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우희 Mar 30. 2022

프리랜서 vs 계약직 vs 1인 지식 기업

경계선 사이에서..


즈니스를 하고 싶은 분들은

프리랜서 vs 계약직 vs 1인 지식 기업

사이에 있다.


이 3가지를 정확하게 짚고 넘어가 보자.


네이버 지식백과에서는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1. 프리랜서


일정한 조직에 소속되어 있지 않고  자신이 자유롭게 계약하고 일하는 사람을 말한다.


2. 계약직


일정기간 동안 임금을 받고 계약하는 고용 형태이다. 비정규직으로도 말한다.

그래서 일정기간, 근로기간이 끝나면 계약이 만료되는 형태이다.


3. 1인 지식 기업


지식서비스 분야의 중심으로 경제활동을 한다.

대표자 '나'라는 사람으로 사업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IMF 이후 계약직 형태로

일 자리를 창출하고 계약직으로 고용했다.

그리고 경기가 침체되고 회사가 어려울수록

프리랜서, 파트타임으로 고용형태를 옮겼다.

더 나아가 대기업은 외주로 아웃소싱이라는 경영으로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일자리를 축소시켰다.


회사는 매출과 순이익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이윤 창출면에서 정직원보다 프리랜서, 계약직으로 고용형태를 해야 한다.


그런데 이제는 사회가 많이 바뀌었다.

코로나19라는 팬데믹으로 개인의 시대 역량이

강화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이다. 그들은 개인의 역량으로

영상과 또 다른 비즈니스로 사업을 확장해나간다.

1인 지식기업이다. 다만 유튜브가 답은 아니다.


이제 개인의 시대에 움직여야 한다.

결국

'나'라는 사람으로 비즈니스를 구축해야 한다.


내가 생각하는 1인 지식기업은  

자신의 전문성 지식, 기술,  경험만 있으면

재가공해서 지식창업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이제 고용형태뿐만 아니라

삶의 방향, 형태 모든 것이 변화했다.


기업 vs 개인이 아니라 이제는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 


아웃소싱, 파트타임, 프리랜서, 계약직 등 에서

이제는 1인 지식기업이 살아남고 이러한 형태로 구조가 바뀔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나'라는 사람을 위해서라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