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셈 Mar 08. 2024

상호 책임주의

떠넘기기가 아닌 공동의 책임으로...

최근 교권을 강화해야 한다는 프레임에 맞춰 나온 정부의 시책을 비판하면서 나온 이야기 중 다른 이야기들은 공감이 안 되었지만, '상호 책임'져야 한다는 문구는 가슴에 콱 박혔다. 우리 사회에서 공동의 책임을 자꾸만 '누군가'의 책임으로 몰아가고 있어서 많은 문제가 생기고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회사에서 업무를 하고 있다 보면, 어떻게 조직이 운영되는지를 보게 된다. 실무자가 실제로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고, 이 업무를 지시한 팀장급 관리자가 관리를 하고, 그리고 그 부서를 운영하는 임원급 관리자가 전문적인 책임을 지고, 그리고 최종적으로 회사의 대표가 이 모든 일들에 책임을 진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구성원들은 서로에게 기대어 자신있게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 중 누구 하나라도 어떠한 책임을 지지 않게 된다면 무임승차가 이루어져서 업무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학교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사건들은 학생과 평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들이 마냥 두 주체가 전부인 것이 아니라 그 학생을 양육하는 부모와 평교사를 관리하는 교감/교장, 더 나아가서는 교육청까지 이 모두 이 관계 속에 연관을 띄게 된다. 그런데 모두 학생의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평교사'에게 짐을 지우다 보니, 교권의 추락이 된 것일 것이다. 사실 '교권'이라는 단어보다는 선생님에 대한 존중이라는 편이 더 맞을 것이다. '스승의 은혜'는 아니라 하더라도 교사의 인권이 무시되는 환경은 무엇인가 잘못된 상황이다. 실제 하루 중 일정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아동학대가 일어난다면 진짜 큰 일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아동학대'가 맞는지 여부부터 시작해서, 그 행동이 '범죄'이기 보다는 '실수'일 경우가 훨씬 많다. 누구에게도 어떠한 '실수'도 용납하지 않는 환경은 올바르지 않다. 부모로서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수많은 실수를 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교사는 전혀 실수할 수 없다는 너무나 잘못된 생각일 것이다.


학교를 떠나서 사회 구성원으로 상호의 책임을 느껴야 한다. '전관'이라서 봐주는 것이 아니라 서로 책임을 느껴서 이 사회가 잘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역할은 다를 수 있지만, 누군가에게 떠맡기는 일들은 옳지 않다. 오롯히 혼자서 책임을 져야 한다면 그것만큼 어려운 상황은 없을 것이다. (자영업을 시작하게 되면 이 부분이 가장 어려운 일이 된다.) 공무원이든 회사든 가족이든 그 어느 곳에서도 서로가 서로에게 책임감을 가지고 살아갈 때 이 사회가 올바른 방향을 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생각은 다를 수 있지만, 서로에 대한 마음까지 달라서는 안 된다. 나만 괜찮다는 생각을 한다면 결국 우리에게 남는 것은 더 풍요롭게 살면서 더 외롭고 즐거운 일을 하면서도 기분이 좋지 않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서로가 기대어 살 수 있는 '人'의 정신이 필요한 시대가 아닌가 한다.

작가의 이전글 무관용의 시대를 살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