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파인앳플 Jun 29. 2021

버즈 마케팅 - 입소문이 매출을 좌우한다!

입소문의 중심에 있는 인플루언서

우리는 상품을 구매하거나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할 때, 먼저 이용했던 사람들의 '후기'를 참고합니다.


특히 온라인 커머스 시장이 확대되면서 '후기'는 매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가 되었는데요. 때문에 기업들은 입소문 마케팅을 필수적으로 진행해야만 했습니다. 제품이 아무리 좋다 한들 인지도가 없으면 제작에 투자한 비용만 날리는 셈이니까요.


그래서 오늘은 소비자들이 직접 입에서 입으로,

제품에 대한 소문을 내어 홍보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버즈마케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버즈마케팅 이란?

인적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상품 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 기법 



버즈(Buzz)는 꿀벌이 윙윙대는 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소비자들이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에 열광하는 반응을 보이는 것에도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버즈마케팅은 매스미디어를 통한 마케팅 기법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의 채널로는 도달하기 어려운 소비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해당 상품을 이용해 본 소비자가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좋은 평판이 확산되기 때문에 '입소문 마케팅', '구전 마케팅'이라고도 불립니다. 기업의 마케터가 이 가운데 속해 있긴 하지만 소비자들 사이에서 소문이 나도록 하는 것이 버즈마케팅의 목적입니다.




또한 바이럴 마케팅과는 비슷하면서도 차이점이 있는데요.


바이럴 마케팅은 마케팅하고자 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장점을 위주로 마케팅 전략이 이루어지는 반면, 버즈마케팅은 소비자들의 솔직한 후기로 자연스럽게 주위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미치며 마케팅을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버즈마케팅 성공 전략


① 좋은 상품은 기본

대다수를 설득시키기에 무리 없는 상품을 제공해야 마케팅 성공 확률이 높아집니다.

아무리 입소문을 타고 홍보가 된다고 해도 상품 품질이 좋지 않다면 꾸준한 구매, 지속성을 기대하기는 어렵겠죠.


② 희소가치 이용하기

사람들은 흔한 것보다는 귀하고 가치있는 것에 관심을 갖게 되는 심리가 있습니다. 희소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자극하여 소비를 유도해 보세요. 버즈마케팅은 제품을 홍보하고 희소성을 높여 구매를 부추기는 마케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③ 여론 선도자를 잡아라!

마케팅 채널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그리고 우리 브랜드 제품에 관심이 있을만한 팬층을 보유한 유명인, 인플루언서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세요. 유명인이 사용했다는 이유만으로 소비자들의 소비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습니다. 드라마나 영화에서 상품 협찬 등을 통해 PPL을 내보내는 이유도 이와 같으며, 실제로 영향력이 있는 연예인이 착용하고 나온 것들은 품절 현상도 일어나게 되죠.









버즈마케팅 사례


① 허니버터칩

이미지 출처 : 해태제과


허니버터칩은 SNS에서 일반인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나기 시작하면서 장기간 품절 사태와 대량 구매 현상이 일어난 대표적인 제품입니다.


감자칩은 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버즈 마케팅을 통해 출시 이후 3개월 만에 5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달콤한 맛의 갑자칩이라는 차별성 또한 입소문을 내는데 중요한 포인트로 작용할 수 있었던 사례입니다.






② 왕좌의 게임

이미지 출처 : HBO


미국 TV드라마 왕좌의 게임 마케팅팀은 시즌8을 위해 2년 동안 엄청난 양의 이슈를 만들어냈습니다.

<왕좌의 게임 시즌8> 공개 2개월 전, 미국의 맥주 브랜드 버드라이트는 53회 슈퍼볼에 광고 하나를 내보냈는데요.


맥주 광고로 시작해서 왕좌의 게임 예고편으로 마무리하는 콜라보 광고로 <adweek>가 선정한 '2019 베스트 슈퍼볼 광고' 1위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더불어 <왕좌의 게임 시즌8> 첫 에피소드는 시청자 1,740만 명을 기록하며 HBO 역대 최대 시청률을 갱신했습니다.





③ 르노삼성자동차 SM5

이미지 출처 : 르노삼성자동차


1998년 르노삼성자동차는 중형차 SM5를 출시하였지만 당시 IMF위기가 닥쳐 기업의 존립 자체가 위협을 받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이때 르노삼성자동차는 택시기사들 사이에서 SM5에 대한 입소문이 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택시기사를 상대로 버즈마케팅을 계획하게 됩니다.


택시기사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영업직원을 보내 SM5에 대한 판촉마케팅을 펼치도록 한 것인데요. 그 덕에 택시기사들 사이에서 SM5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확산되어 승객들에게 자발적으로 SM5에 대한 홍보를 하면서 버즈마케팅 효과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승객 입장에서는 영업사원 보다 택시기사의 말에 더욱 신뢰를 가지게 될 수 밖에 없었던 사례입니다.









버즈마케팅 시 유의사항


소비자로 하여금 지나친 기대감을 가지게 하는 과장광고는 지양해야 합니다.


버즈마케팅은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 마케팅으로 도달하기 어려운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만큼의 큰 파급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장광고로 인해 제품이 소비자의 기대치를 부합하지 못한다면 SNS를 통해 불평과 불만이 퍼지는 상황에 이르러 브랜드 이미지의 손상은 물론 소비자가 등을 돌릴 수 있게 됩니다. 때문에 만일의 사태를 대비한 리스크 관리 전략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합니다.




매출로 이어지는, 기술력과 데이터 기반의

'믿을 수 있는 광고' 여기서 ▼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파인앳플



작가의 이전글 초개인화 시대 마케팅 사례 - 현대카드, 넷플릭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