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enna Mar 12. 2023

SVB 파산과 채권금리

SVB 파산과 채권금리


인플레이션의 초입에 은행 자금부에서 운용을 하면서,은행의 레버리지 포지션(자본은 작고 수신으로 조달하여 여신으로 운용하는 구조)이 헤지펀드에서 쓰는 레버리지보다 훨씬 더 큰 리스크가 될 수 있고, 따라서 은행의 리스크 관리가 왜 그렇게 촘촘하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이해하게 되었다.


은행은 기본적으로 수신으로 조달하여 여신으로 운용을 하는데, 여신은 비유동성 자산이다. (따라서 수신이일시적으로 빠져나가더라도 여신은 유동화하기가 쉽지 않다.) 채권은 팔 수 있는 자산인데, 인플레이션의 시대에 채권 자산을 보유하는 것과 파는 것 자체가 MTM으로 자산가치 하락을 실현시키는 행위이다. 따라서작년 및 올해와 같은 금리 급등기에는, 수신의 인출에 대응하여 어떤 자산을 얼만큼 보유해야 하는지가 매우챌린징하다.


금리가 올라와 있기 때문에 수신에 일정 수준의 이상의 금리를 책정해야 자금 조달을 할 수 있는데, 여신으로 모두 운용한다면 수신이 빠져나갈 때의 유동성에 대응이 안된다. 따라서 채권으로 유동성 관리를 해 주어야 하는데 문제는 채권을 매도가능증권으로 보유하면 평가손실로 자본비율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만기보유증권으로 보유하면 원할 때 파는 것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것.


Silicon Valley Bank의 취지가 스타트업들을 돕는 진취적인 비즈니스 모델이었다 하더라도 수신은 훨씬 다변화해야 했을 것 같다. 즉 여신은 스타트업에 집중하더라도 수신은 전 국민(혹은 훨씬 다양한 인더스트리)으로부터 자금조달을 했다면, 지금처럼 industry risk에 여수신 모두가 취약해져 버리는 구조는 막을 수 있지 않았을지.


또한 바젤 기준의 금리리스크를 계산하는 산식의 핵심예금 비율 등은 단지 가정이기 때문에, 실질 자산-부채만기 미스매칭을 파악하고 그 은행에 맞는 자산 매칭을 하는 것은 굉장히 고도화되어야 하는 은행의 핵심 역량이다. 금융위기 이후 도입된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각 은행이 어느 수준인지는 외부에 잘 드러나지 않고, 이러한 위기가 알려질수록 다시 위기를 부르는 자기실현적인 구조가 뱅크런의 본질이기 때문에, 사실 은행 자체적으로 이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이 유일한 답인 것 같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