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woo May 22. 2024

Q 아이가 게임에서 핵(불법 프로그램)을 쓴다네요.

도덕적 판단을 아는 것은 실천하는 것과 별개의 문제.

Q 아이가 게임에서 핵(불법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해달라는데 해줘야 할까요? 게임에서 값이 나가는 과일을 뽑고 싶어하는데, 그게 낮은 확률로 뽑을 수 있나 봐요.


Kwoo: 앞서 조언해주신 분들은 게임 계정에 대한 영구 정지 등에 대한 경각심을 주로 언급해 주셨는데요. 사실 아이의 도덕적 판단과 관련이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하면 좋겠습니다. 

아이가 이 불법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회사에서 다시는 게임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게임 계정을 정지시킬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이러한 결과를 바라는 것은 아닐 겁니다. 하지만 ADHD증상인 충동성에 의해, 아이는 당장 어떤 과일을 뽑기 위한 욕구에 사로잡혀서 불법프로그램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더욱이, ADHD아이는 맥락을 읽는 힘이 약하다 보니, 이 불법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다른 게임 유저들과 회사에 어떤 피해를 주는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ADHD인이라고 해서, 도덕적 판단 기능이 부족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ADHD증상인 주의력과 감정 조절의 어려움 그리고 충동성 등 여러가지 성향으로 인해서 도덕적인 판단을 잘 못하고 실수를 저지를 수도 있습니다.

가령, ADHD 증상으로 인해서 지루한 과정을 견디지 못하고, 편법을 이용해서 뭔가 빨리 얻고 싶은 마음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금 상황에서 편법은 핵이라는 불법 프로그램이고 그 대가는 게임 계정의 정지이겠지만, 이러한 태도가 일상생활로 이어진다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무단횡단을 습관적으로 하는 ADHD아이가 있다면 이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신호를 기다리는 지루한 시간을 견디지 못하는 ADHD증상이 작용하는 것이지 도덕적판단 기능이 부족한 건 아니거든요.)

도덕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것과 그 가치관대로 행동하는 것은 엄연히 다른 문제입니다. 그리고 한번 어기면, 두번째 어기는 것은 더 쉽다는 걸 명심해주세요.

편법을 이용해서 성과를 이루려고 하는 마음가짐은 커닝 등 다양한 불법 행위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지금 이 상황은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고,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각별히 신경 써야 합니다.


아이: 왜? 왜 안되는데? 왜 쓰면 안되는데?

엄마: 네가 불법 프로그램을 쓰면 정상적으로 게임을 하는 다른 사람들의 기분은 어떨까? 너라면 어떨 것 같아? 너라면 너가 힘들게 걸려서 얻은 걸, 누군가 단 번에 반칙으로 얻었다면 기분이 좋을까? 그 사람이 얄미울 거 같지 않아? 그렇다면 다른 사람들도 너를 얄미워할 수 있어. 남들이 너를 싫어하는 게 좋겠어?

아이: 나를 싫어해도 상관 없는데? 나는 남들도 반칙 해도 상관 없는데?

엄마:(단호하게)너가 그렇다 하더라도, 안되는 건 안되는 거야. 불법 프로그램을 쓰지 않는 건 ‘약속’이야. 앞서 말했던 다른 사람들의 기분과 회사의 피해를 생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쓰지 않는 것이 ‘규칙’이고 ‘약속’이기 때문이야. 약속은 어느 상황에서나 지켜야 해. 


☎ 추가적인 대처

엄마: 게임을 하는 건 네 스트레스를 풀고 네 기분을 좋게 만들기 위해서야. 그런데 네가 이 게임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그 비싼 과일을 얻지 못해서 괴롭다면, 이 게임을 굳이 해야 할까? 이 게임 말고 엄마랑 다른 게임을 찾아보자. 

☞ 정상적인 방법으로 게임을 할 때면, 게임을 하면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자녀를 칭찬하자.


작가의 이전글 ADHD약물치료는 안전한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