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드론의 가능성을 보다
독일에서 드론은 흔히 주문한 물건을 쉽게 자택으로 운반할 수 있는 물류 수단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실제 물류산업에서 쓰이기까지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코트부스 공대의 산업공학 교수 마인베르크(Uwe Meinberg)는 “최소한 10년은 더 걸릴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드론의 배터리 수명은 아직까지 굉장히 짧아 물류산업에 쓰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에서는 TV와 핸드폰 통신망 때문에 자발적인 운항도 힘들다. 더불어 홍보용 동영상에서 보이는 안전한 착륙은 실제 상황에서 이루어지기 어렵다. 드론을 통한 물류 수송은 큰 병원, 대학교 캠퍼스 혹은 공장 내에서와 같은 틈새시장을 통해서만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물류분야가 아니더라도 독일 드론 시장은 성장하고 있다.
산업계 전망에 따르면 독일에는 현재 40만 개의 드론이 있고, 그 중 20%가 상업적 용도로 쓰이고 있다고 한다. 그 수는 향후 3년 이내 3배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전 세계 드론시장의 잠재력은 약 130억 달러(약 14조 원)에 달한다. 드론과 관계된 분야별로 수익 규모를 살펴보면, 사회기반시설 및 건설업(약 5조 원)에 이어 영농업계(약 3조 원), 보안업계(약 1조 원),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약 1조 원)가 그 대상이다.
독일의 드론산업을 총괄적으로 조사한 기존 자료를 만나기는 매우 어렵다. 이처럼 독일의 드론시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데에는 이유가 있다. 대부분의 독일계 드론 기업들은 소유주에 의해 운영되며 그들의 사업에 대해서 많은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다. 그 중에서 유망기업으로 꼽히는 회사 두 곳을 먼저 살펴보자.
독일 Karlsruhe의 이-볼로(E-volo)사는 사람을 운송할 수 있는 드론을 시험 제작했다. 경비행기로 분류되는 볼로콥터(Volocopter)는 총 18개의 회전자로 구성돼 있으며 헬리콥터와 유사한 외양을 지녔다.
이-볼로사는 독일 운전면허증 정도의 취득 난이도를 가진 특수 조종 자격증을 등록하기 위해 항공 당국과 협상 단계에 있으며 제조 및 판매 파트너를 물색 중이다.
또 다른 독일 기업인 데드론(Dedrone)사는 드론이 낳은 부정적인 측면에 주목했다. 드론의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다. 데드론사의 주 고객들은 보안업체, 교도시설 혹은 대형 스포츠 경기장 등이다.
데드론사는 사업 성공 이후 미국으로 사무실을 이전했는데, 기술개발팀은 독일의 공학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 독일에 남아있는 상태이다.
또한 이 회사는 현재 독일 최대통신사 Deutsche Telekom과 제휴를 맺고, 도이체 텔레콤의 고객들을 드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이외에 현재 지적할 수 있는 독일 드론 업계의 가장 큰 특징은 잦은 ‘기업 간 합병’에서 보이는 역동성이다.
한 예로 보틱스(Aibotix)사는 2010년 창설돼 4년간 75명의 직원을 보유한 기업으로 성장했는데, 이후 스웨덴의 리서칭 기업인 Hexagon A.B.사에 인수됐다.
아이보틱스사는 헥사곤사의 자회사인 Leica Geosystems사와 함께 150명 상당의 직원들이 드론에 대해 조사하고 그들의 소비자들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지난 6년간 이곳에선 2만 유로(약 2499만 원) 상당의 기본 모델부터 13만 유로(약 1억6000만 원)에 달하는 고성능 모델까지 1000~1500개의 드론이 개발됐다.
드론산업 전문 컨설팅업체인 Think tank Drone Insight 또한 현재 ‘독일 시장 내에서의 치열한 합병’을 지적하면서 드론이라는 새로운 제품이 야기할 각 산업별 비즈니스 기회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수년간 태양광 발전소에서는 결함이 있는 패널을 발견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가 장착된 드론을 사용하고 있다. 풍력발전소 역시 균열을 발견하기 위해 사람보다 더 빠르고 저렴한 방법인 HD 카메라가 장착된 드론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밖에도 드론은 다리, 댐, 탑 등을 점검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Easyjet과 같은 몇몇 항공사들은 항공기 표면을 점검할 수 있는 레이저 기술이 장착된 드론을 사용하고 있다.
영농업계 역시 이러한 기술 발전으로 이윤을 얻고 있는 또 다른 산업분야이다. 밭을 살펴보는 드론은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에 대한 보험 배상 청구, 또는 적합한 파종 시기를 확인하는 데에 쓰이고 있다.또한 수확용 기계가 야생동물을 살상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열적외선 카메라가 장착된 드론을 이용하기도 한다.
독일 정부는 농업에서 드론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보조금을 지원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Bonn대학의 연구 프로젝트인 ‘crop watch’는 트랙터와 드론에 모두 카메라를 장착해 작물의 위치와 활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 준다.
생방송, 영화 혹은 광고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산업 분야에서도 드론은 현재 호황을 누리고 있다. 더 이상 헬리콥터 조종사나 특수 카메라맨은 필요 없게 됐지만 이제는 숙련된 드론 조종사가 필요한 세상이다.
전문가들은중에 판매된 상업용 드론의 절반 이상은 미디어나 방송 기록을 위해 사용되고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경찰서, 소방서와 정찰 및 보안업계는 떠오르고 있는 또 다른 산업 시장이다. 독일과 미국의 연합 스타트업 업체인 Nightingale Security사는 드론이 경비원의 순찰 경로를 따라 감시한다.
침입자를 발견하는 순간 해당 감시 화면이 보안 업체로 전송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한 비용 절감 효과는 크다. 일일 3교대의 보안업체 경비원은 1만5000달러에서 2만5000달러(1691만~2818만 원)의 비용이 들겠지만 드론 시스템은 5000달러(563만 원)의 비용만이 든다.
건설, 채광 그리고 에너지 산업 분야의 조사 및 측정하는 일자리 역시 줄어들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독일 카셀에 있는 Aibotix사의 페더만 씨는 16헥타르의 건설 현장을 사람이 측정한다면 최소 일주일의 시간이 걸리지만, 드론을 사용하면 단 8분만에 사람보다 더 정확하게 측정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한다.
대한민국 최초 드론 전문 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