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NFT 탐색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라텔 Nov 26. 2022

BAYC는 어떻게 1억짜리 NFT가 되었을까?

Case Study - BAYC

BAYC는 무엇인가?


BAYC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1만개의 유니크한 NFT 컬렉션이다. 현재 BAYC는 전세계를 통틀어서 가장 성공적인 NFT로 평가받고 있으며, 여기서 수 많은 원숭이(Ape)계열 NFT가 파생되었다.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NFT인 ‘메타콩즈’의 조상 격으로 볼 수 있다.

BAYC는 미국의 블록체인 스타트업 ‘유가랩스’에 의해 만들어졌다. 2021년 4월 출시가 0.08이더리움으로 처음 발행되었다. 현재 2022년 11월 26일 기준 최저가는 65 이더리움으로, 일명 '크립토윈터'에도 불구하고 1억원의 가치를 방어하고 있는 모습이다. 출시 대비 최소 81200%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BAYC가 도대체 뭔데?


BAYC는 Bored Ape Yacht Club 의 약자로 이름 그대로 ‘지루한 표정을 한 원숭이’ 캐릭터 NFT이다. 먼 미래 가상자산의 급등으로 엄청난 부자가 되어 세상의 모든 것이 지루해져 버린 원숭이들이 늪지에 자신들만의 비밀 사교 클럽을 만들었다는 컨셉이다. 이를 기반으로 각종 상품과 게임, 코인이 하나의 문화 컨텐츠로 전 세계에서 소비되고 있다.

BAYC는 PFP NFT로 시작되었다. 이는 소셜미디어나 커뮤니티에서 프로필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필 사진 형태의 디지털 아트를 말한다. 따라서 이에 맞게 얼굴이 중앙을 크게 차지하고, 몸통이 가슴 위로 드러나있는 형태를 띤다.

BAYC #8392 (출처: Opensea, BAYC)

PFP NFT 답게 BAYC는 다양한 헤어스타일과 의상, 악세서리를 자랑한다.

BAYC의 캐릭터 속성은 총 7가지로, 배경색, 의류, 귀걸이, 눈,털, 모자, 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1만개의 NFT는 7가지 속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만든 것으로, 중복되는 값 없이 각 NFT가 고유하며 모두 다른 모습을 하고 있으며 개성을 지니고 있다. 그렇다면 BAYC의 성공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BAYC의 성공 요인


1️⃣ 강력한 커뮤니티 유대감

BAYC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제작사가 추구하는 가치를 수호할 뿐 아니라 어떤 잠재적 위험이 있어도 NFT를 보유할 사람들이다. - 코인텔레그래프


✅유니크하고 흥미진진한 스토리텔링

BAYC의 세계관은 '가상자산의 급상승으로 부자가 되어버린, 그래서 세상의 모든 것에 지루해져버린 원숭이들이 깊은 숲 속 늪에 자신들만의 공간을 만들어 숨어버린 비밀 사교클럽' 이다.

원숭이(유인원, Ape)는 실제로 미국에서 가상화폐 투자자들이 자신들을 지칭하는 은어로, 서로 동질감을 형성하고 집단적 결속을 강화한다. 이러한 상황적/시대적 맥락과 Ape에 대한 친숙함은 NFT 투자자들이BAYC의 스토리텔링에 더 크게 공감하고 자신과 BAYC 캐릭터를 동일시하는 이유가 되었다. BAYC 캐릭터에 자신을 대입하여 ‘WEB 3.0 속 나’로서 BAYC의 세계관 속 역할극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이다.


✅ 파생 NFT 무료 지급

BAYC는 단순 스토리텔링의 제공에서 나아가 스토리를 통해서 NFT 보유자에게 혜택(Perks)을 제공한다. BAYC 보유자에게 파생 NFT들을 무료로 지급한 것이다. “늪의 비밀클럽에서 종종 외로움을 느낄 원숭이들에게는 네 발 달린 친구가 필요하다.” 라는 스토리와 함께 Bored Ape Kennel Club NFT를 발행하여 BAYC 보유자에게 무료로 제공을 했고, “원숭이들의 사교클럽 지하 하수도에 살고 있는 하층계급’이라는 설정과 함께 Mutant Ape Yacht Club NFT를 발행하고 그 중 1만개를 기존 보유자에게 무료로 제공했다. MAYC의 경우 비싸게는 한화 70억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이처럼 NFT를 보유하는 것만으로 높은 가치의 새로운 NFT를 발행받을 수 있는 것은 홀더에게 큰 이점으로 작용한다.


✅ 추가 커뮤니티 혜택

BAYC는 클럽 멤버들에게 다음과 같은 다양한 베네핏을 제공한다.   

     ‘더 배쓰룸’     : 소유자들만 접속해 낙서를 할 수 있는 게시판이다.


