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 짓는 은용이 Jan 31. 2022

2022년 일월 31일 이은용 드림(사진은 2005년 구월께)

 (2006년) 독일 월드컵 시작하면, 특히 오는 (유월) 13일 한국과 토고 예선 경기부터 '수탉 홰치는 모습' 볼 일이 많겠다. 서울에서 수탉 홰치는 걸 보는 게 어디 그리 쉬울까마는 새벽 거리 곳곳에서 승리나 패배의 느낌을 곱씹는 '붉은 악마'를 만날 수 있으리라.

 예부터 '초저녁에 닭이 울면 재수가 없다'거나 '수탉이 울어 날 안 새는 일 없다'고 했다. 어떤 이는 '닭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고 했던가.

 우리는 이처럼 수탉 홰치는 것과 새벽을 자연스레 서로 묶어 왔다. 한데 닭은 왜 새벽에 홰를 칠까. 정말 새벽에만 홰를 치는 걸까.

 아니, 사실과 어긋났다. 홰치는 것과 '꼬끼오'라는 수탉 울음소리부터 명확히 서로 나누어야겠다. 홰를 치는 건 우는 게 아니다. 홰는 닭이 앉을 수 있도록 닭장 안에 가로질러 놓은 나무 막대. 따라서 '수탉이 홰를 치며 울었다'고 해야 맞는 얘기다. 그렇다 해서 수탉이 홰를 그야말로 두드리는 것도 아니다. 날개를 푸드덕거리며 자기 몸통을 치는 것을 두고 '홰친다'고 한다. 다분히 인간 편의에 따른 발상이다.

 몇 가지 주장과 분석이 엇갈리지만 수탉이 홰를 치는 좀 더 뚜렷한 까닭은 이렇다. 새벽녘이면 빛·온도 들이 빠르게 바뀐다. 그 변화에 닭 호르몬이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아침 기지개를 켜듯 홰를 친다. 닭 성(性) 주기가 하루여서 새벽빛이 수탉 시신경을 자극하면 성욕을 주체하지 못해 홰를 친다는 주장도 있는데, 역시 호르몬 변화 때문일 것이다.

 수탉은 그렇게 더도 덜도 없는 느낌으로 수천 년 동안 홰를 쳤다. 주변 환경 변화가 심한 새벽녘에 더 많이 홰를 쳤을 뿐. 때론 초저녁 온도 변화가 심해 홰치고 목청껏 울었는데 '재수없다'는 인간의 오해를 사곤 했다.

 황우석은 서울대 학생들에게 “닭이 홰치는 것을 아느냐?”고 묻고는 '과학도로서 자연을 이해하고 경외하는 자세'를 주문하곤 했다. 그 어느 때보다 '거짓 홰를 치는 과학자'를 가려낼 장치가 절실한 시절. (2006년 6월) 7일 서울 논현동 과학기술회관 공청회에서 나올 '연구윤리·진실성 확보를 위한 가이드라인'에 눈길이 모인다.

By Eun-yong Lee

매거진의 이전글 사십 대와 리모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