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학습(시민의 학습환경 및 생애)과 노동시장을 연결하는 일은지속 가능한 평생학습사회를 세우는 기본 전제이다.
헌데, 우리는 말로는 '평생학습', '평생교육'을 말하면서 실지로는 중등교육 이전의 학교급의 정책 변화만을 시도하는 실정이다.
교육 문제를 초중등교육 및 대입시 구조의 정책 변화로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예컨대 김누리 교수의 교육개혁 테제 등)은, 교육 문제를 대하는 우리의 시선이 확장될 기회를 박탈할 뿐 아니라 오히려 '사회개혁을 통한 교육개혁'이라는 (그나마 유력해 보이는) 마스터플랜에 검은 페인트를 마구 뿌려댈 뿐이다.
한국 정부가 평생학습에 대한 공적 투자는 거의 하지 않는 대신 일자리 자체에 직접 투자를 한다고 하지만 그 정책이 결실을 맺기까지는 요원해 보인다. 그러한 해법이 한국사회의 특질에 적실하게 들어맞는지도 불분명하다. 과연 시민들이 생활의 질을 보장하는 좋은 일자리, 그리고 경력개발을 위한 공적 평생학습 지원을 충분히 득할 수 있을까? 기업이 더 이상 아무런 사회적 기여 없이 사원의 경력개발 책임을 대학에 일임하지 않을 수 있을까?
시민들의 평생학습권을 보장할 책무성이 국가에서 노동시장으로, 노동시장에서 대학으로, 대학에서 중등교육기관으로, 중등교육기관에서 교사로 계속 외주화되어가는 이 위태로운 도화선을 누군가는 끊어내야 한다. 우리사회가 그것을 해낼 수 있을까? 확장학습이론은 우리사회에게 그럴 가능성의 포문을 열어주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