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를 반려동물로 들이는 가구가 늘고 있는 추세지만, 동시에 야생고양이와 길고양이의 수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극단적인 조치를 모색하는 등 개체 수 관리에 사활을 걸고 있다.
벨기에는 이런 고양이 개체 수 관리에 제일 먼저 나섰다. 특히 이 나라는 길거리의 고양이뿐 아니라 국내에 있는 모든 고양이에게 개체 수를 통제하는 조치를 적용하고 있다. 바로 고양이 중성화(거세나 불임수술) 조치로, 모든 성묘를 포함해 갓 태어난 새끼들의 경우 6개월이 되기 전까지 이런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타지에서 온 고양이들도 30일 이상 머문다면 당연히 조치 대상에 해당된다.
이런 조치를 취한 국가는 벨기에가 처음이다. 이 법안이 승인되기 전부터 일부 지방 정부들은 국내의 모든 고양이에게 이런 조치를 취할것을 요구해왔다. 이미 수도인 브뤼셀과 프랑스어권인 왈로니아는 새 법안이 시행되고 있다. 2020년까지 전국적으로 실시될 계획이다.
벨기에가 이런 극단적인 방법을 택하게 된 배경에는 매년 버려지는 3만 마리의 고양이에게 있다. 이에 고양이 보호소가 과잉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새 법안의 목적은 길거리의 고양이들의 넘치는 수를 줄이는데 있다. 그러나 법안은 길고양이뿐 아니라 집고양이에게도 적용된다.
벨기에 중부의 안데를레흐트(Anderlecht)에 위치한 동물보호소의 한 관리자에 따르면 더운 여름날이 되면 하루에도 십여 마리의 고양이가 들어온다. 이에 고양이가 넘치면서 보호소의 시설은 이를 감당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전문가들은 모든 고양이가 거세되거나 피임수술을 받게 된다면 벨기에는 고양이를 볼 수 없는 나라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런 극단적인 조치에도 구멍은 있다. 바로 정부가 중성화 수술 여부를 감시할 계획은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고양이에 마이크로칩을 이식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벨기에의 인접국인 네덜란드는 지방 의회를 통해 반려동물의 마이크로칩 이식을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는 로테르담과 암스테르담, 위트레흐트를 비롯한 33곳의 지방 의회에서 요구한 법안이다. 고양이 마이크로칩 이식 비용은 약 30유로(약 4만 원) 정도다.
네덜란드 역시 벨기에와 마찬가지로 늘어나는 고양이 개체 수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당연히 보호소도 과잉 상태다. 전국에 있는 약 260만 마리의 고양이들 가운데 3만 5,000마리가 해마다 동물보호소로 넘어온다. 게다가 야생동물에 피해를 주고 질병을 옮기는 100만 마리의 야생 고양이들로 길거리 고양이들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는 중이다.
강제 중성화 수술과 마이크로칩보다 더 극단적인 조치도 있다. 미국의 한 지방 도시는 고양이 개체 수 통제에 안락사 여부를 논의하면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국의 리치랜드 카운티는 지난해 5월 고양이 개체 수 관리 조치의 일환으로 중성화 수술을 실시하거나 혹은 지역단체가 발견한 고양이들을 원래 발견된 곳으로 데려다 놓는 조례를 통과시킨 바 있다. 이후엔 길거리에서 발견된 고양이라도 재배치 할 수 있도록 조례를 추가했다.
그러나 추가된 조례에 대한 반박으로 더 많은 고양이가 안락사를 당하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동물보호단체인 포멧토의 데니스 윌킨슨은 고양이에게게 '재배치'될 곳은 없을 것이라며, 결국 이들에게 남겨진 현실은 안락사뿐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