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닥터생각 Jan 18. 2021

성형수술 로봇의사의 등장 닥터 4.0

빅데이터 x AI(인공지능:Artificial Intellegence)


이미지 출처 : Shutterstock

영국 경제지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스탠퍼드대 마이클 코신스키 교수 연구진이 사람들의 얼굴 사진을 보고 동성애자를 알아맞히는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는 기사를 실었다. 연구에 따르면 AI가 81%의 정확도를 보였다고 하며 여성의 경우는 71%의 정확도를 나타냈다고 한다.


이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바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이다. 인터넷 사이트의 남녀 14,776명의 사진을 파악하여 딥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을 통해 스스로 학습해서 비슷한 외모에서 동성애자의 특징을 파악했다고 한다. 


이제 병원에도 이런 기술이 도입되고 실행되고 있다. 그 주인공이 바로 IBM의 왓슨이고 다빈치라는 로봇수술 시스템이다. 


국내 병원에도 IBM이 개발한 왓슨이라는 의료 인공지능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으면 다빈치라는 로봇수술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암수술과 같은 수술에 왓슨의 인공지능이 도입되고 사람 의사와 같은 전문의가 되어가고 있다. 한 사람이 아니라 수백만 영의 의사가 가지고 있는 지능이 담긴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술을 기획하고 진행하고 처방하는 것이다. 


성형수술은 로봇 성형수술의 시대가 도래할까? 

성형수술은 다빈치와 같은 수술 시장보다는 1차적으로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인공지능시스템에서 그 시장이 커질 수 있다. 바로 바둑에서 그 방향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바둑의 신이라고 불리던 이세돌이 알파고에게 패배하는 것처럼 인간이 머리에는 읽을 수 있는 수가 한정되어 있지만 인공지능시스템은 무한정의 수를 학습할 수 있다. 


초기에 강남 압구정동에 얼굴이 똑같은 아가씨들이 활보하던 시절이 있었다. 의사 선생님이 똑같은 분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공지능에서 안면인식 기술과 융합한 빅데이터에서 환자들이 수술할 얼굴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가 무한해지기 때문에 이제 로봇처럼 똑같은 얼굴이 로봇의사에 의해서 만들어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세상에 똑같은 얼굴이 하나도 없는 세상을 인공지능 성형수술이 만들어 나갈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섹스리스 솔루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