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화평론가 박동수 Nov 06. 2018

자유의지를 위한 불복종의 투쟁

<불복종> 세바스티안 렐리오 2017

*스포일러 포함


 <글로리아>, <판타스틱 우먼> 등의 영화를 발표하며 칠레, 그리고 퀴어 영화계의 스타로 떠오른 세바스티안 렐리오 감독의 첫 영어영화 <불복종>을 드디어 관람했다. 아쉽게도 국내 개봉이 무산되고 바로 블루레이와 VOD 등의 2차 시장으로 직행했지만, 프라이드 영화제를 통해 극장에서 만나볼 수 있었다. 항상 퀴어를 주인공으로 삼아온 작가답게, <불복종> 또한 레즈비언 커플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영화는 런던의 유대인 공동체를 떠나 뉴욕으로 간 로닛(레이첼 바이스)이 공동체의 랍비였던 아버지의 사망 이후 장례식을 위해 돌아오게 되고, 절친이었던 두 친구 에스티(레이첼 맥아담스)와 도비드(알렉산드로 니볼라)가 결혼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로닛의 등장에 공동체의 사람들은 수군거리기 시작하고, 도비드에게 아내 간수를 잘 하라는 말을 건넨다. 그러나 로닛과 에스티는 예전에 나누었던 사랑을 다시 떠올리게 된다.

 <불복종>의 시놉시스나 포스터만 보면 토드 헤인즈의 <캐롤>이나 압둘라티프 케시시의 <가장 따뜻한 색 블루> 등의 영화들을 연상시킨다. 하지만 <불복종>은 세상에서부터 탈주하거나, 연애의 시작과 끝을 다루는 익숙한 레즈비언 로맨스 드라마로 흘러가지 않는다. 대신 영화는 유대인 공동체와 가족에 집중한다. 유대인 공동체는 당연하게도 동성애를 탄압하고, 로닛과 에스티가 키스하는 모습을 목격한 사람은 그들을 고발하기도 한다. 로닛은 공동체에서 탈주한 인물이지만, 에스티는 차기 랍비 후보인 도비드와 결혼하여 생활하고 있다. 때문에 그에게 이러한 문제는 유대인 공동체에서 앞으로의 생활이 걸린, 교사라는 직장과 도비드와의 결혼생활이 달린 문제이다. 영화에선 에스티의 레즈비언 성적지향을 결혼을 통해 바꿀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도비드와 공동체의 사람들, 그리고 그러한 생각이 에스티 본인에게도 주입되었다는 것이 등장한다. 유대인 공동체는 종교를 구실로 삼고 공동체라는 이름과 공간을 내세워 한 개인의 삶을 규정하려 한다. 에스티와 로닛의 사랑이 받아들여지기는커녕, 교화 내지는 치료의 가능성이 있다고 공동체는 믿는다. 결국 이. 공동체는 자신들이 쌓아온 전통을 견고히 하기 위해 자유의지를 박탈하고 개인을 지워낸다.

 영화의 오프닝 시퀀스에서, 로닛의 아버지인 랍비는 마지막으로 설교를 하다 폐렴으로 쓰러져 사망한다. 랍비의 마지막 설교는 신이 남자와 여자를 창조했고 율법을 만들어냈지만, 그들에게 불복종할 수 있는 자유의지도 주었다는 것이다. 자유의지는 유대교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종교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소재이다. 자유의지와 종교의 충돌은 퀴어 영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측면에서 영화를 비롯한 매체들에 등장한다. 신에게 복종하도록 창조된 인간에게 신이 자유의지를 주었다는 종교적 모순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불복종>은 이러한 모순의 충돌을 정면으로 그려내는 작품이다. 때문에 이 영화의 클라이맥스는 로닛이나 에스티가 아닌 도비드가 가져간다. 랍비가 죽기 전에 설파한 자유의지를 곱씹어보던 차기 랍비 후보는, 결국 인간의 자유의지를 부정하지 못하고 자신의 자리를 내려 놓는다. <불복종>이 레즈비언 로맨스임과 동시에 종교와 이에 기반한 가족을 통해 자유의지에 대한 이야기를 설파하는 작품이 된다. 이는 세바스티언 렐리오 감독의 전작 <판타스틱 우먼>에서 애인의 장례식에도 참여하지 못하는 트랜스젠더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담아낸 자유와 그것을 얻을 권리를 이야기했던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결국 세바스티안 렐리오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주제는 권리로써 존재하는 자유라고 생각된다. 

 다만 <불복종>의 클라이맥스를 로닛이나 에스티가 아닌 도비드가 가져갔어야만 했는지는 의문이 남는다. 영화가 주인공을 내세우는 두 캐릭터 대신 공동체에 깊숙이 들어가 남성이 클라이맥스를 차지하고 그가 “당신은 자유야”라는 대사를 뱉는다는 것은, 에스티의 자유의지가 도비드의 승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만 같은 오독을 낳게 된다. 물론 도비드가 상징하는 공동체의 성격이 존재하고, 그의 발언을 통해 이를 무너트리며, 결국 공동체에 속한 집에 남는 에스티의 선택을 통해 영화의 엔딩 이후에도 이어질 에스티의 투쟁을 가시화하는 것으로 <불복종>은 자신의 클라이맥스를 합리화한다. 에스티의 불복종이 나비효과를 일으켜 도비드를 변화시켰다고 해야 할까? 하지만 클라이맥스가 도비드에게 주어졌다는 것은, 에스티가 벌이는 투쟁을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때문에 <불복종>은 로닛과 에스티의 이야기가 도비드로 대표되는 공동체로 확장된 것임과 동시에, 로닛과 에스티의 이야기 자체는 축소되며 로닛과 아버지의 관계마저 어정쩡한 결말을 맞이하는 한계를 품고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