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은지 Jul 17. 2017

2-4. 봄과 여름 사이

서핑과 수온


1.

처음 서핑을 접하고

웻수트를 사야 할 때

참 고민이 많았다.

서핑에 필요한 옷을 사는 데에

알아야 할 게 참 많았었기 때문이었다.


수영복

래시가드Rash guard*

풀슈트Fullsuit

스프링 슈트Springsuit

롱제인Long jane**......

심지어 재킷Jacket에 베스트Vest도 있었다.


다양한 형태의 웻수트를 팔고있는 '립컬'의 온라인몰. 캡처/ 2017년 7월/ 출처 하단 참고


단순히 체온만 유지하는 옷이라 생각했었다.

부력이 있는 옷도 아닌데

종류가 상당히 세분화되어있어서

옷 종류를 공부하는 데에도 시간을 꽤 써야 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이미지 사진, 사이즈, 두께 정도의 정보만 올라와있고,

당시 서퍼들의 블로그들 중에서도

슈트에 대한 정보를 기본적인 것들(래시가드, 풀슈트, 스프링슈트 정도)만 정리한 게 대부분이었다.

국내외 서핑 관련 정보를 섭렵해서야 겨우 웻수트에대한 공부를 마칠 수 있었다.

 

수온, 기온, 해변과 바다의 상태에 따라
입어야 하는 옷의 종류 자체가 달라진다.


수온.

그때는 서핑슈트를 사는 걸 방해하는 골치 아픈 존재이기만 했다.

하지만 발끝에 닿는 차가운 바닷물을 느껴보니

그만큼 준비해야 하는 문제라는 걸 느끼게 되었다.


*래시가드Rash guard: 더운 기온과 따뜻한 수온에서 서핑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자외선과 모래, 산호 같은 거친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야 하는 상황에서 입는다. 체온 유지 기능은 없다.

**롱제인Long jane: 스프링슈트의 한 종류. 풀슈트에서 팔부분만 잘린, '슬리브리스슈트Sleeveless suit'라고도 불리는 웻슈트이다. 통상적으로 수온은 차갑거나 시원한 상태이고 기온이나 햇볕이 따뜻하거나 뜨거운 상태에서 입는다. 그래서 1~2mm 두께가 대부분이다. 8월 즈음에 입는 분도 꽤 봤다.



서핑 간 서퍼들이 해변에 짐을 두고 간 모습/ 하조대 서피비치/ 2016년 6월/ 출처: 김은지


2.

그래도 난, 웻수트 있는 여자니까!


차가운 수온은 발끝에서 무시하고

용기 내어 바닷물 속으로 걸어 들어갔다.

그래도 이 정도 파도면 탈만 할 거라 생각했다.

일단 라인업까지 패들 해야 했다.


...

인생에서 처음으로

'갑빠'의 위치를 깨닫는 날이었다.


패들을 해서 라인업까지 나아갔더니

'가슴근육', 일명 갑빠가 아파오기 시작했다.


작년 한 해 별도 운동 없이 서핑을 무사히 마쳤었다.

그러한 경험으로

아~무 생각 없이 온 올해 첫 서핑이었다.

그런데 일평생 존재감 한 번 느껴본 적 없던

가슴근육이 자신의 존재감을 나에게 어필하고 있었다.

그것도 바다 위에서.



3.

얼마 가지 않아

해변에 너부러진 나와 서프보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아침부터 싸워온 안개,

애매하게 차가운 수온과 날씨,

이상하게도 날 밀어대는 것 같은 파도,

바다 위에서 자기주장하는 가슴근육.


시즌 첫 서핑은 날 안갯속으로 인도하는 것 같았다.


흐린 날씨와 쉬고있는 서프보드/ 하조대 서피비치/ 2016년 6월/ 출처: 김은지



1. 다음 글, 2017년 7월 23일(일) 발행 예정.

2. 1번 글의 립컬 사이트 캡처 출처 클릭


매거진의 이전글 2-3. 유행 취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