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우연의 음악 Jun 03. 2023

편지 형식의 제안서

인편으로 보내다

편지를 한 장 썼다. 수신인은 ‘익명의 출판사 대표’였다. 간단히 내 소개를 하고, 내가 그동안 어떻게 인도 여행을 했는지, 내가 갔다 온 곳이 어디 어디인지 적었다.     

 

적고 보니 정말 인도를 ‘이 잡듯이’ 다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식으로 하면 서울에서 출발해 강릉으로 간 뒤, 동해안을 따라 부산으로 갔다가, 남해안을 따라 목포까지 가서, 지그재그로 내륙을 훑으면서 다시 서울로 돌아온 식이었다.      


나는 내가 갔다 온 곳에 대해 아주 꼼꼼하게 기록한 노트가 무려 세 권이나 된다는 이야기도 빼먹지 않았다. 마지막에는 한국인들을 위한 맞춤 가이드북을 아주 잘 쓸 자신이 있다고 적었다.      


그 편지를 쓸 무렵, 나는 콜카타에서 기차로 하룻밤 거리에 있는 보드가야에 있었다. 붓다가 깨달음을 얻었다는 그 동네다.  불교 최대 성지인 보드가야는 우리나라 면 소재지만 했지만 각 나라의 절이 들어서 있었고, 성지 순례자들이 많아 늘 복작거렸다. 각 나라가 세운 절들은, 말이 절이지 순례자들을 위한 게스트하우스 역할을 했다.     


당시 경제적으로 궁지에 몰려 독자적 여행이 불가능했던 나는, 보드가야에 막 들어선 고려사라는 한국 절에 머물며 스님들(두 사람) 공양주 노릇을 하고 숙식을 해결하던 중이었다.     


어느 날, 고려사에 한 무리의 남녀대학생들이 나타났다. 보드가야에 온 한국 여행자들은 아무 볼 것도 없고, 보드가야 중심에서 제법 멀어 한참 걸어와야 하는 고려사인데도 한국 절이라는 이유로 꼭 들렀다. 그 대학생 무리와 보드가야에서 재미나게 어울렸는데, 이야기를 들어보니 며칠 뒤 한국으로 돌아간다고 했다. 나는 그들 중 착하고 책임감 있어 보이는 한 남학생에게 편지를 주면서 이렇게 말했다. 


“한국에 돌아가거든, 교보문고에 가서, 어떤 가이드북이 나와 있는지 살펴보고, 그중 괜찮아 보이는 출판사가 있으면 책 뒤에 나와 있는 주소로 이 편지를 부쳐 주시오”     


참 (허무)맹랑한 부탁이었지만 당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기도 했다. 편지 끝에는 고려사 주소와 전화번호를 적어 놓았다.      


며칠 뒤, 대학생 무리는 보드가야를 떠났다. 콜카타로 가서 방콕을 거쳐 한국으로 간다고 했다. 나는 그 남학생이 나의 부탁을 잘 들어주기만 바랐다.      


대학생 무리가 떠난 지 1주일이 지났다. 하지만 아무 연락이 없었다. 다시 1주일을 기다렸다. 역시 아무 연락이 없었다. 오만가지 생각이 다 들었다.      


‘그 친구가 편지를 제대로 부치기는 한 것일까?’

‘편지는 제대로 전달했는데, 출판사에서 관심이 없나?’     


또다시 1주일이 지났다. 여전히 편지도 전화도 오지 않았다. 그 대학생이 내 부탁을 제대로 들어주었는지 의심스러웠지만 확인할 방법도 없었다. 한국이라면 일단 원고를 써 놓고 출판사를 찾을 수도 있었겠지만, 인도에서는 그럴 수가 없었다. 수중에 돈이 거의 없어 더는 인도에 머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 생각해 보니, 연락을 기다리던 그 시간이 무척 힘들었던 것 같기도 하다. 


플랜 B를 생각해야 했다. 플랜 B는 대단한 것이 아니었다. 한국 유학생들이 많이 있는 산티니케탄으로 가는 것이었다. 보드가야에서 기차로 8시간 거리에 있는 산티니케탄에는 타고르가 세운 비스바바라티 대학이 있었다. 


당시 그 대학에 한국인 유학생들이 10여 명 있었다. 산티니케탄에 갔을 때 나는 그들을 알게 되었고, 제법 프랜드 쉽을 강화해 놓았다. 그 유학생들은 기본적으로 인도에 5년 이상 머물고 있던 사람들이었다. 따라서 내가 어떻게, 무엇을 하면 비행깃값을 벌어 무사히 한국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효과적인 조언을 해줄 수 있는 사람들이었다.      


어느 날 아침. 나는 산티니케탄으로 떠나기 위해 짐을 꾸렸다. 아침을 먹고, 스님들에게 인사를 하고 막 떠나려 할 때였다. 좀체 울리지 않던 고려사의 전화벨이 요란하게 울렸다. 인도인 관리자가 전화를 받더니 나를 찾았다.      


이런저런 생각이 스치고 지나갔다. 고려사 절에 있는 전화를 통해 나를 찾을 사람은 내가 편지를 맡긴 그 남자 대학생과 출판사 관계자뿐이었다.      


전화를 받았다. 한국에서 온 전화였다. 출판사라고 했다. 그런데 감이 너무 멀어 말 내용을 알아듣기 쉽지 않았다. 통화 도중 끊김 현상도 잦았다. 자연히 상대방의 말을 제대로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하지만 분명히 알아들은 말은 있었다. ‘쓰세요’라는 말이었다. 내 입장에서 긍정적으로 확대해석하면, ‘출간해줄 테니 가이드북을 써라’는 말이었다.      


전화는 미처 그 말을 제대로 확인하기도 전에 끊어지고 말았다. 그리고 다시 걸려 오지도 않았다.      


나는 ‘쓰세요’라고 했던 그 말을 그냥 믿기로 했다. 당시 내 상황이란 것이, 믿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도 했다. 그렇게 해서 나는, 그날부터 본격적으로 인도 가이드북을 쓰기 시작했다.           



작가의 이전글 하고 싶은 이야기, 듣고 싶은 이야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