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유히 May 30. 2023

나의 외로움을 이해하지 못해도 괜찮아요.

나도 그럴 테니까요.


사람들은 외롭다고 말한다. 나는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사실 공감이 크게 가진 않았다. 내가 느껴본 적 없는 감정이라고만 여겼기 때문이다. 워낙 혼자에 익숙해서인지 외로움이라는 감정은 오히려 연애할 때 말고는 느껴본 적이 거의 없었다. 하지만 그런 내가 머리를 크게 한 대 맞은 듯한 외로움과 맞닥 들이게 됐다. 


21년 겨울, 퇴사를 고심하며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앞으로 삶을 어떻게 꾸려나가야 할지 머릿속이 복잡했던 때였다. 이 고민들을 털어놓을 곳이 없었다. 정확히 말하면 그럴 사람이 없었다. 주변에서는 나름 괜찮은 회사를 다니고 있다는 인식이 강했어서 쉽사리 털어놓기가 어려웠다. 그 당시 퇴사는 내 인생의 큰 이슈 중 하나였기에 조언이 필요했다. 퇴사 후 스스로를 어떻게 돌봐야 할지 미리 알아놓아야만 할 것 같았다. 그렇지만 그 누구에게도 물어볼 사람이 없다는 것이 내겐 너무나 큰 무서움으로 다가왔다. 그때 '아 이게 외로움이구나, 이것이야말로 정말 외로운 거구나'하며 처음 맞이한 이 거대하고 무서운 외로움에 눈물이 났다.


외로움에도 종류가 있을까? 요즘 스스로가 텅 빈 느낌이라 이것저것 계속 시도해야만 할 것 같고 다른 무언가를 찾게 된다. (출퇴근이 내 맘 같지 않으니 하고 싶은 것과 배우고 싶은 게 있어도 물리적으로 그리고 시간적으로 한계가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여건이 따라주질 않다 보니 시도 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삶의 의욕이 점점 떨어지고 있는 느낌이다. 지금도 나름 잘 지내고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이게 정말 내가 원하는 게 맞는 걸까 의구심이 든다. 마음이 허할수록 다른 걸로 채운다는데.. 지금 내가 그런 상태일지도 모르겠다.



내가 느끼는 이 감정은 외로움 보단 고독함이 맞는 것 같다. 내가 생각하는 외로움은 어떤 대상(사람, 환경)으로 인해 특정 순간에 느껴지는 감정이다. 예를 들자면 무리에서 나 혼자 밥을 먹고 있을 때, 연애 중이지만 몸맘진창인 퇴근길에 연인이 전화를 받지 않을 때, 날 사랑하지 않는다고 느껴질 때이다. 반면 고독함은 외로움과 달리 공허한 마음이 특정 순간이 아닌 매 순간 이어져 있는 감정이다. 정체되어 있는 이 허함은 시간, 공간, 사람, 사랑의 유무와 관계없이 계속 내 안에 머무른다. 이 감정은 오로지 나만 느낄 수 있는, 나 혼자 감당해야만 하는 것이다. 


나도 모르게 스며든 이 고독함을 언젠가부터 받아들이고 즐기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내 안에 고독이 쌓이고 쌓여 힘이 들 때면 누군가에게 안겨 꽁꽁 싸매고 있던 나 자신을 무장해제하고 응석을 부리고 싶다. 무언의 칭얼거림으로 '내가 이랬어', '그동안 이런 마음이었어', '괜찮은 것 같은데 괜찮지 않았던 것 같아. 사실 지금도 그래'와 같은 속마음을 뱉고 싶다. 그렇게 안겨서 스며드는 온기로 충전을 하고 싶다. 그것만으로도 내겐 충분히 위로가 되니까.


누군가에게는 내가 느낀 거대한 외로움과 고독함이 '저게 왜 힘들지?'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내가 타인의 외로움과 고독함을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확실한 건 나의 감정을 타인에게 100% 이해받길 원하는 건 엄청난 욕심인 것 같다.


사람마다 외로움의 정의, 강도, 형태, 느낌이 다 다르지 않을까. 내가 고독함이라고 느끼는 이 감정은 누군가에겐 또 외로움이 될 수 있을 테니. 외로움과 고독함을 완벽하게 구분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 결국 이 두 감정은 본인 자신만 이해할 수 있는 것이고 그 누구도 대신 채워줄 수 없다. 외로움과 고독함은 평생을 뗄래야 뗄 수 없는 존재로 인식하되 너무 몰입하기보다는 자신이 잘 다스리면서 같이 살아보는 건 어떨까.


작가의 이전글 스물다섯 스물하나 ing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