     오프라인 행사     : BAYC는 APED NYC, YACHT PARTY 등의 다양한 오프라인 행사를 주최하여 BAYC 소유자들이 사교하며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러번 행사를 주최하여 결속된 커뮤니티를 통해 BAYC 측에서 주최하지 않아도 세계 각지의 BAYC 보유자들이 자체적으로 오프라인 파티를 열거나 NFT 전시회를 열며 서로의 소속감을 강화시켰다.


     프라이빗 디스코드 채널     :소유자들만이 접속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구축하여 친목을 도모한다.


✅ 후광 효과

스테판 커리, 에미넴, 저스틴 비버 등 수많은 셀럽들이 BAYC NFT를 구매하고 이를 SNS 프로필로 설정하면서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 BAYC의 인지도가 크게 올랐다. 또한 BAYC를 구매함으로써 셀럽들과 같은 그룹에 소속된다는 느낌을 주어 커뮤니티에 대한 대중들의 충성도를 높힐 수 있었다.

이처럼 BAYC는 확고한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BAYC 홀더들을 성공적으로 락인하였고 이들을 브랜드의 열렬한 지지자로 만들었다. 다양한 커뮤니티 컨텐츠를 통해 홀더 간의 상호 유대감을 강화하였고 소속감을 갖게 하였으며, 자신이 속한 클럽이 ‘알파 그룹’이라는 자부심을 느끼게 하였다.


2️⃣ IP 분권화를 통한 세계관 확장


BAYC는 NFT 소유자에게 지적재산권(IP)의 이용권리를 최초로 제공한 NFT이다. 즉 NFT 홀더는 자신이 소유한 NFT 캐릭터의 IP에 대한 모든 상업적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캐릭터를 활용하여 2차 창작물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고, 이를 활용하여 타사와 계약을 맺을 수도 있다. NFT가 온전히 내 것이 되기 때문에 캐릭터를 자신의 마음대로 재해석하고 또 다른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 Metasaurs by Dr.DMT

Metasaurs by Dr. DMT 프로젝트 (출처: Metasaurs.com)

대표적인 예시로는 Metasaurs by Dr.DMT가 있다. BAYC #4588 보유자가 자신의 원숭이를 Dr.DMT라고 이름 붙이고 시작한 캐릭터다. 공룡을 보관하고 싶었던 DMT 박사가 티라노사우루스의 DNA와 자신의 DNA를 배합하여 9,999개의 메타사우루스가 탄생했다는 설정이다. 이는 출시 후 완판되었으며 BAYC IP를 통한 2차 창작물의 가능성을 증명했다. 모든 상업적 권리는 물론 BAYC #4588 보유자에게 귀속된다.


✅ Jenkins the Valet

Jenkins the Valet NFT (출처: jenkinsthevalet.com)

또 다른 대표적인 예시로는 관리인 젠킨스(Jenkins the Valet)를 들 수 있다. BAYC #1798 보유자가 자신의 원숭이가 관리인 같이 생겼다는 것에서 착안하여 젠킨스라는 이름과 함께 요트 클럽의 관리인이라는 컨셉을 부여하고 요트 클럽의 다른 원숭이들의 비밀 얘기들을 트위터에 연재했다. 트위터가 흥행하자 “Jenkins the Valet: The writer’s room” 이라는 NFT를 런칭하였다. 내부의 거버넌스(투표)를 통해 Writer’s Room 멤버들이 젠킨스의 이야기 내용을 직접 만들어나가는 구조이다. 이렇게 최초의 WEB 3.0 소설 ‘Bored & Dangerous’가 또 다시 NFT로 출시되었다. Writer’s Room NFT 기보유자는 무료로 Bored & Dangerous NFT를 제공받을 수 있다. 승승장구하던 젠킨스는 작년 9월 할리우드의 유명 에이전시 CAA와 계약을 체결하기에 이르렀다.



✅ 아디다스 X BAYC

아디다스 x BAYC의 Indigo Herz

아디다스는 #8774번 작품을 구매해 형광색의 아디다스 저지를 입혀서 캐릭터 인디고 허츠를 만들었다. Into the metaverse라는 이름으로 총 3만 개가 발행되었다. NFT를 구매하면 실물 상품도 함께 증정되는데, 아디다스 오리지널, 콜라보 굿즈, 메타버스 속 가상 토지, 메타버스 속 커뮤니티 참여 권한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다양한 2차 창작물들이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더 레드 에이프 패밀리’는 BAYC 캐릭터가 등장하는 애니메이션이고, ‘KINGSHIP’은 BAYC 원숭이들로 구성된 밴드이다.


이처럼 캐릭터의 IP 활용을 통해 수많은 스핀오프, 파생 프로젝트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로 BAYC 세계관이 확장되고 있다. BAYC는 개발 비용을 아웃소싱하면서 마스터 브랜드(BAYC,MAYC 등)에 대한 막대한 홍보 효과와 가치 상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개개인이 진행하는 수천가지 다양한 미니 프로젝트(Mini-experiment)를 통해 BAYC는 탈중앙화된 디즈니로 거듭날 수도 있다. 보유자는 자신의 2차 창작물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셀프 브랜딩을 할 수 있고, BAYC는 성공적인 미니 프로젝트들을 통해 개발 비용이 아예 없이 홍보 효과, 브랜드 가치 상승 등 다양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윈-윈할 수 있다. (물론 퀄리티가 낮거나 보는 이로 하여금 불쾌감을 일으킬 경우, BAYC의 이미지가 실추될 위험이 존재한다. 너무 많은 파생 프로젝트는 BAYC의 정체성과 본질을 흐릴 수도 있다.)


