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화평론가 박동수 Feb 24. 2019

카메라와 충돌하는 배우들의 힘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요르고스 란티모스 2018

 18세기 초, 앤 여왕(올리비아 콜먼)이 집권하던 시절. 앤의 오랜 친구이자 최측근인 사라(레이첼 바이스)는 자신의 위치와 욕망을 동원해 국정을 자신의 뜻대로 흘러가게 한다. 어느 날, 사라의 사촌인 애비게일(엠마 스톤)이 일자리를 부탁하며 그를 찾아온다. 몰락한 귀족 집안의 딸인 애비게일은 사라의 집의 하인으로 일하게 된다. 그러던 중 애비게일은 앤 여왕의 눈에 들게 되고, 그는 다시 스스로를 복권시키기 위해 사라를 밀어내고 앤의 최측근이 되려 한다. 그동안 남성 중심적으로 그려진 정치극이 여성 중심으로 옮겨온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는 단순히 성별을 바꿨다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여성 중심의 서사이기에 가능한 방향으로 이야기를 펼쳐 나간다. <송곳니>, <더 랍스터>, <킬링 디어> 등으로 주목받고 있는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이 처음으로 다른 사람의 각본을 사용한 작품이기도 하다.

 <송곳니>는 극단적인 가부장제 집안 안에서 벌어지는 일을 통해 그리스의 현재를 비판하려 했지만, 결국 가부장제 속으로 포섭되는 영화였다. <더 랍스터>는 독특한 설정을 통해 외로움과 사랑이라는 지점을 흥미롭게 그려내는 수작이었고, <킬링 디어>는 스탠리 큐브릭적인 심리 스릴러극을 따라 가려다 실패한 작품이었다. 작품에 대한 호불호와는 상관없이, 독특한 설정으로 구성된 란티모스 영화 속의 좁은 세계들은 항상 흥미를 끄는 면이 있었다. <더 페이버릿>은 그 장소를 영국의 궁전으로 정했다. 전작들만큼 독특한 설정은 아니지만, 앤, 사라, 애비게일 세 여성들 사이의 권력다툼, 욕망, 사랑의 삼각관계가 펼쳐진다는 점에서 신선하다. 기존의 남성 중심 정치극들이 남성 호모소셜을 묘사하면서도 브로맨스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해 지지부진해지거나 익숙한 클리셰만을 반복해왔다. 그러다 보니 여성은 물론, 주요 남성인물을 제외한 캐릭터들을 대상화하게 된다. 반면 <더 페이버릿>의 세 여성은 호모소셜적인 힘겨루기에 매몰되지 않는다. 대신 호모섹슈얼리티를 내세우고 활용하여 권력다툼을 전개하고, 실제인지 만들어낸 것인지 분간할 수 없는 감정들이 오간다. 그러는 동안 할리 당수(니콜라스 홀트), 말버러 경(마크 게티스), 마샴(조 알윈) 등의 남성 캐릭터는 권력다툼 속의 체스말이 되거나, 비둘기처럼 소식을 전하는 존재에 머물거나, 멀리 보내져 극에서 배제되고, 아예 딜도와 같은 장난감처럼 다뤄지기도 한다. 이렇게 영화의 서사는 세 여성의 이야기에 집중한다. 

 <더 페이버릿>이 가장 흥미로운 지점은, 서사가 세 여성에게 집중함으로써 올리비아 콜먼, 레이첼 바이스, 엠마 스톤 세 여성 배우가 마음껏 연기를 즐기는 것과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남성적인 카메라가 충돌하는 것이다. 그간 <샤이닝>이나 <시계태엽오렌지> 등 스탠리 큐브릭의 작품 속 장면을 차용하고 활용한 란티모스는 이번엔 <배리 린든>을 가져온다. 남성의 이야기를 쫓아가는 작품이었던 <배리 린든>의 촛불이나 과장된 (혹은 그렇게 보이는) 남성들의 화장과 의상 등이 <더 페이버릿>에도 등장한다. 하지만 <더 페이버릿>은 남성이 아닌 여성의 영화이다. 란티모스는 종종 <킬링 디어>에서 마틴(배리 케오간)의 캐릭터를 빌어, (남성적 신화 속의) 신적인 시선을 드러내려 했다. <더 페이버릿>에서는 이러한 시선이 필요하지도, 통하지도 않는다. 180도 패닝을 통해 바쁘게 세 인물을 오가고, 극단적인 광각렌즈 촬영을 통해 인물을 화면의 중심에 부각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배리 린든>을 연상시키는 화려한 미술과 촛불을 사용한 조명 사이에서 부각되는 것은 앤-사라-애비게일 세 여성의 신체와 얼굴이다. 

 세 배우의 연기는 란티모스의 카메라와 대결한다. <더 페이버릿>은 <송곳니>가 의도했던 것과 <더 랍스터>의 주제를 유사하게 따라가지만, 앤-사라-애비게일은 란티모스의 카메라 앞에서 정해진 길만을 따라가는 듯한 인상이었던 전작의 캐릭터들과 다르다. 그렇다고 란티모스가 자신의 영화 속에서 신적 위치에 서려는 욕구를 버렸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대신 그 욕구가 배우들의 연기 및 캐릭터와 충돌하며 발생하는 에너지가 이 영화의 동력이 된다. 그렇기에 도리어, <더 페이버릿>은 란티모스의 필모그래피 중 가장 란티모스의 역할이 적지만, 가장 흥미로운 작품이 되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아직 잊을 수 없기에 오는 불쾌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