도 그만이다. 

뭔가 규정할 수 없는 채움과 비움,

그 과정 속에 본연의 나를 마주한다. 


<가슴으로 이야기하는 로스코>

로스코 작품을 보고 있으면 웃음보다 울음이 먼저 나온다. 

왜 눈물을 흘릴까?

내면의 알 수 없는 오묘한 감정 변화 속에 

흐르는 눈물은 주체할 수 없고, 기분은 마냥 후련한 체  

변태적 감수성이 타오른다.  

두 개의 단색이 캔버스에 스미듯 스미지 않는 듯

자연스러움은 단조롭기보다 그 안의 

심오함을 담은 그릇같이, 보면 볼수록 빨려 든다. 

빨려 들게 하는 그 무엇은 종교적 숭고미까지 

느끼게 할 정도니 로스코는 진정 가슴이 있는 작가가 아닐까?


<가질 수 없는 것에 대한 영적 가치와 나눔>

홀로 지낸 시간이 많을수록 물질을 소비하기보단

절제하고 타인과 공유하고 싶은 마음이 커져갔다.

특히 경험적 가치에 좀 더 집중하게 되고

이것을 주변과 나눌 수 있다는 데 더 큰 의의를 두게 되었다. 

사실, 물질을 소유해봤자 그것의 의미는 퇴색될뿐더러

나로 인해 그 대상의 가치는 제한적으로 묶이게 된다. 

로스코 작품도 마찬가지였다. 

로스코 작품이 지닌 '소통의 품격'을 타인과 나누고 싶었고, 

그가 말하고 싶은 공(空) 한 상태 속 평화로움을 

타인과 교류하고 싶었다. 

그래서 그의 작품을 따라 그려보았다. 

<거친 붓터치 속 고요한 내 마음>

로스코 작품을 따라 그려가는 과정은 거칠다.

20호 이상 (나에게) 큰 캔버스 위로 스치듯 스치지 않듯

대형 브러시로 층층이 단색을 채워가는데 

붓과 캔버스가 만들어내는 마찰 소리와 내 숨소리밖에 없다. 

그를 따라가는 과정은 

내면의 나와 이야기하는 그 자체로 고요했다. 

단조로운 행동 속에서 

지난 1년의 시간을 되짚어보고, 

일 년이 지나면

3년 그리고 5년 전 과거로부터 나에게 질문하고 

지금의 내가 그 물음에 대답을 한다. 

마치 ‘82년생 김지영’과 같이 


<아직도 답을 찾고 있는 나란 아이>

내속의 나에게 <너는 무엇이니?>라는

물음에 여러 답을 내놓고 있지만, 

아직도 답을 못 찾고, 쉬지 못한 체 남겨져 있다. 

그래서 로스코 작품을 따라 그려가는 과정은 

늘 새롭고 그 앞에서 참회를 하며

또다시 다음을 기약하고 용기를 낸다. 

이런 반복된 일상 속 내가 성장할 수 있기를

바라며, 오늘도 나는 로스코 앞에서 

아이를 마주한다. 

아직도 헤매는 <나>란 아이에게 

매거진의 이전글 “동작그만, 내가 빙다리 핫바지로 보이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