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전자인간 Nov 04. 2024

'미학자' 진중권의 리즈시절 책

진중권의 <미학 오디세이>

과거의 글을 재활용하는 치졸한 짓을 해보고자 합니다. 2008년 8월에 작성해서 알라딘 '이주의 마이리뷰'로 선정되었던 진중권의 <미학 오디세이> 리뷰입니다. 약간의 개정작업을 거쳤습니다. 아래 리뷰에서의 '지금'은 2008년임을 기억해 주세요. 사족이긴 한데, 진중권 씨가 지금 책을 냈다면 아마 안 샀을 겁니다. 하지만 은 그럭저럭 읽을 만합니다.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 세트. 나무위키

지금으로부터 10년도 넘은 1996년 말과 1997년 초의 5개월여간, 나의 지하철 퇴근길을 루이스 캐럴 풍의 기묘한 지적 판타지로 가득 채워주었던 <괴델, 에셔, 바흐>.(내가 읽었던 책은 영문판 원서였다.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그 후에 출판된 국문판은 번역에 문제가 많다고 들었다.) 지금, 이 777페이지짜리 대저작의 10년짜리 먼지를 닦아 내서는, 만지작 거리고 여기저기 펴 보기만 했을 뿐인데도, 호프스태터가 친절하고 재치 있는 문체로 세 번쯤 꼬아서 철학과 수학과 컴퓨터 과학과 예술의 핵심을 꼬치처럼 관통시킨 '영원한 황금 실'의 뫼비우스적 트위스트를, 나는 충만한 경외감으로 바라보게 된다. 진중권 씨 스스로도 고백했지만, <미학 오디세이>는 이 위대한 <괴델, 에셔, 바흐>의 대위법적 구성에 영향받은 바 크다. 괴델, 에셔, 바흐가 고스란히 등장하고, <괴델, 에셔, 바흐>에서는 그리 비중 있게 다뤄지지는 않았지만 마그리트가 또 하나의 중요한 중심축인 것도 <괴델, 에셔, 바흐>의 영향으로 보인다. 아킬레스와 거북의 장난스럽지만 심오한 대화가 플라톤과 아리스의 교훈적인 만담으로 변용된 것은 물론이고.

호프스태터의 <괴델, 에셔, 바흐>. 위키피디아

그러니까 <미학 오디세이>는 <괴델, 에셔, 바흐>에 대한 일종의 '창조적 리바이벌'이다. 스탠리 큐브릭 감독이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서 동명의 아서 클라크의 SF 소설을 가지고 그랬던 것처럼, <미학 오디세이>는 더글라스 호프스태터의 <괴델, 에셔, 바흐>를 원료로 했지만 장르와 주제와 느낌이 현저히 색다른 진중권식 <괴델, 에셔, 바흐>이다. 내가 가장 사랑하는 책 중 하나인 <괴델, 에셔, 바흐>의 독창성을 뛰어넘기에는 힘이 부친다고 하더라도, <미학 오디세이>는 나름 장점이 많다. 일단 컬러풀한 그림이 많고 문체도 쉬운 편이어서 빠르게 읽힌다. 미학 전공 유학파의 내공에 진중권 특유의 꽉 찬 논리가 더해져서 미학 역사의 얼개가 탄탄하게 엮여 드러난다. 곳곳에 진중권식 개그가 스케르초 악장처럼 독자의 긴장을 이완시켜서 사변적이고 지루해지기 쉬운 미학 이론들의 뇌피질 안착을 돕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아, 개인적으로 플라톤과 아리스의 만담은 70년대 고춘자-장소팔 필이 물씬 풍기는 것이 적잖이 썰렁하긴 했지만 말이다.

에셔의 <폭포>. ARTCHIVE

<미학 오디세이>가 <괴델, 에셔, 바흐>와 가장 밑바탕에서('후경 분열의 법칙'에 따르자면 '이념의 층위'에서) 공통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것은 '숭고'다. 숭고는, 저자를 인용하면, "인간은 알지 못하게 되어 있는 미"다. 그런데, '미'란 것을 인간이 알고 있기는 한가? 저자의 설명을 따라가다 보면 미 그 자체도 인간이 알지 못하고 있다는 의혹이 강하게 든다. "미란? 미적 지각의 대상. 미적 지각은? 미에 대한 지각! 예술이란? 예술계가 자격을 부여한 대상. 예술계는? 예술에 자격을 부여하는 세계" <괴델, 에셔, 바흐>에서 호프스태터가 강조한 것도 이런 '이상한 고리'다.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에셔의 판화 <폭포>, 바흐의 <무한 상승 카논> 등과 같이, 계단을 오르다 보면 어느새 출발지점으로 돌아오고 마는 기이한 고리. <괴델, 에셔, 바흐>에서는 이런 '이상한 고리'를 통하여 인간의 마음의 불가해성을 은유하고 <미학 오디세이>에서는 미의 불가해성을 은유한다. 둘 모두 뫼비우스적 비틀림을 적용한 피드백이 궁극의 진리라고 소곤댄다. 컴퓨터 과학자 호프스태터는 정중하게, 미학-철학자 진중권은 다소 불온하게. 그런 측면에서 어찌 보면 <미학 오디세이>의 숭고함이 <괴델, 에셔, 바흐>의 그것보다는 훨씬 인간적이고 매력적이다. 어차피 숭고할 바에는 번듯하고 깔끔하게 숭고한 것보다는 삐딱하고 기괴하게 숭고한 쪽이 더 멋지잖은가? 그래서인지 저자는 <미학 오디세이> 3권을, 다소 말쑥한 에셔나 마그리트류의 초현실이 아닌, 피라네시의 깊고 음울한 초현실로 두텁게 회칠한다. 그리고는 숭고하고 영원한 황금실이 무참히 파괴해 버리고 남은 미의 원형의 폐허로 냉소적이며 얄궂은 미소를 머금고 회귀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시온주의라는 거악에 관하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