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efii Aug 01. 2022

우리아이 정서발달에 딱! 자연 친구들 이야기

인류에게 혜택을 주는 동물들


산호

[출처 : 한국의 멸종위기종]


대부분 산호를 바닷속에 사는 ‘식물’로 알고 계실 텐데 의외로 산호는 ‘동물’이에요. 산호는 수많은 해양생물종에게 필요한 서식지를 마련해줘서 바다의 보물이라고도 불려요. 똑같이 생긴 산호충이 집단을 이룬 형태로 살아가요. 산호의 상징인 다채로운 색깔은 산호에 깃들어 살아가는 공생 조류의 색깔이에요. 놀랍게도 산호의 색은 원래 투명해요. 산호가 공생 조류에게 서식지를 제공해주는 대신, 이들 공생 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만든 양분을 산호에게 제공한다고 해요. 


산호는 해양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예요. 온갖 해양생물이 산호초에서 서식하고, 번식하고, 먹이를 먹고, 포식자를 피해 숨어요. 생물들에게는 안전한 안식처 역할을 해요.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산호초를 기반으로 풍요로운 생태계가 형성돼요. 산호초를 서식지 삼아 살아가는 물고기 종류만 해도 1,500종에 이르러요. 그 때문에 산호초는 ‘바다의 열대우림’으로 불려요.


그런데, 이런 산호가 사라지게 되면 생태계 전체가 무너져 야생동물의 죽음과 종의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또한 해저에서 발생한 지진과 파도의 충격을 흡수해 주는 역할도 감소하게 되어 그로 인한 육지의 피해가 커지게 돼요. 그리고 해수의 지하수 유입이 쉬워지면서 육지의 지하수가 바닷물과 섞여 식수 및 농업 용수로 사용이 불가능해져요.




[출처 : EBS]


우리가 먹는 농작물 대부분이 재배 과정에서 꿀벌의 도움을 받아요. 꿀벌이 꽃가루를 들고 열심히 움직이는 덕분에 식물이 번식하고, 우리 인류는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거라고 해요. 아인슈타인은 “꿀벌이 사라질 경우 인류는 4년 안에 멸망한다”라고 언급할 정도로 벌은 자연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하지만, 지구온난화가 가속되면서 벌들이 계속 사라지고 있어 큰 문제예요. 벌들이 사라지는 이유는 '군집 붕괴 현상' 때문인데요. 꿀과 꽃가루를 채집하러 벌집을 나선 벌들이 집으로 돌아오지 않아 유충과 여왕벌이 폐사하는 현상이에요. 양봉가들은 벌의 수가 갑자기 줄어들었다고 보고하면서 어른 벌들은 갑자기 대부분 함께 사라졌고, 벌통 안에는 여왕벌과 유충만 남아 있다가 다 죽어가고 있어요.


꿀벌의 멸종은 식물, 동물, 연료의 가용성, 지형, 옷, 그리고 물론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쳐요. 첫째, 식물에 미치는 영향으로, 곤충은 지구 상의 중요한 꽃가루 매개물로써 벌은 이러한 목적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곤충이에요. 벌이 없다면, 우리는 맛있는 사과, 체리, 그리고 많은 다른 과일과 채소를 맛볼 수 없게 돼요. 꿀벌이 멸종하면 농작물 생산량도 크게 감소하게 되는데요. 비록 쌀과 밀과 같은 작물들이 곤충의 수분 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사람들은 평생 쌀과 빵을 먹음으로써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인류는 큰 고통에 빠질 거예요.


둘째, 동물에게도 영향을 미쳐요. 특정 식물 종에 의존하는 초식동물이 먼저 영향을 받는데, 식물이 사라지면 그들은 멸종돼요. 예를 들어, 우유와 고기로 사용되는 많은 소들은 곤충의 수분 작용에 의존한다고 해요. 만약 소의 식량 공급이 감소한다면, 고기와 우유 생산량 또한 감소해 인간의 식생활에 아주 심각한 영향을 미칠 거예요.




코끼리

[출처 : 뉴시스]


아프리카 열대우림에 살고 있는 귀가 둥근 '둥근귀코끼리',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몸무게가 2.7톤 정도로 상아가 덜 휘어진 특징을 지닌 코끼리 종이예요. 이 코끼리들은 30cm 이하의 줄기를 지닌 나무나 초목을 먹지만 이런 습성이 나무와 초목의 빽빽한 밀도를 완화하여 산소 배출을 더 늘려 지구온난화의 속도를 억제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요. 열대우림 식물들로 하여금 공간을 획득하게 해 더 많은 빛과 물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고 해요. 식물의 수는 적어지지만 식물이 튼튼하면서도 더 높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고 해요. 생산성과 목제 밀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흙 위에 있는 모든 지상 생물(그루터기, 가지, 수피, 씨, 잎 등)의 총량을 증가시켜 건강한 숲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어요. 


하지만 둥근 귀 코끼리는 지금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이에요. 비싸게 팔리는 상아 때문이죠. 중국 등 세계적인 상아 수입국인 아시아 국가들이 둥근 귀 코끼리를 사냥하고 있어요. 멸종 위기에 놓이면서 국제 자연보전 연맹(IUCN)은 둥근귀코끼리를 호랑이와 함께 멸종위기 등급으로 지정해놓고 있어요. 둥근귀코끼리가 멸종 위기에 놓이면서 서식지도 심각하게 파괴되고 있어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아프리카 열대우림이 어째서 급속히 파괴되고 있는지 원인을 규명하고 있던 중 둥근귀코끼리 멸종사태가 그 원인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출처

https://bit.ly/3OIhhdu

https://bit.ly/3zKxIBE

https://bit.ly/3BBAASZ

https://bit.ly/3zKxPx4

https://bit.ly/3vSsbH9

https://bit.ly/3biCpt0

매거진의 이전글 자연 속 엄마표미술! 바다놀이를 더 신나게 즐기는 꿀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