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윤 Jul 26. 2023

교육은 내가 할게 치료는 누가 할래?

저는 치료사 자격증도 면허도 없습니다만




나는 교사인가 치료사인가


 

특수'교사'인 나에게 학교나 학부모가 바라는 것은 '치료사' 역할이라 느낄 때가 많다. 아이에게 '문제'가 생기면 특수교사는 '해결'해야 한다. 빨리 '고치지' 못하면 '무능'한 특수교사가 된다. 치료사라고 전지전능한 것도, 금세 아이를 뚝딱 고칠 수 있는 것도 아니지만 교육 '치료'의 영역을 바라분명하다. 나조차도 헷갈린다. 내가 교육을 하는 사람인지, 치료를 하는 사람인지(물론 치료사 역할을 하지도 못 한다). 그리고 학생의 행동을 금세 변화시키지 못 하면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내가 공부가 부족한가?


하지만 다행히도(?) 나는 자책을 많이 하지 않는 편이다.

내가 할 수 있는 노력을 했다면 그걸로 됐다. 이제는 더 이상 나를 괴롭히지 않는다.

내가 나를 괴롭히지 않는다 했지 남도 나를 괴롭히지 않는다고는 안 했다.



   선생님이 전문가잖아요(전문성 존중이 아닌 책임 떠넘기기성 발언)

   특수교사가 그것도 못 해?(특수교사는 마법사가 아니다)

      

이는 특수학생이 학교에서 수업방해나 폭력행동을 크게 일으켰을 때 특수교사가 흔히 듣는 말 TOP 3 에 들어가는데 전국의 유초중고 특수교사는 단 한 명도 빠짐 없이 100% 들었을거라 확신한다. 그만큼 '어쩌다 한 번' '일부'에게 듣는 말이 아니라는 거다.




특수학생이 학교에서 보이는 폭력은 만연하다. 애초에 특수교사가 되기 전, 대학생 시절부터 우리는 아이들에게 맞아왔다. 학과에서 다 같이 봉사나 실습을 다녀오면 '애한테 어떻게 맞았다'라는 에피소드가 줄줄이 이어질만큼 특수교육과 학생에게는 자연스러운 대화다.


발로 배를 차서 순간 숨이 안 쉬어지거나 정강이를 차서 멍이 새파랗게 든 경우

주먹으로 얼굴을 가격해 안경이 날아가거나 코피가 나는 경우

얼굴을 마주한 채 뺨을 때려 아이 앞에서 눈물을 흘린 경우

손톱으로 긁어 피부 여기저기가 패이고 피가 심하게 나는 경우


위의 내용은 '일부'의 특수교육과 학생들만 겪는 일이 아니다. 그나마 운이 좋으면 맞아도 울지 않거나 큰 상처가 남지 않고 대학교 4년을 보낼 수 있다(내가 운이 좋은 케이스다). 하지만 대학교의 경험은 새발의 피라고나 할까. 봉사자나 실습생으로 장애학생들을 만나면 책임자인 교사나 보호자가 있으므로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어디까지나 '지원'을 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위험 상황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나는 실습을 나간 학교에서 1대1로 급식지도를 하다 초등 4학년 남학생에게 주먹으로 눈 언저리를 맞았는데 담임선생님께서 바로 그 학생의 급식지도를 맡지 않도록 분리 조치해주셨다.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313499&code=11131300&cp=nv



특수교사가 되면 책임자가 된다. 아이가 교사나 다른 친구들을 때려도 그 즉시 가정에 전화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하교 후에 이런 상황이 있었다고 전달하는 편이다. 통합학급에서 특수학생이 다른 아이들을 때린다? 대부분 특수학급으로 보내진다. 학교도, 학부모도 그게 맞다 생각한다. 그래, 특수학급에 다른 학생들이 없으면 와서 진정할 수도 있지. 하지만 대부분의 특수학급은 과밀인 상태라 교실이 비는 시간이 많지 않다. 통합반에서 실컷 화를 내고 누군가를 때리는 아이가 특수반에 온다고 크게 달라질까. 때리는 대상이 특수반에 있는 다른 특수학생으로 바뀐 것 뿐이다. 즉각적인 대처도, 자기 보호도 어려운 장애학생에게로. 


팔다리를 꽉 잡지 않는 이상 폭력행동을 제지하기는 어려운데 몸을 제대로 휘두르지 못할 만큼 세게 잡는 건 안 된다. '신체적 학대'이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하겠는가. 맞는 수밖에 없다. 교사도 맞고 학생도 맞는다. 맞은 학생 부모는 특수교사가 교육을 잘 못해서 애 하나 제지 못 한다고 열을 낸다. 때린 학생 부모는 죄송하다는 사과 하나 없이 매일매일 학교에 보낸다. 특수학급이나 특수학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루다. 나와 전혀 관련 없는 누군가의 이야기가 아니다. 당신의 가족, 친구, 동료가 가해자고 피해자가 되는 곳이 오늘날의 학교다.        


학교는 교과지식만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인성과 사회성도 기르는 곳이기에 교사는 학생의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도록 교육한다. 하지만 구분해야 한다. 학생에게 '교육'이 우선인지, '치료'가 우선인지. 어디에서 '교육'을 받고 어디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누가 '교육'을 제공하고 누가 '치료'를 제공해야 하는지. '학교'의 책임은 무엇이고 '가정'의 책임은 무엇인지. '교사'의 역할은 무엇이고 '학부모'의 역할은 무엇인지.


지금처럼 학교와 교사에게 모든 것을 떠맡기기만 한다면 우리나라 교육은 오래 지나지 않아 무너질 것이다. 옳고 그름을 제대로 배우지 못한 학생들은 학교를 벗어나 사회로 나가 각계각층에 위치할 것이며 교육을 정상화하지 못한 대가는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마주하게 될 것이다. 이미 마주하는 중이지만. 만약 지금 사태가 교사만의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축하한다. 당신은 당신의 미래를 보았다.




http://www.edpl.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58





작가의 이전글 퇴사 일보 직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