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영혜 Dec 17. 2022

아빠, 젝스 만나러 가자

 미락동의 봄과  여름과  가을


 아이들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면 몸도 마음도 보다 더 건강하게 자라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렴풋이 해본 적 있다.


한편 , 응열은(아버지) 그의 인생 3분의 1 정도를 속해 던 중앙 고속버스 회사. 그곳에서 정년퇴직하게 되었.

동이 미쳐 트기도 전부터  깜깜 밤중까지

  고속도로.  길고 끝없는 길을 홀로 외롭지만 묵묵하게 어떠한 사명감으로 을 그는 한동안 채워지지 않는 헛헛함에 힘들어하다.



그러던 중 돌연 응열(나의 아버지), 미화(나의 엄마)는 결정을 내다.

"두 딸들 공부 바라지도 다 했고,

 이만하면 제법 훌륭하게 시집까지 보냈으니,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어엿하게 끝낸 거 아니겠느냐,

그러니 이제 우리의  인생을 뜻대로 살아보자."


그렇게 둘은 그들에게 나름 복잡했던 ,

강릉시내 교동택지 아파트를  홀연히 떠나 귀촌을 게 되었.






강원도 정선의 미락 동이라는 마을이었다.

응열과 미화는 그야말로 맨손으로 땅을 일구고 , 집을 지을 때 들어가는 자재 하나하나 좋은 값에 들이기 위해  전국을 또다시 내달리며 구해왔다.


이런 그들을 보고 있노라면

마치 흙바닥에 깨알같이 줄을 지으며  

얼핏 봐도 제 몸보다 몇십 배는 커 보이는 짐을 이고 지고 함께 가는 개미가 생각나곤 한다.


내가 지켜본 그들의 인생은 그래 보였다.

 황토벽돌 한 장 한 장. 마당에 자갈 한 알 한 알. 모래알 한 톨 까지 둘의 손끝이 닿지 않은 곳은 없었다.


 미화와 응열은 고작 일꾼 몇 명들과 함께

 개구리가 긴 잠을 깨고 눈을 떴던 그즈음부터  ,

코끝을 기분 좋 달큼하게 간지럽히는 아카시아 군락들이 만개했을 때에도 , 그러다가 끝내 동네 어귀에서부터  봉숭아 무리들이 소담스러움을 너도나도 뽐낼 때쯤 돼서야

황토벽돌을 쌓아 올리는 것을 그만둘 수 있게 되었다.


 반년이 넘게 걸린 두 사람의 개미 같은 투혼이었다.

당시 둘째가 뱃속에서 있을 때였는데 입덧이 너무 심해서 미화의 음식밖에 먹질 못하여  몇 달 정도는 미화와 응열 옆에 딱 붙어 있었기 때문에 이 모습을 지켜볼 수가 있었다.


미화와 응열이 한땀한땀 올려낸 집

완공된 집을 보고 있자니 눈이 왜 그렇게 뜨거워졌는지

 이내 그렁그렁 해지고 끝내는 꺼이꺼이 소리 내어 눈물을 줄 쏟아냈다.


내 부모가 그토록 피땀 흘려  일군 그들의 전부가 담긴 살아온 인생의 완결판 이자, 우리에게 남겨질 선물이기도 했으니까,


처음에는 이렇게 아이들보다 내가 더 좋아했다.

어떤 날에는 비 개인 하늘 위로 미처 거치지 못했을 구름과 병풍처럼 펼쳐진

 강원도의 산을 벗 삼아 일곱 빛깔 무지개가   걸리기도 고,

보기 좋은 풍경들에 눈이 호강을 했다.


 산 허리 위로 일곱빛깔 무지개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내내 같은 공간이지만 

위대한 자연이 보여주는 모습은 생생하게도 너무 달랐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놀라웠다.

해   미락동찾아갔다가  

계절이 바뀌고 여름 방문했을 때 는 일정해야 하는  길의 모습이 너무 나도 바뀌어서

 우리 부부는 서로 마주 보고 뭔가 멍청한 얼굴을 하며

 "길을 헤매고 있는 것인가 , 여기는 어딘가. 우린 지금 어디에 있는 것인가 " 황하며 한동안 착각을  할 정도였으니까.


아이들과 함께 여름의 농작물을 수확하는 것이 너무 즐거웠다.

가족들이 함께 모여  야무지게 땅을 파고

 한 줄기에 매달려  같은 일을 하고 있다는 단란하고 익숙한 성취감, 행복감을 맛보았. 

화기애애 맞다. 그 자체였다.

지붕 위로 날아가는 잠자리도 이토록  예뻐 보일 수가,


또한, 아이들은 미화와 응열이 마당에 걸어둔

담한 가마솥밭에서 막 캐어낸

옹골진 감자를 넣고 김이 모락모락

밥을 해주 것을 좋아다.

(미락동 집의 모든 것은 미화와 응

 두 사람의 작품며 소중한 결과물이다) 


집접 키운 유명한 강원도 감자 로 가마솥에 지은 밥

올망졸망한 자갈이 가득한 마당에 자그마한 텐트를 치고 아지트처럼 들어가서 노는 것도 다.

맹렬했던 한낮의 무더위가 꺾여가는 초저녁 즈음엔  행복이와 동네 산책을 하기도 했,

그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무엇보다 크게 아이들의 기억 속에서  자리 잡고 있는 즐거운 추억은

낮 동안 후끈대던 열기가 언제 그랬냐는 듯 맥없이 물러가고 살갗에 치는 바람이 제법 차갑다고 느껴던 밤.

 시원한 공기와 깨끗한 밤하늘의 냄새를 맡 때에.

 미화가마솥에 뜨끈하게  옥수수(밭에서 바로 딴 달큼하고 옹골게 여문) 먹으면서 핑크퐁 빔 프로젝트를 틀어놓고 전래동화를 보던 때였다고 이야기하고는 한다.



여름방학이면  이토록 즐거운 추억을 쌓았던

미락동을 아이들이 오래도록 간직하고 자라는 내내 무언가 채워지지 않아 허전할 때 이따금씩 꺼내어 보았으면 하는 이다.

빛줄기 하나 없는 새까만 밤하늘에서 난생처음 북두칠성을 맨눈으로 보는 경험을 해보았다.

 너무나도 감격스러웠는지 뭔지, 순간 오소소 소름이  돋았다.

 아이들도 나처럼 느꼈을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

우리가  여름  하늘에서 보았던 밝은 북두칠성처럼  누군가 길을 잃었을 때 나침반이 되어 줄 수 있는

밝게 빛나는 사람으로  자라기를 날에도 글을 써 내려가는 지금에도 진심  바란다.


나침반이 되어줄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




덧붙이는 사사로운 이야기

 젝스  외갓집에서 키우는 강아지입니다.

우리 집 아이들은 미락동 가고 싶을 때마다

젝스 만나러 가자라고 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아빠, 젝스 또 만나러 가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