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엘리스코딩 elice Jul 17. 2018

컴공생의 AI 스쿨 필기 노트 ⑧
의사결정 나무

Decision Tree & Random forests

미국 스탠퍼드대학의 Xuefeng Ling 교수팀이 본태성 고혈압 발병 위험을 예측하는 AI를 개발했다고 해요. 이 연구에서 활용한 AI 모델은 의사결정 트리(decision tree) 기계학습 기법을 적용했는데요. 그 결과 AI를 통하여 10명 중 9명은 1년 내 본태성 고혈압 발병 위험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어요. 국내외 연구자들은 이 의사결정 트리 모델을 적용하여 고령화 시대에 폭발적으로 증가한 고혈압 환자 진료 부담을 덜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사 원문: AI 훈풍 타고 '최적 고혈압 관리'로 향한다)

(Cover image : Photo by Gabe Pangilinan on Unsplash)



8주 차 수업에서는 이렇듯 의학 분야에도 도움을 주고 있는 딥러닝 모델의 하나인 의사결정 트리(Decision Trees)와 의사결정 트리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s)에 대해 배웠습니다. 예시를 통해 알아볼까요?



의사결정 트리(Decision Tree)


의사결정 트리는 다양한 의사결정 경로와 결과를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나타내요. 의사결정 트리는 질문을 던져서 대상을 좁혀나가는 스무고개 놀이와 비슷한 개념이에요.



위의 그림은 야구 선수의 연봉을 예측하는 의사결정 트리 모델이에요. 의사결정 트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질문을 할 것인지 그리고 그 질문들을 어떤 순서로 할 것인지 정해야 해요. 의사결정 트리의 시작을 ‘뿌리 노드’라고 하는데요, 위의 예에서 뿌리 노드인 ‘Years < 4.5’는 야구선수로 생활한 지 4.5년 보다 긴지 짧은지 질문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져요. 


참고로, 의사 결정 트리는 회귀와 분류 모두 가능한데요. 위의 그림과 같이 숫자형 결과를 반환하면 회귀 트리(Regression Tree)라 부르고 범주형 결과(A인지 B인지)를 반환하면 분류 트리(Classification Tree)라 불러요.  


이렇게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 따라 답을 찾아가다 보면 최종적으로 야구 선수의 연봉을 예측할 수 있게 돼요. 최적의 의사결정 트리를 만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예측하려는 대상에 대해 가장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질문을 고르는 것이에요. 이처럼 얼마만큼의 정보를 담고 있는가를 엔트로피(entropy)라고 해요. 엔트로피가 클수록 데이터 정보가 잘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좋은 지표라고 예상할 수 있어요. 


이처럼 의사결정 트리는 이해하고 해석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어요. 또한 예측할 때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명백하며 숫자형/범주형 데이터를 동시에 다룰 수 있어요. 그렇지만 최적의 의사결정 트리를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인데요. 그래서 오버 피팅, 즉 과거의 학습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잘 예측하지만 새로 들어온 데이터에 대해서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되기 쉬워요. 이러한 오버 피팅을 방지하기 위해 앙상블 기법을 적용한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모델을 사용해요.



의사결정 트리 코드


아래는 의사결정 트리를 구성하는 코드예요. 

# classification tree
from sklearn.tree import DecisionTreeClassifier

clf = DecisionTreeClassifier()
clf.fit(xtrain, ytrain)
yhat_train = clf.predict(xtrain)
yhat_train_prob = clf.predict_proba(xtrain)
yhat_test = clf.predict(xtest)
yhat_test_prob = clf.predict_proba(xtest)
clf.score(xtrain, ytrain)
clf.score(xtest, ytest)

sklearn.tree에 있는 DecisionTreeClassifier를 임포트 합니다.

clf : 의사결정 트리를 의미합니다.

clf.fit으로 모델을 학습시킵니다.  

clf.predict : 데이터를 테스트합니다.  

clf.predict_proba : 데이터 각각에 대한 확률이 주어집니다.  

clf.score :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의 정확도를 확인합니다.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랜덤 포레스트는 많은 의사결정 트리로 이루어지는데요. 많은 의사결정 트리로 숲을 만들었을 때 의견 통합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수결의 원칙을 따라요. 이렇게 의견을 통합하거나 여러 가지 결과를 합치는 방식을 앙상블 기법(Ensemble method)이라고 해요.


그럼 랜덤 포레스트의 ‘랜덤’은 어떤 것이 무작위라는 것일까요? 여기에서 ‘랜덤’은 각각의 의사결정 트리를 만드는 데 있어 쓰이는 요소들을 무작위적으로 선정한다는 뜻이에요. 즉 랜덤 포레스트는 같은 데이터에 대해 의사결정 트리를 여러 개를 만들어서 그 결과를 종합하여 예측 성능을 높이는 기법을 말해요. 


많은 의사결정 트리로 구성된 랜덤 포레스트의 학습 과정

(사진 출처 : 위키백과)



랜덤 포레스트 코드


아래는 랜덤 포레스트를 구성하는 코드예요.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Regressor

rf = RandomForestRegressor(n_estimators=100, random_state=0)
rf.fit(xtrain, ytrain)
yhat_test = rf.predict(xtest)
rf.score(xtrain, ytrain)
rf.score(xtest, ytest)

sklearn.ensemble에 있는 RandomForestRegressor를 임포트 합니다.  

rf : 랜덤 포레스트를 의미합니다.   

rf.fit으로 모델을 학습시킵니다.    

rf.predict : 데이터를 테스트합니다.    

rf.score :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의 정확도를 확인합니다.  



이론 수업을 마치며


2018년 5월 22일부터 시작한 8주간의 이론 수업이 이로써 마무리가 되었어요!! 매주 3시간 동안 어려운 내용의 수업을 듣는 게 힘들기도 했지만 그만큼 얻은 게 많아서 뿌듯하기도 합니다. 이론 수업과 AI스쿨 후기는 아쉽게도 이번이 마지막이지만, 앞으로 8주간은 팀 프로젝트 과정과 커리어 코칭 과정이 기다리고 있어요! 지금까지 8주간 이론 공부를 열심히 했기 때문에 굉장히 기대가 되네요. 


살짝 알려드리면 저희 조는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을 위한 상황 해설 솔루션을 주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해요! 아직 추상적인 부분이 많아 조교님으로부터 피드백을 많이 받게 될 것 같지만 그동안 배운 이론을 적용시켜서 높은 퀄리티로 프로젝트를 완성시키고 싶다는 욕심입니다. :) 


이론 수업의 시작과 함께 우연한 기회로  AI스쿨 후기를 쓰게 되었는데요. 수업 내용도 어렵고 글쓰기도 익숙하지 않아 쉽지 않았지만 배운 내용을 최대한 공유하고자 했습니다. 이를 통해서 배운 내용을 복습하고 부족한 부분을 알 수 있어서 무척 뜻깊은 경험이었습니다. 부족하지만 이 글을 읽고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AI 스쿨이 인공지능 엔지니어를 꿈꾸는 제게 큰 발걸음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저는 프로젝트에 전력을 다할 것 같습니다. 8주 동안 열심히 수업 들으신 수강생 여러분 모두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AI스쿨 - 인공지능 R&D 실무자 양성과정 8회차 수업에 대해 수강생 최유진님이 작성하신 수업 후기입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