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이 약을 부르는 악순환, 함께 해결해요
나이가 들면 없던 병이 생기는 경우가 많지요. 산업화 이후 생활은 편해지고 수명도 늘어났지만, 주변을 둘러보면 서넛 이상 되는 질병을 앓고 계시는 어르신이 드물지 않아요. 이런 상황을 조금 어려운 말로 다상병(多傷病), 여러 질병을 동시에 앓고 있는 상태라고 한답니다.
다상병 환자들은 각각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여러 약물을 동시에 사용해요. 그러니 한번에 복용하는 약물의 개수가 많아질 수밖에 없죠. 특히 동시에 5개 이상의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를 ‘다제약물사용(polypharmacy)’이라고 부른답니다.
혹시 주변의 친지나 어르신이 다제약물사용 중이신가요?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오늘 건전지가 시니어 다제약물사용 문제를 자세히 알려드릴 테니까요.
건강보험공단의 2019년 연구에 의하면, 한국의 노인 환자 중 90일 이상 다제약물을 사용한 환자는 2019년 기준 전체의 41.8%나 되고, 초다제약물사용(hyperpolypharmacy, 동시에 10개 이상 약물 사용)자 비율도 10.4%에 달해요[1].
사실 다제약물사용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에요. 전 세계적으로 성인 환자 중 37%가 다제약물사용자입니다[2]. 그런데 국내 노인 환자들은 다른 나라보다 훨씬 빈번하게 다제약물을 사용해요. 예컨대 75세 이상 환자 중 3개월 이상 5개 이상의 약물을 사용하는 비율이 한국은 70.2%인데, 이는 OECD 평균인 48.3%보다 훨씬 높은 수치예요[3].
이렇게 유독 한국 노인 환자들의 다제약물사용 비율이 높은 이유가 뭘까요? 가장 큰 원인은 세계적으로도 손에 꼽힐 만큼 의료 접근성이 좋기 때문이에요. 도시에서는 병원을 찾기가 굉장히 쉽고, 또 전국이 일일 생활권이다 보니 지방에서도 하루에 여러 병원을 다니는 일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여러 병원을 다니다 보면 다른 병원에서 어떤 약을 처방했는지 알기 어려워 같은 약을 중복해서 처방할 가능성이 커져요. 바로 이런 분절된 의료 환경이 다제약물사용을 쉽게 만드는 것이지요.
또 약을 선호하는 문화도 다제약물사용을 부추겨요. 병원에 가서 약 처방을 받지 않으면 뭔가 빠뜨린 듯한 느낌이 드는 분들이 많으시죠? 의사도 이런 환자의 마음을 잘 알고 있어요. 그래서 굳이 필요 없는 경우에도 약을 처방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답니다.
다제약물사용은 노인 환자에게 특히 위험해요. 한 연구에 따르면 다제약물을 사용하는 노인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입원율은 18%, 사망률은 25%나 더 높았답니다[4,5]. 골절 위험도 높아지는데, 다제약물사용이 종종 과도한 진정이나 어지럼증을 유발해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6]. 심지어 다제약물사용이 치매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까지 존재한답니다[7].
또한, 다제약물사용은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 처방(PIP, potentially inappropriate prescribing)’의 위험을 증가시켜요[8]. 이는 꼭 필요하지 않거나 환자에게 맞지 않는 약이 처방되는 경우가 흔해진다는 의미예요.
이렇게 잘못된 처방은 노인 환자의 정신적, 신체적 기능을 떨어뜨리고 약물유해반응(adverse drug reaction)의 위험을 높여요. 위의 표에서 보듯, 다제약물 처방과 부적절처방이 모두 존재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나 하나만 존재한 경우보다 입원률과 사망률이 실제로 높게 나타났답니다.
그리고 여러 약물을 동시에 사용하다 보면 서로 나쁜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요. 이 때문에 입원이나 질병 발생, 사망 위험이 증가한답니다. 어떤 경우에는 약물유해반응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약을 추가로 처방해야 하는 ‘연쇄처방’ 상황이 발생하기도 해요.
이와 반대로 다제약물사용을 걱정한 나머지 꼭 필요한 약조차 처방받지 못하는 ‘과소처방(underprescribing)’ 현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9]. 이런 문제가 누적되면 결국 사회 전체의 의료비는 상승하게 되죠[10].
그동안 우리나라 정부가 노인 다제약물사용 문제를 방관하고 있던 것은 아니에요. 다제약물사용 문제를 인지한 이래, 정부는 올바른 약물이용 지원사업, 다제약물 관리사업처럼 여러 정책을 펼쳐왔어요. 그 결과, 서비스 이용 3개월 후 재입원 위험이 21% 감소하고 응급실 방문 위험은 50%까지 줄어들었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시행된 다제약물사용 관리사업은 대체로 일회성 시범 사업이어서 정책의 실효성이 그리 높지 않았어요. 또 현재 시행 중인 다제약물사용 관리는 지역 약국의 약사가 주도하는 형태인데, 이 경우 약사가 환자의 임상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워 처방의 적절성 판단에 어려움이 컸어요. 그리고 약사 주도의 관리 형태가 의사의 처방 변경 • 조정까지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효과가 낮았답니다.
