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냇물 May 11. 2024

왜놈

'왜놈'은 한국인들이 일본사람 특히 일본 남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일본사람들이 한국인을 조센징이라 부르는 것도 비슷한 맥락일 것이다.


임진왜란이나 36년간 식민통치 등 우리 민족들에게 감래하기 힘든 고통을 준 그들이기에 반일감정이 실린 의미로 '왜놈'이란 말을 거의 모든 국민들이 공감하며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왜()는 고대일본이 일본이란 국호를 쓰기 이전(7세기) 명칭이자 일본으로 개칭한 이후 동아시아 주변국에서 일본을 부르던 별칭이다.


그런데 그 왜()는 '왜소하다'와 같이 작다는 의미가 있는 말로도 우리에게 알려져 있다. 그래서 왜놈 같다고 하면 '야비하거나 체격이 작은 일본사람'이란 의미를 갖는 말로 사용된다.


왜놈! 작은놈! 그건 일본사람들의 체격이 한국인에 비해 왜소한 탓도 있다.


   *** 최근 조사에 의하면 한국인 성인의 평균키는 남자 174, 여자 162cm로 아시아에서 제일 크고, 세계평균의 1/3권 수준이나, 일본은 남 171, 여 158cm로 세계평균의 2/3권 수준으로 차이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왜의 정확한 의미는 아니다. 왜()는 '왜나라 왜'라는 한자어로'유순하다' 즉 순종적 의미가 있으나 '작다'는 의미는 없다.


한자를 착각한 것이다. '왜소하다'처럼 작다는 의미의 왜는 '왜나라 왜()'가 아니라 '키작을 왜(矮)'를 써야 한다. 일본사람의 작은 체격과 한자의 오역이 함께 빚어낸 해프닝이라 할 수 있다.


왜()라는 말의 의미를 생각하니 또렷한 기억 하나가 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진도 9.1)이 발생했을 때 일본국민들의 행태였다.


그것은 초대형 쓰나미가 발생해 2만여 명이 사망하고 5십여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참혹한 사건이었다.


근데 이재민 수용소에서 양 떼처럼 온순하게 질서 정연한 행동을 하는 일본인들을 모습을 TV를 통해 보고 선진국시민들이라 칭찬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나는 좀 이해하기 힘들었다.


졸지에 부모형제들을 모두 잃은 사람들의 모습이라고 하기엔 공감되지 않는 측면이 있었다. 혹시 공포에 감정을 잃었나?


되생각해보니 지진이나 태풍 등 초자연의 힘 앞에 무력하게 순종하는 인간들의 모습이라 할까.... 왜()가 순응한다는 의미를 가졌다니 저런 뜻 아닐까... 


태평양 전쟁시 천황에게 충성하며, 대일본 제국을 위해 자살공격을 한 가미가제 특공대의 진실을 봐도 그들은 충성심에서라기보다 자신에게 닥쳐온 운명적 환경에 순응한 것으로...


항복 후 적국 사령관인 맥아더원수를 존경했다는 일본인들도...   


1985년 플라자 합의라는 미국의 경제 공세 후 잃어버린 30년 경제에도 묵묵히 친미국가로 행동하는 그들을 봐도 그런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에 비해 한국인들은 훨씬 더 저항적이며 도전적인 측면이 있다. 그러기에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최빈국에서 민주주의와 산업화를 동시에 이뤘으며, 문화강국의 신화를 만든 것 아닐까?  


차제에 일본사람들이 한국사람들보다 키가 작은 이유를 살펴보면 인종적 요인과 식습관이 주요 요인이다.


먼저 인종적 측면에서 한국은 덩치가 큰 북방계 인종이며, 해양국인 일본은 키가 작은 남방계 인종 비율이 더 높은 것이 선천적 주요 원인이며


두 번째는 식습관으로 1200여 년 동안(7C부터 메이지 유신으로 육류를 장려하기 시작한 19C까지) 육류를 멀리한 일본인들의 식습관이 후천적 주요 원인이다.  


육류대신 생선을 즐겼는데 그 영향으로 턱관절이 퇴화해 덧니를 가진 사람들이 많다고 하며, 여성의 덧니를 매력으로 치부하는 조금 우스운 풍조도 있다고 한다.   


자기 땅에서 산출한 농산물이 체질에 맞는다는 신토불이(身土不二)가 왠지 불현득 떠오른다! 또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는 말도 떠오른다!  


#반일정서 #라인 # 반일감정


작가의 이전글 물소리 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