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혜령 Apr 15. 2021

<리틀 조> 꽃가루를 마신 후 우리 아이가 달라졌다

행복을 부르는 호르몬 '옥시토신'은 아이와 엄마 사이에서 특히 극대화돼 모성 호르몬, 사랑 호르몬이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옥시토신은 스킨십이나 출산, 모유 수유, 육아, 반려견과의 눈 맞춤 등으로 일어나며 감정 전이로 유대감이 커지는 기능을 한다. 반면 옥시토신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거나 과다 분비되면 정서적으로 매우 불안정해진다. 모든 자연계는 적당한 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너무 많아도 너무 작아도 좋지 않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지키지 못해 화를 당한다.    


금지된 영역, 다가가지 말 것    

영화 <리틀 조> 스틸

싱글맘이자 육종 전문가 앨리스(에밀리 비첨)는 새 품종 프로젝트의 하나로 진한 향기를 내뿜는 식물을 개발했다. 가깝게는 다가오는 꽃박람회에 내보낼 요량이었지만 일도 육아도 완벽히 해내고 싶은 마음에 무리한 결과였다.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테라피 기능을 가진 식물을 앨리스는 자랑스럽게 여겼다. 그래서 사랑하는 아들의 이름을 따 '리틀 조'라고 붙이고 몰래 하나를 집으로 가져왔다. 아들 조(키트 코너)가 혼자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친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해 정식 승인도 나지 않은 육종을 빼돌린 것이다.    

 

앨리스는 리틀 조를 세심한 돌봄이 필요한 식물로 설정했다. 자말도 걸고 주고 따뜻한 온도를 유지한다면 꽃을 피워 더욱 진한 향기를 내뿜도록 말이다. 사랑과 정성의 산물. 옥시토신을 분비해 행복을 선사하는 식물이 리틀 조다. 그러나 그 기쁨에는 잔혹한 진실이 숨어 있었다. 앨리스는 향기를 극대화하기 위해 생식 기능을 제거했다. 생존 본능을 조작한 인위적인 행동은 어떤 계기로든 동, 식물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리틀 조는 향기와 함께 꽃가루를 뿜으며 진화했고 결국 인간에게 위협이 된다.    


오로지 인간을 위해 만들어진 리틀 조는 복수라도 하듯 번식에 인간을 이용하기 시작한다. 리틀 조의 향기를 맡으면 엄마가 아이를 키우는 것 같은 긴밀한 애착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급기야 다른 일은 제쳐두고 오로지 자신만을 돌보도록 조정하기에 이른다. 여러 사람을 감염 시켜 꿀벌처럼 생식 매개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인간은 리틀 조의 번식에 참여하기 위해 폭력적으로 변하거나 평소에 안 하던 말과 행동으로 상대방을 당황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영화 <리틀 조> 스틸

무서운 점은 겉으로 봐서는 감염 사실 여부를 전혀 알 수 없다는 데 있다. 오로지 같이 생활하거나 가까운 사이만이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뿐이다. 그 변화가 가장 먼저 감지된 곳은 연구소였다. 연구원 벨라(케리 폭스)의 자식 같은 개 벨로가 갑자기 이상행동을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평소 우울증을 앓고 있던 벨라는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는 벨로를 도무지 감당할 수 없었고 결국 안락사하게 된다. 그 이후로도 무언가가 잘못됨을 감지한 벨라는 리틀 조의 위험성을 앨리스에게 알리지만, 흔한 시기와 질투라고 생각해 무시해버리기 일쑤였다.   

 

하지만 겉으로 완벽한 엄마, 존경받는 연구원이었던 앨리스도 정기적으로 정신과 상담을 받고 있음이 밝혀진다. 내용은 주로 일상과 일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는 시간이었다. 이혼 후 일과 가정 모두를 성공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압박감이 불러온 스트레스였다. 하지만 리틀 조를 선물한 이후 아들의 달라져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에 상담의(린제이 던칸)는 앨리스를 워커홀릭으로 진단한다. 아들에게 온전히 사랑을 쏟지 못한 죄책감을 리틀 조에게 쏟으며 덜어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말이다. 이는 현실을 벗어나고 싶은 무의식과 모성이 앨리스를 강하게 짓누르고 있다고 봐도 무방했다. 리틀 조의 유전자 조작 또한 앨리스 삶의 어두운 반영으로 추측된다. 스스로 생산하지 못하는 옥시토신을 리틀 조를 통해 인위적으로 받아 애착과 불안을 해소하려 했던 비뚤어진 모정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행복의 껍데기만 쫓는 인간의 어리석음    

영화 <리틀 조> 스틸

인간은 본디 행복을 추구하지만 평생 행복한 기분만 있다면 행복이라 말할 수 있을까. 롤러코스터 같은 희로애락이 끊임없이 교차하는 게 인생이지 않을까. 즐거운 일만 가득한 인생이 행복이라 정의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과연 행복은 어디서 오는 거고, 무엇이 행복한 걸까. 자신을 잃어버리고 오로지 리틀 조 보호에만 애를 쏟는 감염자들은 흡사 좀비와도 같다. 리틀 조는 번식을 위해 인간을 착취하고 지배하며 행복이란 껍데기로 보상한다. 보이지 않는 허상을 좇고 닿을 수 없는 이상향을 따라 발버둥 치는 형국이 많은 현대인의 초상 같아 씁쓸하기까지 하다.    


많은 사람에게 행복을 안겨주겠다는 앨리스의 포부는 어느새 자기만족을 넘어 전 인류를 위협하는 기재가 되었다. 하지만 가장 무서운 것은 행복만 있다면 이를 깨닫게 되는 사람도, 이를 깨려고 싸우는 사람도 존재하지 않을 것에 있다. '모두가 행복한 세상'에 살고 있으면 불행도 행복이되는 몰개성의 디스토피아가 바로 영화 속 상황임을 말해준다.     

영화 <리틀 조> 스틸

영화 <리틀 조>는 인간의 욕심과 자연 파괴가 어떤 결과로 되돌아오는가를 보여주는 식물 호러다. 이 영화로 앨리스를 연기한 '에밀리 비첨'은 제72회 칸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미드 소마>에서 다룬 꽃의 공포가 또 다른 스트레스로 찾아온다. 제한된 공간과 인물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긴장감은 종묘제례악을 연상케하는 신경질적인 음악으로 고조된다. 지나친 미적 추구가 오히려 기괴한 공포를 만드는 것처럼, 영상과 대비되는 언밸런스한 음악 쓰임새가 돋보인다.


질서와 무질서, 독특한 보색 대비가 묘한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더불어 조용히 심연을 파고드는 세심하고 정적인 영화다. 답답한 공간의 공기가 머금은 심리적 공포는 영화가 끝나도 오랫동안 남아 괴롭게 만드는데 일조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