다제약물사용이 항상 나쁜 건 아니에요. 노인 환자의 경우 상황에 따라 다제약물사용이 꼭 필요할 수도 있답니다. 그래서 부적절한 다제약물사용 사례를 골라내고 환자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의학적 지식과 경험이 매우 중요하죠. 그렇기 때문에 의약품과 환자 진료를 잘 아는 전문의가 다제약물사용 관리를 주도하는 게 가장 바람직해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도 2022년 12월에 발표한 ‘노인의 부적절한 다약제 사용 관리 기준 마련’이라는 보고서에서 “보건기관,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 또는 공공병원, 대학병원에서 …(중략)…관련 클리닉 등을 개설할 필요가 있” 다고 주장했답니다[11].
또 환자의 약물 사용 이력을 면밀히 파악하려면 다양한 의료기관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해요. 이를테면 인터넷을 이용한 클라우드 플랫폼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거예요.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 중인 나라예요. 이런 상황에서 노인 다제약물사용 문제는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부와 보건의료계, 일반 시민 모두가 함께 뭉쳐 해결책을 찾아야 해요. 더불어 환자 개개인이 먼저 다제약물 문제를 인지하고 주도적으로 의료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나설 때, 비로소 정확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거예요.
글을 읽고 궁금한 점 또는 별도의 의학 관련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건전지 앱의 의사 전문가 집단이 상세히 답변해 드릴게요.
*본 글은 '건강다이제스트' 8월호에도 게재되었습니다.
매주 금요일 오후, 전문가가 엄선한 건강 정보가 가득한 건전지 뉴스레터를 무료로 만나세요
더 많은 건강기능식품 관련 정보가 필요하시다면, 건전지 앱을 다운받으세요!
구글플레이
애플스토어
참고문헌
[1]Cho HJ, Chae J, Yoon SH, Kim DS. Aging and the Prevalence of Polypharmacy and Hyper-Polypharmacy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A National Retrospective Study During 2010-2019. Front Pharmacol. 2022 May 9;13:866318. doi: 10.3389/fphar.2022.866318. PMID: 35614938; PMCID: PMC91247660
[2]Kim S, Lee H, Park J, Kang J, Rahmati M, Rhee SY, Yon DK. Global and regional prevalence of polypharmacy and related factors, 1997-2022: An umbrella review. Arch Gerontol Geriatr. 2024 Apr 27;124:105465. doi: 10.1016/j.archger.2024.105465. Epub ahead of print. PMID: 38733922
[3]2021년 신현영 의원실 발표
[4]장태익, 김동욱, 박해용, 이찬희, 전은경, 박영민, 박경혜, 이지은, 장선미, 박혜경, 배세진.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한 다제약물(polypharmacy) 복용자의 약물 처방 현황과 기저 질환 및 예후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연구소. 2019
[5]Chang, T.I., Park, H., Kim, D.W. et al. Polypharmacy,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risk: a nationwide cohort study. Sci Rep 10, 18964 (2020). https://doi.org/10.1038/s41598-020-75888-8
[6]Gagnon ME, Talbot D, Tremblay F, Desforges K, Sirois C. Polypharmacy and risk of fractures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J Evid Based Med. 2024 Mar;17(1):145-171. doi: 10.1111/jebm.12593. Epub 2024 Mar 22. PMID: 38517979
[7]Leelakanok N, D'Cunha RR. Association between polypharmacy and dementia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ing Ment Health. 2019 Aug;23(8):932-941. doi: 10.1080/13607863.2018.1468411. Epub 2018 May 10. PMID: 29746153
[8]Zhao M, Chen Z, Xu T, Fan P, Tian F. Global prevalence of polypharmacy and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in older patients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ront Pharmacol. 2023 Aug 24;14:1221069. doi: 10.3389/fphar.2023.1221069. PMID: 37693899; PMCID: PMC10483131
[9]Kuijpers MA, van Marum RJ, Egberts AC, Jansen PA; OLDY (OLd people Drugs & dYsregulations) Study Group. Relationship between polypharmacy and underprescribing. Br J Clin Pharmacol. 2008 Jan;65(1):130-3. doi: 10.1111/j.1365-2125.2007.02961.x. Epub 2007 Jun 19. PMID: 17578478; PMCID: PMC2291281
[10]Kwak MJ, Chang M, Chiadika S, Aguilar D, Avritscher E, Deshmukh A, Goyal P, Kim DH, Aparasu R, Holmes HM. Healthcare Expenditure Associated With Polypharmacy in Older Adul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Am J Cardiol. 2022 Apr 15;169:156-158. doi: 10.1016/j.amjcard.2022.01.012. Epub 2022 Feb 12. PMID: 35168755; PMCID: PMC9313779
[11][12] 윤상헌, 김동숙, 채정미, 최연미, 조호진. 노인의 부적절한 다약제 사용 관리 기준 마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2023, 2023(0), 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