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eniemo Feb 01. 2022

<이반 일리치의 죽음>에서 발견하는 퇴직의 현실

‘잘린 건 내가 아니라, 바로 그 사람이야.’

[ New-UP(業)의 발견 ① ]

<이반 일리치의 죽음>에서 발견하는 퇴직의 현실


☞ 본 칼럼은 리더들의 퇴직 플래너 화담,하다와 서울경제신문사가 공동 기획한 칼럼이며, 10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사 원문은 글의 마지막에 링크되어 있습니다.



그들이 이반 일리치의 사망 소식을 듣고 생각한 것은 그로 인해 생길 자리 이동과 승진이 전부는 아니었다. 가까운 사람이 죽었다는 말을 들었을 때 누구나 그렇듯 그들 역시 속으로 안도감을 느꼈다.
‘죽은 건 내가 아니라 바로 그 사람이야.’- 톨스토이 <이반 일리치의 죽음>


1886년 첫 출간된 톨스토이의 단편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주인공 이반 일리치의 사망 소식이 동료들에게 전달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가까운 동료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일상은 한치의 흔들림도 없다. 먼 곳까지 조문을 가는 수고로움이 성가실 뿐이다. 한 사람의 존재가 소멸한 순간, 찰나의 애도와 함께하는 것은 죽은 자의 부재로부터 나에게 돌아올 혜택이 무엇인지, 조직 내에서의 힘의 균형을 깨고 누가 항소법원 판사 자리를 차지할 수 있을지를 예측하는 것이다. 절친한 동료들조차, 마흔 다섯 이반 일리치의 죽음이 자신에게 가져다 줄 새로운 기회에 흥분한다.



주인공의 죽음을 ‘타인의 퇴직’으로 바꿔 읽어보면 어떤 기분인가? 그렇다. 안타깝긴 해도 내가 이번에 살아 남았다는 것, 그 사실을 무엇보다 다행이라고 여긴다. ‘그 사람이 퇴직하면 누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될까?’라는 이야기를 공공연하게 나누기도 한다. 이반 일리치와 그의 동료들처럼 우리들도 언젠가는 지금의 조직에서 떠날 시간, 즉 퇴직을 맞이하게 된다는 사실을 망각하면서 서로를 경계하고 다툰다. 소설 같은 현실이다.



‘잘린 건 내가 아니라, 바로 그 사람이야.’


의사들조차 병명을 명확하게 알려주지 않는 상황에서 병의 심각성을 자각해가는 이반 일리치는 병에 걸렸다는 사실 자체를 부정하고, 가장 가까운 가족과 지인들에게 서운함과 분노를 느끼며, 가끔은 근거 없는 희망을 갖거나 어린아이 같은 보살핌을 한없이 기대하기도 한다. 그 모든 과정을 반복적으로 겪고 나서야, 자신에게 죽음이 가까워졌다는 사실을 현실로 받아 들인다. 이러한 과정은 오랫동안 죽음을 연구해 온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Elizabeth Kubler Ross)가 제시하는 ‘죽음의 5단계’에서 설명한 그대로를 보여준다. 죽음의 5단계는 한 인간이 자신에게 닥친 갑작스러운 죽음을 현실로 받아들이기까지의 과정을 ‘부정, 분노, 타협, 우울, 수용’의 다섯 단계로 정의한 것이다.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설득력 있게 적용되고 있는 연구이며 갑작스럽게 닥친 비자발적인 퇴직 경험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퇴직의 의미는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상상 속에서 그리듯 ‘더 이상 월요일 출근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해방의 날’이 아니다. 사전적인 뜻인 ‘현직에서 물러나는 것’, 그 이상의 의미이며, ‘일선에서 물러나 더 이상 일을 하지 않는 상태’을 일컫는 은퇴(retirement)와도 다르다. 그 이면에는 자신이 원하지 않은 순간에 갑작스럽게 퇴직을 맞이할 수 밖에 없는 냉혹한 현실이 있기에, 위에서 언급한 ‘죽음의 5단계’와 유사한 충격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복잡한 속내를 가까운 타인에게조차 털어 놓지 못하는 사회 분위기로 인해 퇴직 당사자는 오랫동안 심리적인 고충을 겪기도 한다. 특히, 대기업 중심의 고용 구조와 평생 직장을 당연하게 생각했던 세대들에게 퇴직은 ‘회사로부터의 배신’ 혹은 ‘자신의 능력과 존재 자체에 대한 사회적 부정’으로 인식된다.