BAYC의 메타버스 프로젝트 - OTHERSIDE

BAYC의 메타버스 프로젝트 ‘OTHERSIDE’

아더사이드 개요

아더사이드는 BAYC의 제작사 유가랩스에서 진행중인 웹 3.0 메타버스 게임 프로젝트이다.

플레이어는 메타버스 내에서 실제 소유권을 행사할 수 있고, 자신이 보유한 NFT를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경제활동을 할 수 있다. 웹 2.0 게임과의 큰 차이점은 플레이어 자신들이 플랫폼과 함께 게임을 만들어나간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더디드를 통해 플레이어는 프로토타입과 데모 버전을 만드는데 동참할 수 있고, 게임의 최종 디자인과 경험을 구축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커뮤니티와 플랫폼이 함께 아더사이드 메타버스를 구축해나가는 것이다. 아더사이드에서는 또한 웹 2.0과 달리 플레이어가 직접 아이템을 제작하고 이를 아더사이드의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캐릭터, 의상, 툴, 건물, 게임 등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 아더디드

아더디드는 아더사이드의 가상 토지 NFT로, 아더디드를 통해 플레이어는 아더사이드 메타버스 내에서 토지를 소유하고, 토지 내 자원을 수집하고, 원하는 것을 만들고 이를 판매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등 여러가지 활동을 할 수 있다. 아더디드는 다이나믹(Dynamic) NFT로, 유저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진화하도록 설계되었다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 아더디드의 개수는 총 20만개로 한정되어 있다. 기존의 BAYC, MAYC 홀더들은 무료로 아더디드를 지급받는다.


코다 NFT

코다 NFT (출처: Otherside)

코다는 1만개의 희귀 NFT 컬렉션으로, 아더사이드의 스토리 상 아더디드에 살고 있는 외계 생명체들이다. 

코다는 ‘플레이어를 아더사이드로 이끈 존재’ 정도로만 밝혀져있다. 존재 자체가 베일에 쌓여있고 아더디드 내에서도 매우 드물게 발견되는 희귀한 존재들이다. 아더사이드 게임 플레이에서 핵심 역할을 할 것은 분명하며, 이들의 스토리는 차후 게임을 통해 차차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상호운용성

BAYC, MAYC, BAKC, 크립토펑크 등 유가랩스에서 운용중인 NFT 홀더들은 자신의 NFT를 아더사이드 게임 내 캐릭터로 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메타버스 밖의 NFT를 아더사이드 게임에 최적화된 3D모델로 구현하는 기술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유저들은 ODK를 통해 캐릭터를 불러오거나 제작할 수 있다.


에이프코인

아더사이드 내의 모든 경제활동은 에이프코인으로만 가능하다. 즉 아더사이드에서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에이프코인(APE)을 보유해야 한다. 에이프코인은 거버넌스 및 유틸리티 토큰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거버넌스: APE홀더는 ApeCoin DAO에 참여하며 일련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


엑세스:  APE 홀더들만을 위한 아이템, 게임, 서비스, 이벤트 등에 접근이 가능하다.


인센티브: 서비스, 게임 및 기타 프로젝트에 APE를 통합하여 써드파티 개발자가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다.


소비: APE는 유틸리티 토큰으로서 탈중앙화 암호화폐로 사용된다.


✅파트너십

트레일러에 의하면, 아더사이드 내에는 Cool Cats NFT, World of Women NFT, CrypToadz 등 유가랩스가 보유하지 않은 유명 NFT 캐릭터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다양한 NFT 프로젝트와의 파트너십을 맺어 아더사이드 세계관에 다양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끝맺으며

BAYC는 현재까지도 NFT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프로젝트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를 레퍼런스한 수많은 파생 NFT가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생겨나고 있다. 또한 전세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케이스 스터디에 활용되는 NFT일 것이다. 


종합해보자면 BAYC는 '커뮤니티'를 성장 동력으로 삼아 사업을 확장해나갔고, IP를 제공하여 수 많은 파생 NFT를 탄생시키며 마스터 브랜드로서의 인지도를 키웠다. NFT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굳힌 이후에는 인수와 콜라보를 통해 NFT의 최종목적지인 '메타버스'를 구축하였다. 현재 이들의 메타버스인 아더사이드는 현재 Phase 1에 막 진입한 상태로 아직 시작 단계에 있다. BAYC의 아더사이드의 성패에 따라 NFT에 대한 시장의 인식이 변화할 것이다. 그만큼 임팩트가 큰 사업이자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과연 BAYC가 NFT와 메타버스의 교과서로 역사에 남을 수 있을지,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