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봄 Feb 10. 2022

265. 새옹지마

옛 고사 중에 ‘새옹지마塞翁之馬’라는 말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하자면 ‘변방 늙은이의 말’이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화가 복이 되고, 복이 화가 된다’는 뜻으로 길흉화복의 변화가 잦음을 의미합니다. 중국 전한시대의 유안이 저술한 <회남자淮南子>의 ‘인생훈人生訓’에 나오는 이야기인데 내용을 살펴보면 이렇습니다.     

중국의 변방에 한 노인이 살았습니다. 어느 날 그가 애지중지 키우던 말이 이유 없이 오랑캐의 땅으로 도망쳐 버렸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이 사실을 알고 노인을 위로했습니다. 그러자 노인은 “이것이 복이 될지 어찌 알겠소”라며 아무렇지 않게 말했습니다. 몇 달이 지난 후 도망쳤던 말이 오랑캐 땅에서 멋진 짝을 데리고 다시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사람들은 너도나도 잘 된 일이라며 노인에게 축하인사를 했습니다. 그러자 노인은 아무렇지도 않게 “이것이 화가 될지 어찌 알겠소”라고 말했습니다.     

집에 좋은 말이 생기자 말 타기를 좋아하던 노인의 아들은 수시로 그 말을 타고 놀았습니다. 그러다 그만 말에서 떨어져 다리가 부러지고 말았습니다. 사람들은 저마다 안타까워하며 노인을 위로했습니다. 그러자 노인은 또 아무렇지 않게 말했습니다. “이것이 혹시 복이 될지 어찌 알겠소.”     

1년이 지난 후 오랑캐가 쳐들어왔습니다. 마을의 장정들은 모두 싸움터로 나가야만 했습니다. 변방에 사는 사람 중 열에 아홉은 싸움터에 나가 죽었지만 노인의 아들은 다리가 불편한 까닭에 아버지와 더불어 무사할 수 있었습니다.     

고사 성어에 담긴 이야기를 곱씹으며 잠시 우리네 삶에 대해 생각합니다. 우리는 너무 작은 일에도 ‘일희일비一喜一悲’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잠시 스치고 지나가는 행복과 불행 때문에 현재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일상의 평온함을 오히려 깨트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말입니다. 지금 내게 닥친 기쁨은 언젠가 다시 슬픔으로 변할 수 있고, 지금 내게 닥친 불행도 언젠가는 다시 행복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노인은 그러한 인생의 섭리를 알고 있기에 슬픈 일이 있을 때도 그 슬픔에 빠져 일상의 평온함을 잃지 않을 수 있었고 기쁜 일이 있을 때도 찰나의 기쁨이 일상의 평온함을 앗아가지 못하도록 자신을 절제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이벤트처럼 다가오는 행복과 불행, 기쁨과 슬픔이라는 감정과 마주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감정에 매몰되어 일상을 잊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감정이나 현상들은 모두 순간에 불과하며 오래 지속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한 이벤트적인 감정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일상의 평온함 속에서 얻게 되는 소소한 감정들입니다. 그러한 감정이 지속되어 얻게 되는 것이 바로 기쁨이 되어야 하고 삶의 행복이 되어야 합니다. 큰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평온한 일상을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 고사는 다시 한 번 깨닫게 해주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이치를 알게 된다면 우리는 큰 행복이 찾아왔을 때도 타인을 배려하지 못하고 마치 이 세상에 나만 행복한 듯 떠벌리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혹여 큰 슬픔이 찾아온다고 해도 그 슬픔이 언젠가는 다시 기쁨이 될 수 있음을 알기에 크게 좌절해서 일상을 잃는 경우도 없을 것입니다. 오늘 내게 닥친 행복이나 불행이 있다면 노인처럼 이렇게 말해보는 건 어떨까요. “이 행복이나 불행이 어떻게 변할지 누가 알겠소”하고 말입니다. 

이전 09화 266. 현재를 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