많은 사람들의 롤모델이자 직장인으로서의 꿈인 1%의 성공을 달성한 최고경영진들조차, 퇴직 이후를 일상으로 받아들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평균 2~3년에서 길게는 7~8년 이상이 소요되기도 하는데, 과거의 지위에 갇혀 현실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퇴직 후 새로운 목표를 찾은 것처럼 보이는 경우에도 퇴직했던 계절이 돌아오거나 전 직장 동료와의 대화 속에서 퇴직한 순간의 충격이 되살아나 과거의 심리 상태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퇴직은 그 동안 옳다고 믿어왔던 삶의 방향을 크게 흔드는 충격적인 경험이다.



2021년을 시작으로 700만 명 이상의 베이비부머들의 퇴직 러시가 시작되었다. 그 뒤를 이어 586 세대와 X세대들도 이러한 현실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더군다나 지난 2년 간 우리 모두가 겪고 있는 코로나 팬데믹은 고용구조의 불확실성을 가속화시킬 것임에 분명하다. 불확실성만이 확실한 현실을 앞에 두고 우리는 어떤 퇴직을 상상하는가?



이반 일리치가 맞이한 죽음의 현실처럼, 언젠가 한번은 맞이하게 될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우리는 그 이후의 여정을 상상하지 못한다. 상상할 수 없는 일은 미리 계획할 수도 없다. 그런데 퇴직 이후의 삶을 위해 정말 어떤 것도 준비할 수 없는 것일까? 여태 그래왔던 것처럼, 어느 날 갑자기 닥쳐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막다른 골목에서 회사에 대한 짝사랑을 끝내야 하는 것일까? 퇴직을 상상하며 다니는 회사가 즐거울 리 없고 당면한 업무에 집중하느라 퇴직 이후는 생각할 틈조차 없다고들 이야기한다. 그렇다면 매일 마음 속에 사표를 품고 출근길에 오르는 수많은 우리들은 지금 과연 행복한가?



‘네게 필요한 것이 무엇이냐?’


어느 날 침대에 누운 이반 일리치는 영혼의 목소리, 내면에서 일어나는 생각의 흐름에 귀를 기울인다. 그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사는 것, 예전처럼 건강하고 즐겁게 사는 것’을 원한다고 하지만, 이내 산을 오르고 있다고 생각했던 그 동안의 모든 시간들이, 꼭 그만큼 자신의 발 밑에서 삶에서 멀어지고 죽음에 가까이 와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퇴직하고 뭐하세요?’


이 질문은 우리들에게 그 언제가 될 지 모를 퇴직 이후를 상상하고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대답을 찾게 할 것이다. 필자는 우리 모두가 이 한마디를 꺼내는 일에 주저함이 없길 바란다. 더 나아가 서로에게 묻고 답하는 과정에서 즐겁고 의미 있는 솔루션을 함께 찾길 바란다. 그 질문이 사표를 품고 매일을 견디는 고된 출근길에 한 줄기 가녀린 희망이 될 것이란 믿음이 있다. 지금까지 모두가 옳은 길이라고 믿었던 ‘성공하는 삶’에서 진정 나다운 ‘성공적인 삶’을 향한 작은 실천이 이 질문에서 시작되었으면 좋겠다. 다행히도 우리에게는 ‘네게 필요한 것이 무엇이냐?’라는 영혼의 목소리에 대답할 수 있는 기회가 남아있다.



[라이프점프×화담,하다] 성은숙 화담,하다 대표 New-UP(業)의 발견_1편

퇴직, ‘죽음의 5단계’와 유사한 충격을 안겨줘

CEO 은퇴 이후 일상 받아들이는데 평균 2~3년 걸려

퇴직 후 뭐할지에 대해 서로 묻고 답하는 과정 필요


https://lifejump.co.kr/NewsView/22SNE8PKMS/GW05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