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unny Nov 11. 2024

우리 사상 참전계경(參佺戒經) 성(誠)-불식(不息) 二

오늘 내용 : 실시(失始), 진산(塵山), 방운(放運), 만타(慢他)

단기 4357년 12월 18일/서기 2024년 11월 11일 //D-29 "탄핵 & 임기단축개헌(연성[軟性]탄핵)"의 날! 


단군마고력은 우리고유력(曆)이며, 우리력(曆)을 찾는 것은 우리 역사와 시간과 정신을 찾는 것입니다.

친일매국노! 정치검찰독재! 범죄자! 윤석열정권이 끝나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척결해야 할 대상은 윤석열 김건희뿐만 아닙니다. 윤석열을 돕고, 그들에 기생하며 이득을 취하는 국힘당과 그 동조 친일 세력과 이득을 취하는 세력들 모두가 심판을 받아야 할 대상들이며, 그들이 친일매국노와 사대주의 세력이며, 그들을 이 땅에서 없어지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없어지는 데에는 여러 방법이 있으나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그들이 그동안의 과오를 인정하고 참회하여 본래 모습을 찾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려면 기회주의, 개인 이기주의를 버리고 다 함께 잘 살아가는 사회를 만드는 노력을 국민들이 함께 해나가야 합니다. 우리 국민들께서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고, 세상을 똑바로 보는 눈을 가져야 합니다.


다수의 많은 국민이 주권을 행사하고, 소수의 부패자들이 국민을 두려워하도록 해야 합니다. 매국노가 서민을 돌보지 않을 때 각자도생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습니다. 개개인은 힘이 약하며, 할 수 있는 것이 적지만, 함께 뭉치면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큰 일들을 해낼 수 있습니다. 그러니 국민이 촛불에 모여 국민주권을 실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 촛불에 모여 민주주의를 이룩하고 나라를 회복합시다!


참전계경은 어떤 특정 종교에 속한 글이 아니라 상고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고유 사상(思想)입니다.
원래 우리 조상들께서 추구하고 원하던 평등한 민주주의(홍익인간)를 세상을 이룩해야 합니다. 그것을 온 국민이 자각으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참전계경은 국민들께서 자각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경쟁으로 싸워 이기는 것으로 모두가 패배자가 되는 현재의 자본주의 사회는 잘못된 것입니다. 함께 공존하고 상생하는 모두가 승자인 사회를 함께 이룩하여야 합니다. 우리의 사상(홍익인간(弘益人間), 홍익인세(弘益人世))속에 그 길이 있습니다.
그동안 반복된 악행의 역사를 버리고, 바른 지도자가 나라와 사회를 이끌어, 더욱 훌륭한 지도자를 만들어지는 순환구조로 모두가 함께 공감하는 사회를 이루는 것이 인류 공동체의 발전이라 할 것입니다. 지도자는 지배자가 아닙니다. 지도자(Leader)는 이끌어주는 사람이지 사람 위에 군림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니 사람 위에 군림하는 사람은 경계해야 하며, 지도자로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참전계경(參佺戒經) 이란? 유가사상(유교)은?
참전계경은 배달(환국) 시대부터 내려온 경전으로 (단군) 조선시대, (북) 부여시대를 지나 고구려 때 을파소(乙巴素) 선생님께서 정리하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니 우리의 사상은 지나(중국)의 유가사상보다 더 오래전에 정립된 사상이며, 유가사상은 우리 사상이 전래되어 내용이 변형되어 전달된 것입니다. 즉 유가사상의 뿌리는 본래 우리의 사상에서 비롯된 아류일 뿐 우리 고유의 사상이 아닙니다.

참전계경(參佺戒經)은 예전부터 우리 민족에 계승되어 오던 삶에 본보기가 될 만한 귀중한 내용을 담고 있는 금언(金言)입니다. 시대가 바뀌고, 여러 가지 엉클어진 가치관으로 참 뜻을 곡해할 수 있으나 근본 취지와 깊은 뜻을 헤아리면 참으로 귀한 경전이라 할 것입니다.


참전계경(參佺戒經) 8 강령(綱領) : 성(誠), 신(信), 애(愛), 제(濟), 화(禍), 복(福), 보(報), 응(應)


우리의 사상 참전계경(參佺戒經)의 366사(事)를 매일 순서에 따라 새로운 사(事)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경(上經). 하경(下經)은 원래 구분이 없는 것이나 편의상 나눈 것입니다. 상경(上經) : 성(誠), 신(信), 애(愛), 제(濟)를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성(誠)

第1事 第1綱領 성(誠)

성(誠)은 정성(精誠)이며 속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며, 본연의 성품을 지키는 것으로 육체(六體) 사십칠용(四十七用)이 있다.

誠者 衷心之所發 血性之所守 有六體四十七用

성자 충심지소발 혈성지소수 유육체사십칠용


육체(六體) : 一體 경신(敬神), 二體 정심(正心), 三體 불망(不忘), 四體 불식(不息), 五體 지감(至感), 六體 대효(大孝)



第29事 誠4體 불식(不息)

불식(不息, 쉬지 않음)이란 지극한 정성으로 쉬지 않고 계속하는 것으로 쉼 없이 계속하는 무식(無息)과는 다르다. 그것은 도력(道力)이 한껏 힘써 모아지는 것과 사람의 욕심이 일어났다 사라졌다 하는 것의 차이이니, 비록 처음에는 티끌만 하나 나중에는 하늘과 땅의 차이(天壤之差)로 벌어진다. 즉 지극 정성으로 계속하는 것과 어쩔 수 없이 계속하는 것은 하늘기운에 동조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차이이다.

