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프 말고 연필만 챙겨와!'
초등학교를 다닐 적 항상 선생님께 들었던 말이다. 학교에서는 항상 연필만을 사용해야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합리적인 부분이 있다.
초등학생들은 소근육 조절이 힘들어 글씨를 쓸 때 힘을 과도하게 줄 수 있는데, 샤프의 경우 샤프심이 뚝뚝 부러지기 일쑤다. 그리고 샤프는 대부분 끝이 뾰족한 금속 재질로 된 경우가 많아 안전사고의 위험도 크다. 마지막으로 같은 학우들 간에 샤프의 가격 차이로 위화감이 조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세세한 배려를 어찌 그 어린 아이들이 알겠는가. 당시 초등 고학년쯤 되면 사용을 허가해주었던 샤프는 나에겐 선망의 상징이었다.
물론 연필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었다. 연필은 견고했고, 심을 따로 사고 다닐 필요도 없었으며, 연필깎이에 연필을 꽂아 이리저리 연필을 넣었다 빼며 나만의 아름다운 각도로 깎아내는 과정은 사뭇 엄숙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점차 연필만의 그 감성이 촌스럽게 느껴졌다. 깎고 나서 쓸수록 뭉툭해지는 글씨, 연필깎이의 잔해물을 치울 때의 퀘퀘한 냄새, 뚝뚝 부러질 때마다 악보의 겹세로줄마냥 갈라지는 흔적까지.
세월이 갈수록 화려해지는 샤프의 디자인, 그 아름다움과 맞물려 연필에 대한 정은 급속도로 떨어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초등학교 졸업 직후부터, 중학교, 고등학교의 나는 줄곧 샤프만을 썼다. 물론 샤프의 단점도 분명했으나, 연필 강제 사용에 대한 반발심리인지 연필은 거들떠도 보지 않았다.
시간이 흘러 필기구보다 키보드, 화면을 누르는 일이 잦아진 지금, 굳이 종이를 준비해 글을 쓰는 것은 나에겐 일종의 일탈이 되었다. 그래도 연필에 대한 미묘한 거리낌은 남아, 쓰더라도 샤프로, 아니면 볼펜을 찾기만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몽당하다 못해 짜리몽땅해지게 칼로 깎아낸 연필 한 자루를 보았다. 깎은 각도로 보아하니 그리 잘 깎는 실력은 아니었다. 하지만 피아노를 모르는 사람이 우연히 누른 건반에서 화음이 들리듯이, 딱 한 군데 아름답게 깎인 부분이 있었다. 그 각도에서 보자면 마치 깎아지른 산맥이 우뚝 솟은 것 같았다.
그 순간 느껴지는 것은 애정이었다. 서툴러도, 귀찮아도, 주변이 더러워져도 이렇게나 짜리몽땅해질 때까지 연필을 깎아왔겠지, 그리고 쥐기 불편할 정도로 짧아졌어도 계속 이녀석과 시간을 보내왔겠지. 마지막으로는 못내 아쉬운 마음으로 이 연필을 보내주겠지.
연필은 유한하다. 샤프에 비해서는 훨씬 유한하다. 연필과 만나는 날이 있다면 헤어져야 할 날이 있다. 그 유한한 시간을 어떻게 쓰느냐는 사람들마다 다르다. 너무 다르다.
어떤 연필은 그 길이를 반도 쓰지 못하고 잊히고 버려지기도 할 것이며, 어떤 연필은 그 마지막까지 자신의 소임을 다하기도 할 것이다. 분명 이 짜리몽땅 연필의 주인은 연필 한 자루의 가치가 누구보다 크도록 애정을 쏟았을 것이다.
어쩌면 어릴 적 연필을 사용하게 한 것에는 단지 현실적인 문제만 있던 것이 아닐 지도 모른다. 우리와 마찬가지로 유한한 연필의 모습에서, 그 유한함을 어떻게 채워나갈 것인가를 알게 하기 위함이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