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 짓는 은용이 Jan 30. 2022

사십 대와 리모컨

2022년 일월 30일 이은용 드림(사진은 2007년께 서른아홉쯤일 때)

 “몇 살이시고 티브이 리모컨 버튼을 몇 개나 쓰시나요?”

 마흔부터 사람 몸 얼개상 어쩔 수 없이 ‘머리를 열어 놓고 티브이를 보며 리모컨 버튼을 다섯 개만 쓴다’는 주장이 있다. 머리를 열어 놓는다는 것은 ‘아무 생각 없다’는 뜻이고 버튼 다섯 개는 전원(1), 채널 올리고 내리기(2), 소리 키우고 줄이기(2)다.

 버튼 다섯 개만으로 티브이를 다루다가 볼 만하다고 생각되는 영화를 관람한 사십 대에게 내용을 물어보면, 조금 충격일 수 있겠지만 대부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고 한다. 머리를 열어 놓고 받아들이기만 하는 ‘수용자’이기 때문. 이런 수용자와 달리 ‘이용자’는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보기 때문에 줄거리는 말할 것 없고 아주 작은 그림까지 줄줄 꿴다는 것. 결국 마흔을 넘어서면 티브이 리모컨의 작은 글씨를 보는 게 귀찮아서라도 적극적인 이용자가 되기 힘들다고 한다. 티브이 리모컨의 작은 글씨가 부담스러운데 하물며 휴대폰·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은 말할 나위가 없겠다. 그래서 개인형 미디어(퍼스널 미디어)는 마흔 이전 물건이란다.

 너무 풀죽지는 말자. ‘사십 대와 버튼 다섯 개’ 주장이 과학적으로 증명됐다거나 아주 유명한 학자가 내놓은 것도 아니니까. 게 이 주장을 설명한 최성진 서울산업대 교수(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 전문위원)도 그 학자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했다. ‘휴먼 티브이 인터페이스’를 연구하는 그 학자는 “리모컨이 곧 사람과 티브이 간 교류 자체이며 과거나 지금 모두 버튼 다섯 개만 쓴다”고 주장했단다. 그저 ‘그럴 수도 있겠거니’ 하면 되지 않을까.

 측은한 사십 대의 기를 조금 더 북돋우자면, 리모컨 다루기가 귀찮다고 사십 대가 월드컵 결승에서 맞붙는 한국과 일본 간 축구 경기를 보지 않을까? 언제 어디서 어떤 상황에 놓였더라도 티브이 앞으로 달려가거나 휴대형 동영상 단말기를 찾을 것이다.

 최성진 교수는 “콘텐츠가 관건”이라고 잘라 말했다. 볼 만한 것을 얼마나 많이 갖추느냐에 위성·지상파DMB, IPTV, 휴대인터넷(와이브로) 성패가 달렸다.

By Eun-yong Lee

매거진의 이전글 박격포와 전자계산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