不息者 至誠不息也 不息及無息 各自有異 其在道力之奮蹲 人慾之消長 纖毫之隔 相去天壞也 

불식자 지성불식야 불식급무식 각자유이 기재도력지분준 인욕지소장 섬호지격 상거천괴야


사체(四體) 불식(不息) : 25用 면강(勉强), 26用 원전(圓轉), 27用 휴산(休算), 28用 실시(失始), 29用 진산(塵山), 30用 방운(放運), 31用 만타(慢他)

第33事 誠4體28 실시(失始)

실시(失始)란 처음 하고자 바를 잊는 것을 말한다. 처음에 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 정성을 들이기 시작하여 차츰 깊은 경지로 들어가면 하고자 하는 바는 점점 적어지고 정성을 다하고자 하는 마음은 점점 커지며, 그리고 차츰 참 경지로 들어가면 하고자 하는 바는 없어지고 오직 정성을 다하고자 하는 마음만 있게 된다.

失 忘也 始 初也 初有所欲爲而始誠 漸入深境則所欲爲漸微 所欲誠 漸大 又漸入眞境則無所欲爲而只有所欲誠而已

실 망야 시 초야 초유소욕위이시성 점입심경칙소욕위점미 소욕성 점대 우점입진경칙무소욕위이지유소욕성이이


第34事 誠4體29 진산(塵山)

진(塵)은 티끌이라는 뜻으로, 진산(塵山)이란 티끌이 모여 산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티끌이 바람에 날려 산기슭에 쌓이기를 오랜 세월 거듭하면 산 하나를 이루게 된다. 지극히 작은 먼지 알맹이가  그토록 큰 산을 이루는 것은 바람이 쉬지 않고 먼지를 몰고 오기 때문이다. 정성도 이와 같아서 쉬지 않고 정성을 다하면 정성의 산을 능히 이룰 수 있다.

塵 塵埃也 塵埃隨風 積于山陽 年久 乃成一山 以至微之土 成至大之丘者 是風之驅埃不息也 誠亦如是 至不息則誠山 可成乎

진 진애야 진애수풍 적우산양 연구 내성일산 이지미지토 성지대지구자 시풍지구애불식야 성역여시 지불식칙성산 가성호


第35事 誠4體30 방운(放運)

방운(放運)이란 정성의 뜻을 본받고, 정성의 힘을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정성된 뜻을 본받아 쉬지 않으면, 캄캄한 밤에 밝은 달이 드러나는 것과 같고, 정성된 힘을 쉼 없이 밀고 나가면 한 손으로 삼십만 근을 들어 올릴 수 있는 것과 같다. 비록 정성이 그와 같은지라도 혹 정성된 뜻이 일어났다 스러졌다 하거나 정성된 힘이 약해졌다 세어졌다 하면 그 결과를 알 수 없게 된다.

放 放誠意也 運 運誠力也 放誠意而不息則黑夜生明月 運誠力而不息則隻手擧萬鈞 雖誠有然 其或誠意 浮沈 誠力 柔强 不能識其果

방 방성의야 운 운성력야 방성의이불식칙흑야생명월 운성력이불식칙척수거만균 수성유연 기혹성의 부침 성력 유강 불능식기과


第36事 誠4體31 만타(慢他)

만타(慢他)란 마음에 두지 않은 생각밖의 일을 말한다. 마음의 일념이 오로지 정성에 있고, 정성의 일념이 오직 쉬지 않음에 있으면 생각 밖의 다른 일이 어찌 끼어들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가난하고 천함이 그 정성을 게으르게 할 수 없으며 부유하고 귀함이 그 정성을 어지럽히지 못하느니라.

慢 不存乎心也 他 念外事也 心一念在乎誠 誠一念在乎不息則念外事 安能萌動乎 是以 貧賤 不能倦其誠 富貴 不能亂其誠

만 부존호심야 타 염외사야 심일념재호성 성일념재호불식칙념외사 안능맹동호 시이 빈천 불능권기성 부귀 불능란기성



성(誠)은 정성(精誠)을 말하는 것으로 속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본연의 성품을 지키는 것입니다.


불식(不息, 쉬지 않음)이란 지극한 정성으로 쉬지 않고 계속하는 것으로 쉼 없이 계속하는 무식(無息)과는 다릅니다. 즉 지극 정성으로 계속하는 것과 어쩔 수 없이 계속하는 것은 하늘기운에 동조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차이입니다.

오늘 내용 : 33사(事)~36사(事)

실시(失始)란 처음 하고자 바를 잊는 것을 말하며, 정성을 들이다 보면 처음 하고자 하는 바는 없어지고 정성을 다하고자 하는 마음만 있게 됩니다. 진산(塵山)이란 티끌이 모여 산을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한결같은 정성을 쉼 없이 들이면, 티끌로 산을 만드는 것과 같이 진산(塵山)을 이룰 수 있습니다. 방운(放運)이란 정성의 뜻을 본받고, 정성의 힘을 움직이는 것을 말하며, 방운(放運)은 쉼 없이 이루어져야 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만타(慢他)란 마음에 두지 않은 생각밖의 일을 말하는데, 마음과 정성을 다하면 만타(慢他)가 끼어들 수 없다는 것입니다.


참전계경(參佺戒經)은 예전부터 우리 민족에 계승되어 오던 삶에 본보기가 될 만한 귀중한 내용을 담고 있는 금언(金言)입니다. 시대가 바뀌고, 여러 가지 엉클어진 가치관으로 참뜻을 곡해할 수 있으나 근본 취지와 깊은 뜻을 헤아리면 참으로 귀한 경전이라 할 것입니다.


천부경(天符經), 삼일신고(三一神誥), 참전계경(參佺戒經)

우리 민족의 3대 경전

https://brunch.co.kr/@f1b68c46d962477/207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우리 사상 참전계경(參佺戒經) 성(誠)-불식(不息) 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