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코끼리의지혜 Mar 22. 2021

나이 값 근절, WHO의 연령차별 근절 캠페인

2020년 세계보건기구(WHO)는 2021년부터 2030년까지를 건강한 노화를 위한 10년(Decade of Healthy Ageing)을 선포하고 향후 10년간 이에 대한 다양한 액션플랜을 수립하고 이행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일환으로 지난주(2021년 3월 18일) WHO는 전 세계적으로 연령 차별주의 근절 캠페인(Global Campaign to Combat Ageism)인 AWorld4 AllAges를 론칭하였다.

     

연령 차별주의는 연령주의라고도 하는데, WHO는 왜 연령 차별 근절 캠페인을 하는 것일까?


우리는 나이로부터 자유롭게 생각하고, 편견 없이 행동하고 있을까?   

   

연령 차별주의는 1969년 미국의 사회학자 로버트 버틀러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나이(연령)에 기반 한 - 즉, 상대의 나이에 따라, 그리고 나이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관념, 편견 등 - 사회적 차별 전발을 일컫는 말이라고 한다. 연령 차별주의는 성차별주의(sexualism), 인종차별주의(racism)와 함께 대표적인 차별주의(-ism) 중 하나로 성차별주의와 인종차별주의가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반면, 연령 차별주의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그렇다고 연령차별이 괜찮다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UN은 3월 18일 "연령 차별주의 근절을 위한 글로벌 리포트(UN Global Report on Ageism)“를 발간하면서  연령 차별주의는 건강 악화, 사회적 고립, 조기 사망 등을 초래하게 되므로, 효과적인 연령차별 방지 전략이 필요하며, 신속한 조치가 이행되지 않으면 수십억 달러의 경제적 비용을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며, 전 세계적인 문제로 규명하였다.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은 연령 차별주의에 영향을 받고 있다. 어린아이는 4살 정도만 돼도 자기가 속한 문화권이 갖고 있는 나이에 대한 고정관념을 무의식 속에 형성시킨다고 한다. 연령에 대한 인식이 내면화되면, 이를 고정관념화시켜 상대방을 대할 때의 자기의 감정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역으로 이런 고정관념은 자기 스스로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수단으로도 활용하여, 자기 스스로를 연령에 따라 규정짓는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고 한다. 연령 차별주의는 성별, 인종, 장애로 인해 유발되는 사회적인 차별요인들과 교착되면서 더 큰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킨다고 한다.

     

우리는 암암리에 연령이 규정하는 사회에 둘러싸여 살아가고 있다. 학교에 입학하는 나이, 노인 복지 정책, 청년 수당, 연령대 별 건강검진 등 연령에 기반 한 정책과 제도를 누리며 살아가고 있다. 혜택을 누리고 있기도 하지만, 연령이라는 사회적 인식으로 우리는 불이익과 차별도 받고 있다.

      

아직 어려서 그 직책을 수행할 수 없을 거야
능력도 있고 성과도 있지만, 너보다 나이 많은 사람이 먼저 승진해야 해
저분은 분명히 꼰대일 거야
어려서 그런지 역시 싹싹해  

   

전 세계 인구의 절반 - 2명 중 한 명은 노인에 대한 연령 차별주의적 태도를 갖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최근 유럽의 어느 보고서의 통계는 노인층보다 젊은 사람들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 많은 연령차별을 겪었다고 보고한다. 기존의 연령 차별주의는 노인에 대한 차별 의식에 조금 더 초점을 맞추고 있었는데, 이번에 WHO가 주창하는 연령 차별주의 근절은 전 세대를 아우르고 있는 이유이다.    


WHO는 “나이로 당신을 규정하지 마세요(Age doesn’t define you)”라는 메시지의 캠페인 영상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연령차별 근절에 대한 메시지를 확산시켜 나간다.


https://youtu.be/5vIrL7fiNgw

Age doesn't define you - WHO의 연령차별주의 근절 캠페인 AWorld4AllAges 영상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나잇값“에 대한 기대가 있고, 나잇값에 대한 부담을 갖고 사람들은 살아간다.

연령에 따라 형성되는 사회적 태도와 경제적 비용은 얼마나 되는 것일까?

우리는 알게 모르게, 나이 때문에 손해 보며 살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한번쯤 나이가 없는 삶을 살아볼 수는 없을까 라는 상상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 WHO Website 참조

https://www.who.int/news-room/events/detail/2021/03/18/default-calendar/kicking-off-a-global-conversation-about-ageism

작가의 이전글 2021년 아시아 태평양 3대 베이비부머 산업 동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