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뭉클 Sep 07. 2024

에세이즘


_


시 에세이를 쓰기 시작하면서 나는 글을 쓰고 싶었다기보다는 나 자신이 되고 싶었다는 걸 깨달았다. 그러니까 작가나 책을 낸 사람이 되려는 게 아니라 내가 어떤 인간인지 알고 싶었던 것이다. (전자가 훨씬 실용적이고 현실적으로 들린다.) 유명하고 바쁜 프리랜서가 아니라 내가 나로도 괜찮은지 실험하고 싶었던 것이다. (역시나 전자가 훨씬 더 의미 있겠다.)


하지만 어떤 도시에 대해 속속들이 잘 아는 사람은 정작 그 도시 밖에 살면서 관심을 갖는 사람들인 경우가 많은 것처럼, 몇 만 권의 책을 읽는다고 해도 결국 나의 진정한 일부는 통찰만으로는 결코 얻을 수 없고 타인의 빛이 반사하며 어른거리는 그림자의 모양으로 어림짐작할 수 있다는 낌이 에세이를 쓰는 일 뿌리로 작용한다.


나를 둘러싼 세상 이야기가 나의 피부라는 걸 감지한다. 애써 가벼워질 필요도 없고 둔탁하고 메마른 감정은 그대로 묘사하는 게 세상을 사는 내 피부에 대한 감각일 것이다. 어떤 글은 일기장처럼 술술 읽히고 어떤 글은 마지막까지 수수께끼처럼 해독되지 않는 이유도 쓰는 이가 애초에 누구에게나 가닿을 멋진 문장을 쓰려고 결심했다기보다 그저 자신이 유독 견딜 수 없는, 자신을 간지럽히는 감정적 실체에 대해 탐구했을 뿐이기 때문이다. 모두가 같은 어린 시절을 보내지 않았듯, 쓰는 사람과 읽는 사람 모두 각자의 운명 속에서 하나의 점으로 만나는 것이다.  


참여자의 정체성. 이 낯선 세계에 초대된, 아니 던져진 사람들에게 주어진 공통 미션. 우린 누구고, 여긴 어디인지. 이 불확실성 속에서 끊임없이 답을 강요받는다. 그 강요자는 놀랍게도 자기 자신이고. 차라리 모르는 편이, 의미 없는 싸움에 몰두하는 편이 좀 더 제정신으로 살아가게 돕는다고 믿는지도 모르겠다.


삶이 골고루 주거나 모조리 뺏어가는 것처럼 보여도 종잡을 수 없다. 재능 있는 작가에게 생활고, 화재로 인한 화상, 난소암을 주었다면 그것은 재앙의 수확인지, 재능의 씨앗인지 잘 알지 못하겠다. 허무란 땅에 끝도 없이 무언가 움트고 있다니. 닭이 먼저인지, 달걀이 먼저인지 알 수 없듯이 허무가 먼저인지 싹이 먼저인지 알 길이 없다. 분투한 기록들은 감각적 긴장감을 주고 그것에서 삶의 이유를 찾는다. 이유는 애초에 없고 만들어진다고는 하지만.


글을 쓰면서 나 자신이 바닥난 창고처럼 느껴질 때가 있었다. 알 수 없는 권태로 위태로울 지경이었으나 그즈음 내게 필요한 건 빈 창고를 채우는 일이 아니라, 다른 곳간으로 시선을 돌리는 일이었다. 일종의 모드 전환. 남의 소유물이라고 생각했던 풍요가 내게도 전이되었다. 지식과 지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동전의 양면이었다. 그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분투만이 가치 있는 행위이다. 세상은 사물의 수만큼 시끄럽고 유동적이며 사람의 수만큼 다양한 색으로 칠해졌다.


이제야 에세이가 시작되는 느낌.   











매거진의 이전글 살아있는 사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