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에세이
딱히 그런 건 아니지만 여름이 되면 하루키의 에세이가 떠오르고, 하루키의 에세이를 읽으면 연쇄적으로 대학교 1학년 여름이 생각난다. 기분 좋은 나날들이었다. 건축과였던 나는 의상과 아이들과 오고 가며 서로 부대끼고 못볼꼴도 서로 다 보며 대학생활을 했다. 그런 사소한 기억을 연소시키며 현재를 살아갈지도 모른다. 아주 사소한 것이지만 이런 사소한 것이 인간의 삶을 가까스로 유지시켜 준다고 하루키도 그렇게 말하고 있다.
여름방학에는 싸구려 필름 카메라를 하나 들고 가방에 팬티 두 장과 메탈리카 반팔 티셔츠와 하루키 에세이 한 권을 넣고 동해를 타고 하루는 포항의 청하에서, 하루는 영덕에서, 하루는 울진에서, 하루는 강릉에서, 그렇게 며칠씩 걸려 태백으로 올라가서 사진을 찍다가 서울로 가서 백남준 아트전을 보고 새까맣게 되어서 내려왔다.
그때는 하루키에 대해서 지금보다 더 빠져 있었고 백남준의 아트를 보는 것이 나의 어떤 정신적 고갈을 막아주는 것 같은 착각을 하고 있었다.
집 떠나 자취를 하고 있었기에 어디 멀리 가도 집에서는 별 걱정을 하지 않았고 될 대로 되라는 식으로 버스를 타고 여기서 저기까지 가서 동네를 어슬렁 거리며 사진을 담고 지치면 그늘막에 앉아서 빵을 뜯어먹으며 맥주를 홀짝이고 하루키 에세이를 읽었다. 대역죄인 같은 거지꼴이었지만 별 걱정이 없던 순간의 연속이었다.
삼일째인가 사일째인가 강릉 어딘가에서 지치고 무더운 가운데 그늘에서 잠시 졸았는데 일어나 보니 하루키의 에세이 빼고는 전부 도둑을 맞았다. 다행히 주머니에 넣어둔 돈은 가져가지 못했기에 그 돈으로 태백까지 올라갔다. 돈이 없어서 아침에 사놓은 바게트가 고작 저녁이 되었는데 책상처럼 딱딱해서 놀랐고 그것을 잘 씹어서 먹으니 맛있어서 또 놀랐던 기억이 있다.
위기의식 같은 것이 없었다. 그저 될 대로 돼라 식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참 같잖은 것 같지만 그때는 그런 일종의 객기를 지니고 있었다. 그런데 그것이 아직도 좀 남아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사진 전시회도 지금까지 몇 번 했다. 누구도 알아주지 않지만 지나서 생각해보면 호오 하며, 고생 고생하면서 전시회를 했었지.라고 되네이게 된다.
태백 어딘가에서, 태양 볕에 타서 새카맣고 고픈 배를 움켜잡고 마를 대로 말라서 어딘가에 앉아서 하루키를 읽고 있는데 누군가 다가와서 벽돌 옮겨 볼래?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었다. 고개를 들어보니 심해에 사는 거대 해양생물 같은 풍채를 자랑하는 아저씨였다. 소규모 벽돌공장을 하는데 사람 한 명이 없어져서 나의 몰골을 보더니 척 알아봤다며 일을 해보라는 것이다.
그 공장에서 열심히 벽돌을 날랐다. 잠자리도 제공되었다. 노숙자는 저리 가라 할 정도의 몰골이었는데 빨래도 할 수 있었다. 이틀 일하고 저녁에 공장 사람들과 고기를 구워서 먹는데 먹자마자 눈물이 핑 돌았다. 처지 때문이 아니라 고기가 너무 맛있어서 눈물이 났다.
그때는 지치지 않고 어딘가에서 하루키를 읽었다. 그때 하루키에게서 받은 느낌은, 그의 책을 읽기 위한 좋은 장소보다 어디서든 앉아서 읽으면 그 자리가 좋은 장소가 된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책을 가장 집중해서 많이 읽었던 때가 아버지가 중환자실에 들어가고 그 대학병원 복도의 벤치에서였다. 상황과는 어울리지 않지만 큭큭 하며 웃기도 했다. 하루키도 책을 읽는데 가장 적합한 장소가 어디냐고 묻는다면 '1968년 4월 그 휑한 방에 있던 딱딱한 매트리스 위'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