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화평론가 박동수 Nov 23. 2018

안일한 로빈 후드

<후드> 오토 바서스트 2018

 로빈 후드의 이야기가 다시 한번 영화화되었다. 이번 작품은 십자군 원정을 다녀온 로빈(테론 에저튼)이 죽은 줄 알고 그의 재산을 갈취한 노팅엄 주 장관(벤 멘델슨)에게 맞서, 전쟁에서 알게 된 존(제이미 폭스)과 함께 싸운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흑인 조력자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리들리 스콧의 <로빈 후드>보다는 케빈 코스트너와 모건 프리먼이 출연했던 1991년 작품 <로빈 훗>을 연상시킨다. 게다가 이번 작품은 영화의 프랜차이즈화를 염두에 두고 제작된 작품이기에, 대형 블록버스터 영화의 걸맞은 스케일을 곁들인다. 문제는 이러한 영화의 방식이 제대로 먹혔느냐에 있다.

 영화의 초반부 등장하는 아라비아 반도에서의 십자군 전투 장면은 <라이언 일병 구하기>나 <블랙 호크 다운>과 같은 현대전을 그린 작품들을 연상시킨다. 소총이 활이 되고 기관총이 자동 석궁으로 대체되었을 뿐, 전투의 방식과 이를 보여주는 카메라의 구도는 명백히 현대전을 그린 작품들의 방식을 따른다. 이런 방식으로, 중반부 등장하는 마차 추격전 시퀀스는 <벤허>의 전차 장면과 <원티드>의 카체이싱을 적절히 뒤섞은 방식이며, 돈이 든 마차를 탈취하는 장면은 <이탈리안 잡>을, 후반부의 클라이맥스 전투는 <다크 나이트 라이즈>의 월가에서 벌어진 경찰과 시위대의 액션을 연상시킨다. 이러한 액션들은 화려하긴 하지만 이미 보았던 것들의 활을 내세운 액션들은 그럭저럭 잘 짜여 있지만, 드라마 <애로우> 등에서 이미 익숙해진 액션을 반복하고 있을 뿐이다. 

 영화의 이야기는 더욱 진부하다. 로빈 후드의 이야기 자체가 일종의 전 세계적 클리셰가 된 상태이기에 그렇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후드>가 하려는 이야기 자체가 시대착오적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주 장관이 알고 보니 적을 지원하고 있었다는 설정은 자연스럽게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을 연상시킬 수밖에 없다. 트럼프 시대에 이러한 이야기를 다시 꺼내는 것은 딱히 의미가 없어 보일 뿐만 아니라, <다크 나이트 라이즈>의 하비 덴트와 유사한 (심지어 투페이스가 되는) 캐릭터를 등장시키는 장면은 차용이라고 보기엔 어처구니없을 정도로 당황스럽다. 후속편에 대한 예고를 분명히 하며 끝나는 영화지만, 지금과 같은 안일한 기획에 머물게 된다면 크게 기대되지 않는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