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지안 Mar 22. 2024

혁신이 가능한 구조, 어떻게 만들까

트레바리 책 <룬샷> 후기  

오랜만에 트레바리 클럽에 참여하고 있다. 주제는 글로벌 비즈니스. 가기 전까지는 '도대체 내가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자고 퇴근하고 가고 있나' 생각하다가, 막상 끝나고 나면 '그래도 역시 하길 잘했지'라고 생각이 바뀐다. 이 매력이 트레바리를 간헐적으로라도 계속하게 만든다. 마성의 트레바리.    

언젠가부터 내가 모르는 영역을 빠르게 배워야 할 때, 특히 쉽고 빠르고 순도 높은 방법으로 배우고 싶을 때 트레바리를 찾는다. 글로벌 비즈니스가 그런 영역이었다. 마침 주제가 맞는 클럽이 있어서 골랐는데 잘한 선택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2회 차 모임은 책 <룬샷Loonshot>을 가지고 이야기했는데 개인적으로는 1회 차 모임보다 좋았다. 대화를 나누면서 머리가 댕-하고 울리는 느낌도 여러 번 받았다. 뇌에 스파크가 튀는 느낌이랄까. 여운이 길게 남아 모임에서 새로 배운 개념을 정리해 본다. 


1. 책 <룬샷> 주요 개념


- 룬샷(Loonshot) : 그 주창자를 나사 빠진 사람 취급하는, 대다수가 무시하고 홀대하는 미친 프로젝트. 성공하면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기업이 한 단계 더 성장하는 동력이 됨. 룬샷의 결과물은 상태의 유지나 개선 정도가 아닌 아예 판을 바꿈(혁신, 창의, 파격) 

ex) 처음 출시된 아이폰 


- 전략형 룬샷(S-Type Loonshot) : 모두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거라고 생각하는 새로운 전략이나 비즈니스 모델

ex) 아메리칸 항공 : 마일리지 프로그램 최초 도입, 특별 할인 항공 운임, 2단계 고용(임금체계를 A/B로 달리 가져감)


- 제품형 룬샷(P-Type Loonshot) : 모두가 성공하지 못할 거라고 생각하는 신제품이나 신기술 

ex) 팬암 항공사 : 40년간 더 크고 빠른 비행기를 설계하고 주문 

※ 규제 철폐라는 환경 변화와 전략형 룬샷으로 무장한 신생 기업들의 성장으로 팬암은 결국 사라짐 


- 프랜차이즈(Franchise) : 최초 제품이나 서비스의 후속작 또는 업데이트 버전. 프랜차이즈의 결과물은 기존 상태의 유지나 개선 정도에 그침(안정, 보수, 개선) 

ex) 아이폰 X 이후 버전


- 동적 평형(Dynamic Equilibrium) : 두 가지 상태가 계속해서 일부를 주고받으며 어느 한쪽도 다른 쪽을 희생시키면서 커지거나 줄어들지 않고 균형을 이루며 공존하는 상태.

ex) 얼음 덩어리와 물이 공존하며 분자들이 계속 둘 사이를 오갈 때


- 상전이(Phase Transition) : 두 가지 상태, 즉 두 가지 유형의 창발적 행동 사이에 일어나는 갑작스러운 변화. 

ex) 고체와 액체 사이. 고속도로에서 부드러운 흐름과 꽉 막힌 흐름 사이. 시장의 합리적 상태와 버블 상태 사이. 


- 매직 넘버 : 집단의 규모가 매직넘버(던바의 법칙에 의하면 150명)을 넘어서면 룬샷에 초점을 맞추던 사람들이 경력에 초점(승진을 위한 사내정치)을 맞춤. 조직 구조의 변수를 조정하면 다시 룬샷에 초점을 맞추는 매직넘버로 올릴 수 있음. 

ex) 물리학자 필립 앤더슨(Philip Anderson) "많으면 달라진다 More is different"


2. 생각해 볼 점


1) 룬샷은 반드시 필요한가?


- [필요성] 성장은 무한하지 않다. 성장 곡선이 정점을 찍고 하락하는 시기가 반드시 온다.(그림 1 참고) 기존의 프랜차이즈 사업의 성장이 한계점에 도달하기 전 새로운 룬샷을 준비해야만 그 힘으로 기업 전체의 성장을 지속할 수 있다.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룬샷이 필요하다.  

ex) 메타 사례 : 페이스북의 성장이 완만해졌을 때 인스타그램 인수로 성장을 이어감   

출처 : DBR 

- [추진 시점]  룬샷은 프랜차이즈 사업이 잘 되고 있을 때 미리 준비해야 한다. 성장 곡선이 이미 꺾였을 때 룬샷을 준비하면 잘 작동하지 않는다.(인재 영입이 어려움) 

ex) 지붕은 날이 좋을 때 고쳐야 한다


- [전제] 룬샷의 전제는 기존 프랜차이즈가 안정권에 올랐을 때 해야 한다. 회사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현금이 창출되는 상황에서 파격적인 도전에 나서야 한다. 


- [유의사항1] 룬샷은 필요하지만, 프랜차이즈를 등한시해서는 안 된다.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

ex)크래프톤 사례 : 배틀 그라운드(룬샷)에 너무 중심을 두어서 돈 벌어오는 테라(프랜차이즈)를 등한시. 내부 불만 발생.


- [유의사항2] 무한정 룬샷 기회를 줄 수는 없다. 제한된 조건(시간, 예산 등) 안에서의 룬샷이어야 한다.   

ex) 패스트 트랙 아시아 박지웅 대표 : "적당히 똑똑한 사람이 3번 실패할 수 있을 만큼의 예산을 투자한다." 


- [유의사항3] 표면적으로는 실패처럼 보여도, 그 안에 룬샷의 가능성이 숨어 있을 수 있다. 제품 개발에는 실패해도, 그걸 위해 사용된 기술 자체는 활용 가능하다.  

ex) 샌드버드 사례 : 첫 제품은 커뮤니티 서비스. 그런데 그 안에 채팅 기능이 개발이 잘 되어서 그 기능만 가지고 피벗.


2) 동적 평형을 만드는 방법


- [구조] 룬샷 그룹과 프랜차이즈 그룹을 의도적으로 분리해야 한다. 룬샷 조직은 쉽게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힘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장치(권한, 직책, 조직 내 파워 등)가 필요하다. 


- [리더십] 룬샷 그룹을 지키고 육성할 수 있는 인물(정원사)이 필요하다. 

ex) 군인 - 과학자 집단을 연결했던 버나바 부시


3) 회사의 매직넘버를 키우는 방법


- [인센티브] 금전적/비금전적 보상(인센티브)의 초점을 어디에, 어떻게 맞추느냐에 따라 룬샷/프랜차이즈 조직의 동기부여가 달라질 수 있음   

ex) 삼성 사례: 인물과 숫자로 조직 관리. 소수의 룬샷(핵심인재) 그룹에 파격 보상. 임원은 승진에 따라 보상 상승의 폭이 파격적으로 커짐(금전적 동기부여). 나머지 프랜차이즈 그룹은 적당한 숫자(Head counting)로 관리됨. 


- [프로젝트-능력 적합도] 개인이 가진 역량/특성과 프로젝트/일이 fit 할 때 몰입도가 큰 조직 만들 수 있음

ex) 에코마케팅 사례 : 프로젝트 투입 전 개인의 성향과 일의 적합도를 심도 깊게 고민한 다음 투입을 결정. 반대로 일의 성격이 바뀌면 팀에서 사람을 바로 빼기도.  

매거진의 이전글 글쓰기 슬럼프를 겪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