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스마일> 데이빗 로워리 2018
70대 노인은 은행강도다. 리볼버 한 자루를 들고 신사적으로 은행을 턴다. 몇 차례 수감되었던 그는 수차례 탈옥에 성공했고, 그것보다 더 많은 수의 은행을 털었다. 그는 동년배의 두 동료와 함께 계속 은행을 털고 있다. 데이빗 로워리의 신작 <미스터 스마일>은 이 놀라운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연기 은퇴를 선언한 노배우 로버트 레드포드가 주인공 포레스트 터커를 연기한다. 영화는 행복한 듯 웃으며 정중하게 은행을 터는 은행강도 포레스트의 행적을, 그를 비롯한 세 명의 ‘퇴물 은행 강도단’을 잡기 위해 노력하는 존 헌트(케이시 애플렉)와 함께 쫓아간다.
은행강도가 등장하는 범죄영화이자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지만, <미스터 스마일>은 은행강도들의 철두철미한 계획이나 좋은 감을 지닌 형사의 활약 따위에 주목하지 않는다. 대신 포레스트와 존, 범죄자와 경찰이라는 양극단에 위치했지만 느릿한 삶의 리듬감을 공유하는 두 사람을 천천히 쫓아간다. 포레스트가 우연히 만난 주얼(씨씨 스페이식)과 함께 있는 장면들은 노배우들이 등장하는 스크루볼 코미디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범죄와 유머가 난무하는 작품이지만, <미스터 스마일>은 결코 포레스트와 존이 지닌 삶의 리듬감을 벗어나지 않는다. 나이 든 포레스트의 느릿한 걸음걸이와 경찰생활에 회의감을 느껴 진부한 생활을 이어가는 존의 느릿한 말, 영화는 재즈풍의 선곡을 통해 리듬을 잡고 편집을 통해 교묘하게 이 리듬감을 지속시킨다.
이 영화에 ‘리듬을 통해 삶을 통찰한다’ 같은 평을 하는 것은 굉장히 뻔하고 진부한 말일 수밖에 없다. 데이빗 로워리가 93분의 러닝타임 내내 관객에게 삶의 리듬을 주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방식만으로 <미스터 스마일>을 보는 것은 로버트 레드포드의 길고 진득한 커리어에 찬사를 보내는 이 영화의 후반부만으로도 충분하다. 대신 데이빗 로워리의 전작인 <고스트 스토리>의 연장선상에서, <미스터 스마일>의 장소를 통해 인물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포레스트의 집은 공동묘지 앞에 있고, 주얼의 집은 드넓은 들판 한가운데 놓여 있다. 포레스트가 수많은 은행들 사이를 떠도는 (심지어 수 차례 탈옥하며 떠돌기를 이어가는) 점잖은 유령인 한편, 주얼은 자신의 공간에서 자신의 리듬을 지니고 있다. 존 또한 경찰이라는 역할과 활동반경 안에서 자신의 리듬을 지닌 인물이다. 포레스트는 존이 그가 다녀간 은행들을 표시한 지도 위의 핀처럼 여러 장소들을 떠돌다가 존, 그리고 주얼과 충돌한다. 다만 그들이 유사한 리듬을 지녔기에, 그들의 충돌은 불협화음이 아닌 하모니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장소, 리듬의 변주와 유지가 <미스터 스마일>의 핵심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